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6-20 | 오바마, 디자인, 브랜드

Editor’s Comment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디자인’의 관점에서도 유독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미 민주당의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부터 그러한 조짐이 드러났죠. 디자이너 셰퍼드 페어리의 포스터가 오바마 캠프의 시각적 상징이 되었고, 그러면서《뉴욕타임스》에는 ‘오바마는 맥, 힐러리는 PC인가?’라는 기사가, 《패스트 컴퍼니》에는 ‘오바마라는 이름의 브랜드’라는 분석 기사까지 실렸습니다. 어떤 ‘현상’이 된 선거에 관한 이야기를 14년 전 오늘의 뉴스에서 다시 만나봅니다.

아티스트 포 오바마(Artists for Obama)’ 포스터 상품. 왼쪽은 셰퍼드 페어리, 오른쪽은 스콧 핸슨의 작품이다. 

어쩌면 미국의 대선은 민주당의 경선보다 시시할지 모른다. 민주당의 경선은 두 ‘최초’간의 대결이었고, 그 결과 미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 후보가 탄생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이 치열했던 경선 과정을 디자인의 관점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그래픽 디자이너 셰퍼드 페어리(Shepard Fairey)가 개인적인 지지 표명의 의미로 만들어낸 오바마 포스터는, 결국 오바마 선거 캠프의 요청으로 포스터, 티셔츠, 배지가 되어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크리에이티브 리뷰>에 따르면 페어리의 디자인 상품이 벌어들인 금액은 40만 달러에 달한다. 간단히 말해 셰퍼드 페어리의 오바마 티셔츠가 마크 제이콥스의 힐러리 티셔츠에 압승을 거둔 것이다. 

“구글에서 ‘오바마와 디자인’이라는 단어로 검색해보라. 힐러리 클린턴이나 존 매케인의 검색 결과와는 사뭇 다른 시각적인 풍경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코어77》의 설명대로다. 후자들의 결과는 홈페이지 캡처들이 주를 이루며, 우리가 흔히 ‘정치’하면 떠올리는 그러한 종류의 딱딱한 이미지들을 보여준다.하지만 오바마와 디자인의 경우 아티스트들의 포스터들은 물론, 개인이 직접 만든 핸드메이드 액세서리까지 보다 활기찬 결과물들을 볼 수 있다. ‘오바마는 맥, 힐러리는 PC’라는 비교까지 나왔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을 것이다. 스콧 핸슨(Scott Hansen)이나 셰퍼드 페어리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만들어낸 세련된 작품들, 여기에 지지자들이 보여준 열성적인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자연스레 이 괴이한 비유에 수긍하게 된다. 더 나아가 우리는 이번 경선을 통해 하나의 브랜드가 탄생하는 과정을 목도했노라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정치는 마침내 마케팅에 관한 것이 되었다. 이미지를 투사하고 판매하며, 열망에 불을 지피고, 사람들이 동일시하고 전도사가 되며 마침내 소비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오바마’라는 브랜드의 홍보 과정은, 시장이 어디로 움직이고 있는가에 관한 케이스 스터디라 할 수 있다.” – ‘오바마라는 브랜드’, <패스트 컴퍼니> 4월호 

via core77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09-06 | ‘평화와 화해의 전당’ 개관

2006년 9월 1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 ‘평화와 화해의 전당’이 문을 열었습니다. 이 건물은 거대한 피라미드의 형태를 한 이 건물은 종교와 종파 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상호 이해를 도모하는 국제 센터로서 계획되었습니다. 그리고 설계는 영국의 포스터+파트너스가 맡았죠. 

텍스트 인식 이미지 생성 AI ‘DALL-E 2’

인공지능 연구소 오픈AI(OpenAI)에서 텍스트를 인식하여 사실적인 이미지와 그림을 ‘창작’할 수 있는 AI 시스템, ‘달-이...

2011-05-13 | 벅스턴 컬렉션

『사용자 경험 스케치』로 유명한 캐나다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디자이너인 빌 벅스턴은 기술과 인간 사이를 중재하는 영역에서 활동해왔습니다. HCI 분야의 선구자이자 전문가로서 걸어오는 동안 흥미로운 관련 기기들을 수집하였고, 그것들은 ‘벅스턴 컬렉션’으로 불립니다. 2005년 그가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의 파트너 연구원으로 합류한 지 6년 뒤,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가 ‘벅스턴 컬렉션’ 온라인 페이지를 열었습니다. (...)

2010-02-23 | 건축가 2인의 회계 장부

2007년 금융위기가 몰고온 경기 침체는 건축계에도 몰아닥쳤습니다. 2009년 <빌딩 디자인>은 두 유명 건축사무소의 2008-2009 회계년도 매출을 공개하며, 침체가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를 이야기했습니다. 자하 하디드 건축 사무소의 매출은 전년도에 비해 1/3 수준으로 급강하했고, 데이비드 아디아예는 지급 불능 상황을 맞이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2009년 아디아예 사무소는 워싱턴 D.C.에 세워질 스미소니언으 흑인역사문화박물관 설계 공모에 당선되며, 기사회생의 기반을 다졌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