2008-10-14 | 킨, 권오상을 만나다

Editor’s Comment

사진-조각이라는 새로운 유형을 만들어낸 미술가 권오상과 영국의 밴드 킨이 만났습니다. 킨의 세 번째 앨범 <Perfect Symmetry>에는 권오상의 ‘데오드란트 타입’화된 멤버들의 모습이 담겼습니다. 수천 장의 사진으로 빚은 인물 조각의 형상으로요. 

(Keane)의 새 앨범을 기다려온 팬들에게는 반가운 소식. 10월 13일, 그들의 세 번째 앨범 <Perfect Symmetry>가 발매되었다. 하지만 특히나 더욱 반가운 사실은 이번 앨범의 아트워크에 사진작가 권오상이 참여했다는 점이다. <Perfect Symmetry>의 아트 디렉팅을 맡은 영국의 디자인 스튜디오 투어리스트(Tourist)는, 멤버들의 사진 촬영을 권오상에게 의뢰했다. 

그리하여 킨의 세 멤버들은 ‘데오도란트 타입’이라 불리는 권오상의 사진-조각 형태로 앨범에 등장한다. 인물의 전후좌우 신체 각 부분을 세세하게 촬영한 뒤, 이 사진들을 인물의 포즈 모양으로 잘라낸 스티로폼 위에 붙이면 사진-조각이 탄생한다. 이번 앨범의 사진 촬영은 지난 6월 런던에서 5일간 진행되었고, 이후 조각 제작은 서울에서 6주간 진행되었다고. 그리고 투어리스트의 디자이너와 사진가가 서울을 방문하여 사진-조각들을 촬영, 앨범의 아트워크에 등장시켰다. 

<크리에이티브 리뷰>는 사진가 권오상과 이번 앨범 작업에 관한 인터뷰를 블로그에 게재했다. 인터뷰에 따르면 “각 멤버마다 총 1,000~3,000장의 사진을 찍은 듯 하다”고. 아래 <크리에이티브 리뷰> 링크를 방문하면 촬영 현장 및 제작 과정을 담은 사진들을 감상할 수 있으니, 방문해보시길 바란다. 

via Creative Review blo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디자인 이슈〉(Design Issues) Autumn 2021: 디자인은 미학인가 수사학인가?

<디자인 이슈(Design Issues)> Autumn 2021, Volume 37, Issue 4 표지 ‘디자인의 설득?: 미학과 수사학 사이의 디자인론(Persuasion by...

2010-09-29 | RCA 디자인프로덕트 컬렉션

RCA의 제품 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디자인프로덕트라는 학과 아름으로 제품 컬렉션을 선보였습니다. ‘퍼스트 핸드’는 14인의 졸업생이 내놓은 13가지 제품 컬렉션으로, 단순히 전시만이 아닌 판매를 목적으로 삼았습니다. 같은 해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번의 졸업생 작업이 소더비로 향했던 것과는 상당히 대조적인 움직임이었죠. 

2010-07-26 | 빠이롯트 핸드라이팅

활자가 등장하기 전까지, 글자는 곧 손글씨와 동의어였습니다. 문자에 형태를 부여하는 것은 필기구를 쥔 손이었고, 글자와 손의 주인은 일대일의 대응 관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육필이라는 말이 존재하듯이요. 하지만 글씨를 쓰는 손 대신 자판을 치는 손이 우세해졌고, 심지어 글자마저 지면을 떠나고 서체마저 물리적 몸체를 벗어나 디지털화된 지 오래입니다. 그러한 와중에 ‘손글씨 디지털 폰트’ 류가 글씨 쓰는 손과 자판을 치는 손의 공존을 도모하기도 합니다. 12년 전 오늘의 소식 ‘빠이롯트 핸드라이팅’도 그랬습니다.

2009-04-13 | 열 가지 그래픽 디자인 패러독스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저술가인 에이드리언 쇼네시가 일상적인 ‘그래픽 디자인의 역설’ 열 가지를 이야기합니다. 가령 이런 식입니다. ‘전문가인 내가 제일 잘 안다’ 같은 말을 하는 디자이너야말로 전문가답지 못한 디자이너이고, 문외한인 클라이언트에게 디자인을 가르치고 싶다면, 먼저 나부터 클라이언트에 관해 배워야 한다는 것이죠. 10번까지 이어지는 역설의 목록 끝에는 하나의 보너스 역설이 더해져 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완전한 창작의 자유를 주겠다’고 한다면, 절대 그런 뜻이 아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