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7-07 | 잔디 사진

Editor’s Comment

헤더 애크로이드와 댄 하비는 자연을 매체로 삼은 작업으로 유명한 미술가 듀오입니다. 특히 잔디를 이용한 사진 작품들이 널리 알려져 있는데요. 청사진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잔디의 감광성을 이용해 잔디판 위에 사진 이미지를 구현합니다. 2008년 두 사람은 윔블던 테니스 챔피언십의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여 잔디 사진들을 선보였습니다. 잔디 코트의 윔블던과 잔디 사진의 애크로이드 & 하비. 잔디는 그야말로 절묘한 매개체였습니다.

헤더 애크로이드와 댄 하비(Heather Ackroyd & Dan Harvey)는 ‘자연’을 이용한 독특한 작품 세계로 주목받아온 영국의 아티스트들이다. 이들이 사상 처음으로 상업적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2008 윔블던 테니스 챔피언십을 위한 광고 캠페인물이다. 

경기장 티켓팅 부스 근처에 늘어선 초록색 사진 이미지들은 모두 ‘잔디’로 표현되어 있다. 광량이 많을 수록 초록색이 적을 수록 노란색이 되는 잔디 본연의 감광성을 이용해, 잔디판을 사진용지처럼 이용한 것이다. 이 모든 이미지는 흑백의 네거티브 이미지를 잔디판에 영사한 채로, 잔디를 암실에서 길러 만들었다. 이렇게 탄생한 ‘잔디-사진’은 “멀리서 보면 다른 단색 사진들과 다를바 없지만, 가까이에서 살펴보면 평범한 잔디들을 발견하게 된다. 하지만 단 하나의 잔디 잎파리조차 색조의 변화를 나타낸다.” 

복잡한 사진 이미지를 멋지게 구현하는 잔디 예술의 성격을 고스란히 담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푸른 윔블던 코트를 연상시킨다는 점에서 절묘하게 맞아떨어진 캠페인이 아닐지? 아래 <크리에이티브 리뷰> 링크를 방문하면 보다 많은 이미지를 감상할 수 있다.

via CR blo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4-16 | 디지털 콘텐츠의 딜레마

음악이 물리적 매체를 탈피하면, 음반 디자인에서는 무엇이 남을까요? 2007년 오늘자 뉴스는 jpeg 형식의 커버 이미지 파일만이 남은 현실을 절절히 아쉬워하는 <디자인 옵저버>의 아티클을 소개했습니다. 그야말로 스트리밍의 시대인 지금, 또 하나의 흥미로운 아티클을 덧붙여 봅니다. AIGA의 ‘아이 온 디자인’에 실린 케이팝과 CD 음반 디자인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케이팝 신에서 CD는 팬들을 위한 “선물”처럼 채워지고 디자인되고 있으며, CD의 판매고도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고요.

버려진 광고판으로 만든 떠돌이 개 쉘터

태국의 동물단체 ‘스탠드 포 스트레이즈(Stand for Strays)’가 떠돌이 개를 위한 쉘터를 설치했다. 방콕과 인접한...

2009-03-23 | 합판으로 그리다

공사장 울타리 역할을 하던 낡은 합판들을 거두어 작품의 재료로 삼았습니다. 브라질의 미술가 엔히키 올리베이라는 울타리로 “회화와 건축과 조각이 한데 결합된” 작품 연작을 선보였는데요. 전시회의 이름도 ‘울타리’입니다. 

2011-09-02 | 방사능 통제

2011년 거대한 쓰나미가 야기한 방사능 위기는 아직도 진행형입니다. 내년 봄이면 후쿠시마의 오염수는 태평양으로 방류될 것입니다. 2011년 그해 가을, 함부르크 독빌 페스티벌에는 100명의 방사능 병정들이 등장했습니다. 루스인테르툽스는 고개를 숙인 채 어딘가로 향하는 방사능 처리 요원들의 모습을 통해 방사능의 안전 신화가 무너진 현실의 무게를 다시금 생각하게 하였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