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8-19 | 그들의 몰스킨 노트 속

Editor’s Comment

2006년 70권의 몰스킨 노트가 예술가, 작가, 디자이너에게 전해졌고, 그렇게 각각의 몰스킨이 경험한 우회의 여정이 다시 한자리에 모여, 전시의 형태로 다시 런던, 뉴욕, 파리, 베를린, 이스탄불, 도쿄, 베니스, 상하이, 밀라노를 여행했습니다. 2008년 오늘의 소식은 전시회 ‘우회’의 이야기입니다. 

‘우회’ 파리 전시회

메모와 그림들로 가득한 70여 개의 수첩들. 몰스킨(Moleskine)의 전시회 ‘우회(Detour)’에서 만날 수 있었던 엄연한 ‘작품’들이다. 몰스킨은 70개의 수첩을 예술가, 작가, 디자이너들에게 보냈다. 그들의 사유와 아이디어가 고스란히 담긴 수첩들은 다시 되돌아와 전시작품이 되었다. 누군가의 수첩을 들여다본다는 것은 그 자체로 은밀한 기쁨을 주는 일이겠지만, 특히나 창의적인 사고의 편린들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란 더더욱 만족스러운 일이 아닐까. 누군가의 수첩에서 하나의 아이디어가 구체화되는 과정을 만나고, 누군가의 수첩에서는 사적인 이야기들을 만날 수도 있다. 특히나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은 역시 디자이너들의 수첩일 것이다. 전시작 가운데는 로스 러브그로브, 알레산드로 멘디니, 론 아라드, 마이클 그레이브스, 콘스탄틴 보임, 알베르토 메다 등, 우리에게 너무도 익숙한 디자이너들의 수첩들이 포함되어 있다. ‘우회’는 뉴욕과 런던, 파리를 돌며 순회 전시를 마친 상황. 그렇다고 너무 실망할 필요는 없다. 전시 블로그를 통해 계속해서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으니 말이다. 인물별로 수첩 이미지는 물론이고, 동영상이 함께 공개되어 있으니 찬찬히 둘러보시길.[1]

알베르토 메다
폴라 셰어
렌초 피아노
하비에르 마리스칼

http://detour.moleskinecity.com
https://moleskinefoundation.org/initiative/detour-and-mydetour/
https://www.youtube.com/user/moleskinecity/featured

via designboom

© designflux.co.kr


[1] 기사 제목 및 이미지 교체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1-19 | 적기 혹은 생산의 소역사

0년의 시간선 위에 각기 자리한 네 대의 탁상형 인쇄 기계를 지나 한 권의 책이 태어납니다. 왕립예술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아트 & 디자인을 전공한 자비에 앙탱이 졸업작품으로 선보인 ‘적기 혹은 생산의 소역사’입니다. 

깔끔한 식사를 위한 식용 테이프

존스 홉킨스 화이팅 공과대학(Whiting School of Engineering)에서 음식을 감싸 고정할 수 있는 식용 테이프를...

2008-06-09 | 이란의 블로고스피어

2008년 오늘 디자인플럭스에는 다소 낯선 주제의 소식이 올라왔습니다. 이란의 블로고스피어를 다룬 하버드 버크먼 인터넷과 사회 센터의 연구 내용인데요. 2000년대 블로그는 커뮤니티와 소셜네트워크의 근거지였고, 그러한 블로그들의 연결 집합체인 블로고스피어는 거대한 온라인 생태계였습니다. 14년 전 오늘의 소식은 한 국가의 블로고스피어가 어떤 식으로 지도화되는지 그 안에서 어떠한 주제와 이슈가 등장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또 그 국가가 이란이라는 점에서도 흥미로웠습니다. 

2008-06-11 | AMD 오픈 아키텍처 챌린지 수상작

인도적 위기에 대한 건축의 응답.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활동은 그렇게 요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1999년 설립 이래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2000년대는 여러 모로 분주했습니다. 전쟁, 재해, 질병 등 건축적 개입이 절실한 지역 공동체와 사회적 디자인을 고민하는 디자이너, 건축가를 연계하는 플랫폼으로서, 세계 곳곳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오픈소스 건축 네트워크를 여는가 하면 국제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하였지요. 인덱스 어워드, TED 프라이즈 등 수상도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어디로도 연결되지 않는 오늘 뉴스의 하이퍼링크들이 암시하듯,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는 2015년 파산을 신청하며 15년 활동의 막을 내렸습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