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7-11 | “빌바오 효과란 허튼 소리다.”

Editor’s Comment

2008년 서펀타인 갤러리 파빌리온의 건축가는 프랭크 게리였습니다. 의외로 이 임시 건축물이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완성된 프랭크 게리의 건물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파빌리온 공개를 맞아 열린 기자회견에서 다시 한 번 ‘빌바오 효과’에 언급되었죠. “빌바오 효과란 허튼 소립니다.” 그렇게 이야기한 주인공은 다름 아닌 프랭크 게리였습니다. 

프랭크 게리의 ‘서펀타인 갤러리 파빌리온 2008’  
ⓒ 2008 Gehry Partners LLP

매년 여름마다 런던의 서펀타인 갤러리(Serpentine Gallery)는 켄싱턴 가든에 임시 건축물을 전시한다. 올해로 9년째를 맞이한 연례 건축 전시 ‘서펀타인 갤러리 파빌리온’의 주인공은 바로 프랭크 게리다. 의외로 이 임시 건물은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완성된 프랭크 게리의 건물이기도 하다. 네 개의 대형 철재 기둥과 커다란 나무 널, 그리고 유리로 만들어진 이 건물은 드라마틱하면서도 다차원적인 공간을 만들어낸다. 

‘서펀타인 갤러리 파빌리온 2008’의 모형
ⓒ 2008 Gehry Partners LLP 

7월 20일 오픈하는 이번 전시를 앞두고 열린 프랭크 게리의 기자회견에서, 정작 주목을 받은 것은 애석하게도 서펀타인 갤러리 파빌리온이 아니라 ‘빌바오 구겐하임 뮤지엄’이었다. 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소위 ‘빌바오 효과(the Bilbao Effect)’다. 

‘빌바오 효과’는 수많은 도시가 도달하려는 지고의 목표가 된 지 오래다. 여기에는 스타건축가를 영입해 도시에 기념비로서의 건물을 세우면, 도시 경제에 활력을 가져오리라는 기대가 깔려 있다. 하지만 막상 빌바오의 기적, ‘빌바오 구겐하임 뮤지엄’을 건축한 프랭크 게리는 그 모두가 “허튼 소리”라고 이야기한다. 

<타임스>의 7월 9일자 기사 ‘프랭크 게리: 빌바오 효과란 허튼 소리다(Frank Gehry: the Bilbao Effect is bulls**t)”는 이 발언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프랭크 게리는 “빌바오 효과란 일종의 기적과도 같은 사건이며, 나 스스로도 어떻게 이런 결과를 만들어냈는지 알지 못한다”고 이야기한다. 애초 빌바오 시는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같은 건물을 의뢰했지만, 점차로 이 개발이 ‘도시 커뮤니티’를 위한 것으로 변모해갔다는 설명도 덧붙인다.’빌바오 효과’란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문제일지도 모른다. 이 기적 같은 사건은 빌바오 구겐하임 하나의 공과가 아니라, “포스터의 지하철 시스템, 짐 스털링의 유례없는 기차역, 칼라트라바의 공항을 비롯해 모든 이들의 참여” 속에서 가능해졌던 것이다. 

구겐하임 뮤지엄, 빌바오, 스페인 
ⓒ 2008 Gehry Partners LLP 

이것은 스펙터클한 건축물 하나에 의존하여, 제2, 제3의 빌바오를 꿈꾸는 도시 개발가에게는 무엇보다 따끔한 지적이다. 인프라구조에 대한 관점이 뒷받침되지 않은 개발로 도시의 기적을 바란다면 그야말로 어리석은 일이다. 기사의 표현대로 “빌바오 구겐하임처럼 진정 성공적인 건물이란, 단순히 주문을 받아 생산하는 그런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Times online] Frank Gehry: the Bilbao Effect is bulls**t

via archinect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6-22 | 토르트 본체, RCA 제품디자인과 학과장에

“그가 최근에 RCA 제품디자인 학과장이 된 것 아시죠?” 2009년 아르테크니카의 타미네 자반바크트가 인터뷰 중에 언급했던 그 소식입니다. 네덜란드 출신의 디자이너 토르트 본체가 2009년 RCA 제품디자인 과정 학과장에 선임되었습니다. 2000년대 들어 세계적인 디자이너로서 전방위적으로 활동해온 그는 RCA의 제안을 수락하며, 스튜디오를 처음 열었던 도시인 런던으로 돌아와, 2013년까지 교육자로서 학생들을 가르쳤습니다.

2011-03-28 | RIBA, 건축계 무급 인턴십 제동

관행이라는 이름으로 이어지는 무급 인턴십 문제에서 건축계도 예외는 아닙니다. 2011년 영국왕립건축사무소는 이 문제에 정면으로 개입했습니다. 협회 소속 건축사무소는 학생 인턴에게도 반드시 법정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는데요. 그러나 무급 인턴십 문제는 2019년 서펀타인 파빌리온 건축가로 지명된 준야 이시가미가 해당 프로젝트에 무급 인턴들을 두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다시 한 번 크게 불거졌습니다.

Design of Voice #3 두연씨, 우리 잘 먹고 잘 살아요.

매년 돌아오는 여름이지만 올해 유난히 ‘이렇게까지 더웠던 적이 있었나?’라는 생각이 자주 든다. 2021년 7월,...

2011-09-02 | 방사능 통제

2011년 거대한 쓰나미가 야기한 방사능 위기는 아직도 진행형입니다. 내년 봄이면 후쿠시마의 오염수는 태평양으로 방류될 것입니다. 2011년 그해 가을, 함부르크 독빌 페스티벌에는 100명의 방사능 병정들이 등장했습니다. 루스인테르툽스는 고개를 숙인 채 어딘가로 향하는 방사능 처리 요원들의 모습을 통해 방사능의 안전 신화가 무너진 현실의 무게를 다시금 생각하게 하였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