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6-10 | 굿디자인이란 무엇인가

Editor’s Comment

좋은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수없이 던져진 질문이고 어떤 대답은 무척이나 유명합니다. 디터 람스의 디자인 10계명처럼요. 이번에는 디자인 평론가 앨리스 로스손의 대답입니다. 그녀는 좋은 디자인인가를 생각할 때 짚어볼 다섯 가지를 제시합니다. 그것이 무엇을 하는지, 모습은 어떠한지, 어디가 새로운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죄책감을 일으키는지 말이지요. 그리하여 도달하는 좋은 디자인의 결론은 무엇인지, 오늘의 뉴스에서 만나봅니다.

런던 디자인 뮤지엄의 전 디렉터이자, 현재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의 디자인 비평가로 활동하고 있는 앨리스 로스손(Alice Rawsthorn)이”굿디자인이란 무엇인가?”라는 제목의 아티클을 발표했다. 6월 9일자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에 실린 이 글에서, 그녀는 좋은 디자인이란 무엇인가를 판단하기 위해 경유해야 할 다섯 가지의 경로를 제시한다. 그 내용은 1)그것이 어떤 일을 하는가, 2)어떻게 보이는가, 3) 어떤 점이 새로운가, 4)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하는가, 5) 마지막으로 그것이 우리에게 죄책감을 불러일으키는가로 요약된다. 로스손은 기능, 외관, 혁신, 사용자경험과 같은 익숙한 디자인 이슈들을 각각의 항목을 통해 설명한다. 다만 그 내용은 생각하는 것보다는 조금 더 복잡하다.

가령 이 디자인이 무슨 일을 하는가라는 질문은 단순히 기능의 효율적인 충족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외관의 문제를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우리 시대 ‘보기 좋은’ 수많은 이미지들의 환영 속에서 아름다움 자체도 복잡해져버린 시대를 살고 있음을 지적한다. 또한 새로움이 자동적으로 혁신적 디자인을 담보하지도 않는다. 1968년 3M이 개발한 종이 접착제는 기대한 것만큼 접착성이 강력하지 않았다. 로스손은 이 약점이 ‘포스트-잇’이라는 상품으로 전환되기 전까지는, 새롭기만 할 뿐 혁신적인 기술은 아니었노라고 이야기한다.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는가라는 이슈는 디지털 기기가 전면화된 요즘, 굿디자인의 핵심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분야에 있어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제품디자인을 압도하는 듯한 모습이다. UI가 사용자 경험을 주조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한, 깔끔하고 간결한 UI 디자인은 굿디자인의 핵심적인 미덕이 될 것이다. “iPhone이나 Wii와 같은 기기들은 순수한 즐거움을 주는” 좋은 UI 디자인의 사례일 것이다.

그리고 다소 의외로 들릴 수도 있겠지만 마지막 항목은 바로 죄책감이다. 앨리스 로스손은 “무엇인가 끝내주는 외양에 기능적이기까지 한 제품을 디자인한다 해도, 이 제품이 만일 우리에게 죄책감을 불러 일으킨다면 무슨 소용일 것인가?”라고 질문한다. 사실 윤리적인 디자인, 친환경적인 디자인에 대한 강조는 소수의 목소리로 간주되고 있지만, 그녀는 “비닐봉지가 얼마나 급속히 여러 국가에서 금기시되었는지 돌이켜보라”고 이야기한다.

결국 이 다섯 가지의 경로를 따라 도달하는 결론은, 굿디자인이란 “그것이 디자인되고 제조되며 마침내 폐기되기까지의 방식을 (사용자가) 확신할 수 있는 디자인”이다. 적어도 디자인이 어떤 결과물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닌 프리-프로덕션은 물론 포스트-프로덕션의 과정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그녀의 주장은 적절하다. 물론 이 모든 이야기가 너무 익숙하게 들릴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 모두 굿디자인의 요건들을 너무도 잘 알고 있다. 문제는 언제나 그 다음일 뿐이다.[1]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What is Good Design? 
[The New York Times] What is Good Design? (2021-06-10 주소 갱신)  

via core77

ⓒ designflux.co.kr


[1] 기사 이미지 교체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1-20 | 아이티를 위하여

거대한 자연 재해 앞에서 사람은 작고 무력하게만 느껴집니다. 하지만 재난의 잔해 속에서 다시 일어나는 것은 결국 사람의 몫이죠. 지난 15일 남태평양의 섬나라 통가 인근의 해저 화산 하파이가 폭발했습니다. 통신 두절로 몇일이 지나서야 피해 윤곽이 드러나기 시작한 가운데, 예상보다 인명 피해는 적은 것으로 보이지만 섬들을 뒤덮은 화산재로 인해 식수난이 심각하고, 또 구호를 위한 접근도 지연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부디 더 큰 피해 없이 구호와 복구가 이뤄지길 바라며, 오늘은 10년 전 대지진이 강타했던 아이티의 재건을 위해 복구 계획을 발표했던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이야기를 다시 만나봅니다. 

2008-07-07 | 잔디 사진

헤더 애크로이드와 댄 하비는 자연을 매체로 삼은 작업으로 유명한 미술가 듀오입니다. 특히 잔디를 이용한 사진 작품들이 널리 알려져 있는데요. 청사진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잔디의 감광성을 이용해 잔디판 위에 사진 이미지를 구현합니다. 2008년 두 사람은 윔블던 테니스 챔피언십의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여 잔디 사진들을 선보였습니다. 잔디 코트의 윔블던과 잔디 사진의 애크로이드 & 하비. 잔디는 그야말로 절묘한 매개체였습니다.

2007-08-23 | 북유럽의 새 바람, 무토

2006년 무토는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기치로, 북유럽 디자이너들에 의해 일신하는 북유럽 디자인을 선보이겠다는 포부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이제 무토라는 이름은 여기 한국의 소비자에게도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세계적인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2017년, 놀이 3억 달러를 들여 사들일 만큼요. 그런데 올해 놀이 허먼 밀러에 합병되었으니, 이제 무토도 ‘밀러놀’ 산하의 브랜드가 된 셈이군요.

2010-07-22 | 지금 멕시코만은

멕시코만 최악의 원유 유출 사건이 일어나고 3개월 후, 과연 수면 아래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었을까요. 2010년 7월, 천연자원보호협회가 심각한 바닷 속 상황을 담아 인터랙티브 인포그래픽을 공개했습니다. 디자인을 맡은 제이슨 비숍은 “수면에서 해저까지 잠수하듯 스크롤하여 내려가는 구성으로, 정보에 몰입할 수 있도록 했다”고 이야기합니다. 아쉽게도 2010년의 이 인포그래픽은 더 이상 볼 수 없지만, 대신 그로부터 10년 뒤의 현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