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5-02 | 가구로 다시 만나는 그녀, 발렌티나

Editor’s Comment

무성영화 시대의 배우 루이즈 브룩스를 빼어닮은, 핫셀블라드를 든 사진가안 그녀는 관능, 희열, 백일몽, 사도마조히즘의 위험한 여정을 걸어왔습니다. 이탈리아의 만화가 귀도 크레팍스의 대표작 〈발렌티나〉의 이야기입니다. 1965년에 태어난 발렌티나 시리즈는 1980년에 막을 내렸고, 작가 귀도 크레팍스도 2003년 세상을 떠났지만, 이 유명한 여인은 책을 떠나 2008년에는 가구의 모습으로 2017년에는 벽지의 모습으로 다시 찾아왔습니다. 

이탈리아의 만화가 귀도 크레팍스(Guido Crepax)의 만화가 가구로 탄생했다. 에네체로(Ennezero) 사의 ‘발렌티나(Valentina)’ 컬렉션은 크레팍스의 대표작 <발렌티나>의 장면들을 가구 위로 옮겨왔다. 이미 잘 알려져 있듯 귀도 크레팍스의 세계는 노골적인 성애와 사도마조히즘, 폭력의 색채로 가득하다. 자칫하면 외설로 전락했을 그의 작품들은 그러나 바르트의 표현을 빌면 ‘삶에 대한 위대한 메타포’이기도 하다. 에네체로의 ‘발렌티나’ 컬렉션은 바로 이 작품들의 장면을 가구 디자인에 적극 흡수한다. 디자이너 주세페 카네베세(Giuseppe Canevese)는 귀도 크레팍스에 바치는 오마주로서의 가구를 디자인했다. 만화의 장면들은 백색의 유광 MDF 판넬에 인쇄되어 가구를 장식하고 있는데, 가구의 서랍이나 문이 만들어내는 프레임이 자연스럽게 만화 속 프레임과 겹쳐지기도 한다. 그렇게 탄생한‘발렌티나’ 가구 컬렉션은 위험하면서도 유혹적인 크레팍스의 세계 분위기를 실내로 불러들이고 있다. 

디자인플럭스 ‘귀도 크레팍스를 추모하며’


via yanko design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0-22 | 긴축, 긴축, 긴축

쾅고(quango)는 정부가 상급 인사를 임명하고 재정지원도 하지만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반관반민 기관들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다만 여기에는 다소 경멸적인 어감이 깔려 있지요. 가령 국내 일간지의 칼럼에서 이 단어는 이렇게 등장합니다. “우리나라 같은 공공기관을 쾅고라고 조롱기 섞어 부르는 영국에선 같은 날 192개의 쾅고를 없앴다고 발표했다. 쾅고는 유사자치 비정부기구라는 뜻이다.” (...)

식사의 즐거움을 담은 비둘기 테이블

디자이너 듀오 뮬러 반 세베렌(Muller Van Severen)과 아티스트 겸 쉐프인 라일라 고하르(Laila Gohar)이 협업을...

2009-04-01 | 포켓 캠코더 ‘SAL’

이전의 것들이 자신의 운명을 모른 채 새로운 것과 경합을 한다고 믿었던 시기. 온갖 휴대용 기기가 스마트폰이라는 하나의 기기에 흡수되기 이전의 이야기입니다. 클라스카 호텔의 디자이너로 널리 알려진 디자이너 슈와 테이의 포켓 캠코더 디자인 소식입니다.

2010-08-06 | 빌 재너, “예술가의 손”

강남 하림타워를 파고 흐르는 곡면의 벽을 설계한 곳은 벡 그룹이지만, 그것을 구현한 곳은 재너입니다. 2009년 <와이어드>는 금속 엔지니어링과 제작의 스페셜리스트라 할 재너의 대표 빌 재너를 소개했습니다. 각종 건축물에서 미술 작품에 이르기까지, “예술가의 손”이 되어 그들의 비전을 실현하는 재너의 작업을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