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0-08 | 스트리트 아트 x 사진

Editor’s Comment

“JR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큰 미술관이 있습니다. 사진 콜라주 기법 덕분에, 작품을 무료로 온 세상의 벽에 전시하여, 평소에 박물관에 가지 않는 사람들의 관심을 이끕니다.” 물론 그 세상의 벽 중에는 실제의 갤러리, 뮤지엄들도 포함되지요. 여기 2008년 테이트 모던의 벽이 그러했고, 바로 얼마 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천장과 바닥이 그랬던 것처럼요. 

카메라를 든 그래피티 아티스트. 알레산드레 오리온에게 카메라는 자신의 그래피티가 도시 환경 속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 지를 기록하는 도구였다. 여기 JR, 역시 카메라를 든 그래피티 아티스트다. 하지만 그의 방식은 사진을 그래피티화하는 것이다.

지난 5월부터 8월까지, 테이트 모던의 외벽에는 정면을 향해 총을 겨눈 어느 흑인 소년의 거대한 사진이 내걸렸다. 바로 이 작품이 JR식의 ‘스트리트 아트’다. 사진들은 대형 포스터가 되어 거리에, 공공 공간에 설치된다. 문자 그대로 작품은 마치 ‘도배를 하듯’ 나붙는다. 

JR은 파리의 방리외에서, 브라질의 파벨라를 지나, 팔레스타인 어느 마을에 이르기까지. JR은 주변인들의 얼굴을 카메라에 담았다. 드라마틱한 클로즈업 구도의 흑백 초상 사진에는 어떤 강렬함이 깃들어 있다. 그래피티가 장소를 중히 여기듯, 그의 사진-그래피티 역시 장소에 많은 것이 달려 있다. “어디에서 사진을 찍느냐에 따라, 모든 것이 달라진다.” 

via influx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5-31 | 팬톤 호텔

팬톤의 컬러칩은 팬톤의 주력 상품이기도 하지만, 자체로 팬톤을 상징하는 디자인 자산이기도 하죠. 컬러칩의 모양새는 팬톤과의 ‘협업’을 원하는 여러 브랜드의 제품에 널리 활용되고, 또 팬톤의 자체 라이프스타일 소품군의 기반이기도 합니다. 2010년 팬톤은 브뤼셀에 호텔을 열며, 소위 ‘팬톤 유니버스’를 소품에서 공간으로 확대했습니다. 다만 더 이상 팬톤 호텔을 방문할 수는 없으니, 팬톤이 떠나고 이미 다른 호텔이 운영 중입니다.

눈으로 볼 수 없는 룸메이트

게임 개발자 니콜 히(Nicole He)와 애니메이션 감독 에란 힐렐리(Eran Hilleli)가 집 안의 전자기기들이 상호작용하는...

2011-05-13 | 벅스턴 컬렉션

『사용자 경험 스케치』로 유명한 캐나다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디자이너인 빌 벅스턴은 기술과 인간 사이를 중재하는 영역에서 활동해왔습니다. HCI 분야의 선구자이자 전문가로서 걸어오는 동안 흥미로운 관련 기기들을 수집하였고, 그것들은 ‘벅스턴 컬렉션’으로 불립니다. 2005년 그가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의 파트너 연구원으로 합류한 지 6년 뒤,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가 ‘벅스턴 컬렉션’ 온라인 페이지를 열었습니다. (...)

뭉크 미술관 가구 디자인

지난 10월 22일, 노르웨이 오슬로에 뭉크 미술관(Munch museum)이 새로운 모습으로 재개관했다. 개관 전부터...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