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5-02 | 가구로 다시 만나는 그녀, 발렌티나

Editor’s Comment

무성영화 시대의 배우 루이즈 브룩스를 빼어닮은, 핫셀블라드를 든 사진가안 그녀는 관능, 희열, 백일몽, 사도마조히즘의 위험한 여정을 걸어왔습니다. 이탈리아의 만화가 귀도 크레팍스의 대표작 〈발렌티나〉의 이야기입니다. 1965년에 태어난 발렌티나 시리즈는 1980년에 막을 내렸고, 작가 귀도 크레팍스도 2003년 세상을 떠났지만, 이 유명한 여인은 책을 떠나 2008년에는 가구의 모습으로 2017년에는 벽지의 모습으로 다시 찾아왔습니다. 

이탈리아의 만화가 귀도 크레팍스(Guido Crepax)의 만화가 가구로 탄생했다. 에네체로(Ennezero) 사의 ‘발렌티나(Valentina)’ 컬렉션은 크레팍스의 대표작 <발렌티나>의 장면들을 가구 위로 옮겨왔다. 이미 잘 알려져 있듯 귀도 크레팍스의 세계는 노골적인 성애와 사도마조히즘, 폭력의 색채로 가득하다. 자칫하면 외설로 전락했을 그의 작품들은 그러나 바르트의 표현을 빌면 ‘삶에 대한 위대한 메타포’이기도 하다. 에네체로의 ‘발렌티나’ 컬렉션은 바로 이 작품들의 장면을 가구 디자인에 적극 흡수한다. 디자이너 주세페 카네베세(Giuseppe Canevese)는 귀도 크레팍스에 바치는 오마주로서의 가구를 디자인했다. 만화의 장면들은 백색의 유광 MDF 판넬에 인쇄되어 가구를 장식하고 있는데, 가구의 서랍이나 문이 만들어내는 프레임이 자연스럽게 만화 속 프레임과 겹쳐지기도 한다. 그렇게 탄생한‘발렌티나’ 가구 컬렉션은 위험하면서도 유혹적인 크레팍스의 세계 분위기를 실내로 불러들이고 있다. 

디자인플럭스 ‘귀도 크레팍스를 추모하며’


via yanko design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09-13 | 브라질의 이색 공중전화 부스

공중전화 부스 앞으로 차례를 기다리며 사람들이 줄지어 서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누군가에게는 먼 기억의 풍경이고 누군가에게는 한 번도 보지 못한 풍경이겠지요. 2006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브라질의 별난 공중전화 부스들을 소개했습니다. 앵무새, 과일을 닮은 원색의 부스부터 현대적인 파이버글래스 소재의 부스까지, 브라질의 사진 제작 회사 로스트 아트가 모은 이색 전화부스들을 만나봅니다.

2010-04-20 | 아키그램 아카이브 프로젝트

1961년부터 1974년까지, 적지 않은 세월 동안 그들이 낸 잡지는 단 9와 1/2호 뿐입니다. 하지만 이 ‘작은 잡지’가 남긴 반향은 세기를 넘어 섰지요. 영국의 실험적 건축 집단 아키그램의 이야기입니다. 2010년 영국 웨스트민스터 대학의 연구센터 EXP는 아키그램의 잡지부터 여러 프로젝트, 전시, 소속 멤버들에 관한 자료들을 망라한 온라인 아카이브를 열었습니다. 반갑게도 아카이브는 여전히 건재하고, 또 분명 방문할 가치가 있습니다. 

2010-10-06 | 홈메이드가 최고

이케아의 주방용품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를 보여주는 요리책. <홈메이드가 최고>는 스웨덴 전통 베이커리 30가지의 조리법을 담은 책입니다. 캠페인을 맡은 광고회사 포르스만 & 보덴포르스는 시각적으로 색다른 요리책을 선보였습니다. ‘하이패션이나 일본의 미니멀리즘’에 가까운 그런 사진들이 가득한 책을요. 

2010-03-15 | 언해피 힙스터

잡지에 소개될 만한 근사한 생활 공간을 삐딱하게 바라봅니다. 이름하여 ‘언해피 힙스터’라는 텀블러 블로그입니다. 벽을 대신한 창의 존재에서 창문 청소의 고단함을 예상한다거나, 이색적인 설계의 주택에서 건축주의 불만족을 상상하는 식이죠. 애석하게도 ‘언해피 힙스터’는 2015년 5월 18일 이후로 업데이트가 멈추었지만, 그래도 아예 사라지지는 않았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