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6-11 | AMD 오픈 아키텍처 챌린지 수상작

Editor’s Comment

인도적 위기에 대한 건축의 응답.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활동은 그렇게 요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1999년 설립 이래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2000년대는 여러 모로 분주했습니다. 전쟁, 재해, 질병 등 건축적 개입이 절실한 지역 공동체와 사회적 디자인을 고민하는 디자이너, 건축가를 연계하는 플랫폼으로서, 세계 곳곳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고 오픈소스 건축 네트워크를 여는가 하면 국제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하였지요. 인덱스 어워드, TED 프라이즈 등 수상도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어디로도 연결되지 않는 오늘 뉴스의 하이퍼링크들이 암시하듯,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는 2015년 파산을 신청하며 15년 활동의 막을 내렸습니다. 

인도주의적 비영리 건축 단체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Architecture for Humanity)가 주최한 공모전, 2007 AMD 오픈 아키텍처 챌린지의 수상작이 발표되었다. ‘디지털 포용[1](Digital Inclusion)’이라는 주제로, 컴퓨터를 이용하기 어려운 지역에 관련 기술 시설들을 제공할 수 있는 아이디어들을 모집했으며, 총 57개국 566개 작품이 응모했다. 올해 최우수 수상작은 글로벌 스튜디오(Global Studio)의 ‘SIDAREC 테크놀로지 허브(Slums Information Development And Resource Center Technology Hub)’에 돌아갔다.

아프리카 챌린지 부문 수상작이기도 한  ‘SIDAREC 테크놀로지 허브’는 케냐 나이로비 인근 마을의 청소년들에게 디지털 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곳이다. 센터 안에는 테크놀로지 미디어 랩과 도서관, 레코딩 스튜디오 등의 시설들이 들어서게 된다. 글로벌 스튜디오는 “지역의 문제는 지역적인 해결책을 필요로 한다”는 모토 하에, 젊은이들의 잠재성을 북돋고, 그리하여 이들이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 공동체를 개선하는 희망이 될 수 있는 센터를 디자인하고자 했다고 설명한다.

아시아 챌린지 부문에서는 맥스 포댐(Max Fordham LLP)의 ‘냐야 헬스 센터(Nyaya Health Center)’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네팔 고유의 ‘두르바르 광장’을 차용한 이 의료센터는, 인구 25만 명당 한 명의 의사만이 존재하는 열악한 의료 시스템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곳에서는 원격진료(tele-medicine) 서비스를 제공하여, 낙후한 네팔 농촌 주민들이 세계의 의료진으로부터 건강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세르비아의 이고르 타스코프(Igor Taskov)와 미국의 헤더 워렐(Heather Worrell), 천셰 테오(ChunSheh Teo)가 공동으로 디자인한 ‘칼라리 센터(Kallari Center)’는 남미 지역 챌린지 부문을 수상했다. 에콰도르의 유기농 코코아 재배자들을 지원하는 시설로, 주민들을 위한 쉼터인 동시에 초콜렛 공정무역이 이루어지는 마켓이기도 하다. 또한 에콰도르 내 다른 칼라리 공동체와의 연결 허브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이번 오픈 아키텍처 챌린지 공모전은 AMD의 50×15의 후원을 받아 개최되었다. 이 재단은 2015년까지 컴퓨터 및 인터넷 서비스 이용 인구를50%까지 확대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번 공모전에서 최고상을 수상한 글로벌 스튜디오는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와 50×15의 지원으로, 나이로비에 자신들의 제안을 실현에 옮기게 된다. 더불어 나머지 두 개 수상작의 건축을 목표로 현재 추가 기금을 모집 중이라고. 

www.openarchitecturenetwork.org

via inhabitat 

ⓒ designflux.co.kr


[1] 번역 수정: 포섭 -> 포용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9-24 | 나오토 후카사와의 ‘종이’ 제품들

일본의 전통 종이 화지에 신기술을 더해 태어난 새로운 종이가 디자이너 나오토 후카사와에게 재료로 주어졌습니다. 그리고 보통이라면 천이 사용될 만한 생활 용품들이 이 새 종이로 만들어졌지요. 바로 나오토 후카사와와 제지회사 오나오의 ‘시와’ 컬렉션입니다. 그렇게 탄생한 ‘시와’는 나오토 후카사와의 손길을 벗어난 지금에도 오나오의 제품 컬렉션으로서, 이제는 마스크로까지 제품군을 확장하며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2006-08-29 | 몰스킨의 “브랜드 고고학”

이 수첩은 본래 프랑스에서 태어났지만, 세계적으로 알려진 이름이 된 것은 이탈리아의 한 회사가 이 브랜드를 인수한 이후입니다. 바로 ‘몰스킨’의 이야기입니다. 2006년 이탈리아에서 다시 프랑스 브랜드로 되돌아간 몰스킨 소식을 계기로, 그해 오늘은 몰스킨의 부활의 밑거름이 된 배경을 살펴보았습니다. 모도 앤드 모도는 100년 동안 예술가들의 친구였던 이 수첩의 역사와 유산을 되살렸고, 애호가들은 기꺼이 몰스킨의 자발적 마케터가 되었습니다. 누군가는 이 놀라운 성공을 두고 “브랜드 고고학”이라 불렀죠. 

2006-08-16 | 역대 최고의 PC, ‘애플 II’

2006년 IBM PC 탄생 25주년을 기념하여 〈PC 월드〉 매거진이 역대 최고의 PC 25개를 꼽았습니다. 혁신성, 영향력, 디자인, 차별성 등을 기준으로 선정된 이 목록에서 가장 윗자리를 차지한 컴퓨터는 ‘애플 II’입니다. 1977년 출시된 애플 II는 “최초도 최첨단도 당시 가장 잘 팔린 모델도 아니었지만, 여러 모로 모든 것을 바꾸었던 기계”였다는 것이 〈PC 월드〉의 평이었습니다. 그렇게 애플 II는 개인용 컴퓨터라는 카테고리가 시장에 안착하는 데 크게 기여했죠. 

2011-06-02 | 스뇌헤타: SFMOMA 증축 설계안

지난 세기의 끝자락을 지나 이번 세기에 들어서도, 세계 곳곳에서 미술관의 신축 혹은 증축 소식이 연이어 전해졌습니다. 미술, 문화, 도시, 경제의 요구가 미술관을 교차하는 가운데, 특히 이 시기 후자의 관점에서 특정 미술관의 이름이 성공 신화로서 자주 불리우기도 했지요. 오늘의 뉴스는 2011년 발표된 SFMOMA의 증축 설계안입니다. 기존 마리오 보타가 설계한 적색 벽돌 건물 너머로 증축될 건물의 설계는 노르웨이의 스뇌헤타가 맡았고, 예정대로 2016년 5월 확장 공사를 마치고 재개관하였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