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8-19 | 그들의 몰스킨 노트 속

Editor’s Comment

2006년 70권의 몰스킨 노트가 예술가, 작가, 디자이너에게 전해졌고, 그렇게 각각의 몰스킨이 경험한 우회의 여정이 다시 한자리에 모여, 전시의 형태로 다시 런던, 뉴욕, 파리, 베를린, 이스탄불, 도쿄, 베니스, 상하이, 밀라노를 여행했습니다. 2008년 오늘의 소식은 전시회 ‘우회’의 이야기입니다. 

‘우회’ 파리 전시회

메모와 그림들로 가득한 70여 개의 수첩들. 몰스킨(Moleskine)의 전시회 ‘우회(Detour)’에서 만날 수 있었던 엄연한 ‘작품’들이다. 몰스킨은 70개의 수첩을 예술가, 작가, 디자이너들에게 보냈다. 그들의 사유와 아이디어가 고스란히 담긴 수첩들은 다시 되돌아와 전시작품이 되었다. 누군가의 수첩을 들여다본다는 것은 그 자체로 은밀한 기쁨을 주는 일이겠지만, 특히나 창의적인 사고의 편린들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란 더더욱 만족스러운 일이 아닐까. 누군가의 수첩에서 하나의 아이디어가 구체화되는 과정을 만나고, 누군가의 수첩에서는 사적인 이야기들을 만날 수도 있다. 특히나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은 역시 디자이너들의 수첩일 것이다. 전시작 가운데는 로스 러브그로브, 알레산드로 멘디니, 론 아라드, 마이클 그레이브스, 콘스탄틴 보임, 알베르토 메다 등, 우리에게 너무도 익숙한 디자이너들의 수첩들이 포함되어 있다. ‘우회’는 뉴욕과 런던, 파리를 돌며 순회 전시를 마친 상황. 그렇다고 너무 실망할 필요는 없다. 전시 블로그를 통해 계속해서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으니 말이다. 인물별로 수첩 이미지는 물론이고, 동영상이 함께 공개되어 있으니 찬찬히 둘러보시길.[1]

알베르토 메다
폴라 셰어
렌초 피아노
하비에르 마리스칼

http://detour.moleskinecity.com
https://moleskinefoundation.org/initiative/detour-and-mydetour/
https://www.youtube.com/user/moleskinecity/featured

via designboom

© designflux.co.kr


[1] 기사 제목 및 이미지 교체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년 후 구현된 디자인, 센토3(CENTO3)

건축가 아킬레 카스틸리오니(Achille Castiglioni)와 잔프란코 카발리아(Gianfranco Cavaglià)가 2001년에 디자인했던 필기구가 20년이 지난 후 센토3(CENTO3)라는...

2009-02-04 | 올린의 새 얼굴, 새 웹사이트

세계적인 조경건축 디자인 회사 올린이 2009년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도입하며 그에 걸맞게 웹사이트도 새단장합니다. 리뉴얼을 맡은 펜타그램의 애벗 밀러는 간결함에 집중합니다. 그리고 이는 올린의 O를 강조한 디자인으로 드러나죠. O자에 담긴 두 개의 원에 집중한 단순한 디자인이지만, 다양한 색상과 유연한 로고 구성으로 지루함을 피했다는 설명입니다.

사라질 지도

바다를 소재로 기후 위기를 다루는 예술가, 크리스티나 콘클린(Christina Conklin)이 마리나 사로스와 공동 저술한 <사라지는...

유골로 만든 3D프린팅 인공 암초

사랑하는 이들의 유골이 바닷속에서 굴을 재생하는 인공 암초가 된다면 어떨까? 런던 왕립예술대학(RCA), 임페리얼칼리지출신의 루이스 L....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