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4-29 | 평범한 일상에 근거하라

Editor’s Comment

변화와 혁신을 말하는 목소리야말로 유일하게 변하지 않는 무엇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한 변화와 혁신은 평범하고 지루하기까지한 일상의 행동에서 비롯된다고 웬디 마치는 말합니다. 2008년 미국산업디자인협회의 컨퍼런스에서 그가 이야기했던 “평범한 미래”를 다시 만나봅니다.

4월 25일부터 27일까지, 미국 포틀랜드에서는 미국산업디자인협회(IDSA)의 컨퍼런스, IDSA 웨스턴 디스트릭트(IDSA Western Distric Conference)가 개최되었다. 디자인플럭스의 콘텐츠 파트너 core77은 3일 간의 컨퍼런스 소식을 전했는데, 특히 인텔의 웬디 마치(Wendy March)가 제기한 논점에 관해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인텔 내 인간과 행동(People and Practices) 연구 그룹의 리더인 그녀는, “평범함”에 초점을 맞춘 발표로 청중의 호응을 얻었다. “미래는 평범할 것이다”라는 이름의 대담에서, 그녀는 일상의 평범한 관점이 미래 기술을 결정하는 데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 또한 평범함이라는 관점을 통해 무엇인가를 배운다는 것이 연구자에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등을 이야기했다. 40분간 진행된 강연을 통해 마치는 신선한 논지를 제기했다. 

IDSA WDC 2008 패널들의 모습. 우측에서 두 번째 인물이 웬디 마치이다. 

그녀는 인도, 브라질, 중국 등의 국가에서 사람들이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이용하는가에 대한 연구를 몇 년간 수행해 왔는데, 연구의 관점은 첨단 기술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차원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한 관점은 설득력 있는 주장을 낳는다. 위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디자인은 일상적이며 심지어 지루하기까지 한 행동들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대부분의 연구자들과 제품 개발자들의 시선 속에 잘 포착되지 않는 부분들이다. 

웬디 마치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우리는 사물을 막힘없이, 또 쉽게 만들고자 노력한다. 하지만 어쩌면 사람들은 막힘 없고 쉬운 것을 바라지 않는지도 모른다.”

그녀는 위와 같은 논지를 뒷받침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례를 들었다고. 일본의 한 주부와 가진 인터뷰에서, 마치는 그녀가 돈을 어떻게 쓰는지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이 주부는 매주 현금 다발을 직접 가지고, 각기 다른 3개 은행의 계좌 세 군데에 예금하고 있었다. 이 주부에게 온라인 뱅킹을 하는 편이 좋지 않겠느냐고 묻자, 그녀는 “온라인 예금은 너무 비싸고 또 너무 쉽다”고 대답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후자의 대답이다. 그것이 너무 쉽기 때문에 오히려 피하게 되는 것. 말하자면 은행까지 걸어가 그곳에서 직접 돈을 예금하는 그 모든 과정이, 이 주부가 돈을 관리 방법에 결합되어 있다. 

via core77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2-04 | 올린의 새 얼굴, 새 웹사이트

세계적인 조경건축 디자인 회사 올린이 2009년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도입하며 그에 걸맞게 웹사이트도 새단장합니다. 리뉴얼을 맡은 펜타그램의 애벗 밀러는 간결함에 집중합니다. 그리고 이는 올린의 O를 강조한 디자인으로 드러나죠. O자에 담긴 두 개의 원에 집중한 단순한 디자인이지만, 다양한 색상과 유연한 로고 구성으로 지루함을 피했다는 설명입니다.

2010-11-17 | 2010 무토 탤런트 어워드

새로운 관점의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을 표방하며 출범한 브랜드답게, 무토는 2009년부터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디자인 학교 재학생이 참여하는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2010년 두 번째로 열린 공모전의 최고상은 스웨덴 콘스트파크에 재학 중이던 3인조 디자이너 왓츠왓 콜렉티브에게 돌아갔는데요. 이들이 선보인 플로어 조명 ‘풀’은 지금도 사랑받는 무토의 대표적인 제품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2007-01-24 | 일회용 정원, ‘B-백’

작년 농촌진흥청이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10명 중 5명이 “반려식물”에 관심이 더 커졌다고 답했습니다. 집에 머물러야 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집 안에 자연을 들이는 홈 가드닝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럽게 늘어났지요. 2007년에 전해드렸던 독특한 모양의 그로우 백 소식이 새삼 다시 눈에 띈 이유일지도요.

2010-05-10 | 가전제품의 에너지 소비량을 한눈에

지난 4월 21일은 ‘지구의 날’이었습니다. 11년 전, 이날을 즈음해 ‘GE 가전제품 에너지 사용’이라는 인터랙티브 데이터 시각화 사이트가 문을 열었습니다. 아이콘의 모습으로 사열한 가전제품마다 에너지를 얼마나 사용하는지, 또 와트라는 소비 단위가 돈으로는 얼마이며 석유로는 얼마나 되는지 등으로 변환하여 보여줍니다. “킬로와트라는 에너지 소비 주요 단위의 이해에 중심을 두고 접근했다”고 디자이너 리사 스트라우스펠드는 설명합니다. 작업 당시 펜타그램에 몸담고 있던 스트라우스펠드는 이후 블룸버그 최초의 데이터 시각화 팀 수장으로서 팀을 이끌었습니다. 이후 갤럽 등을 거쳐 현재는 인포메이션아트를 설립했습니다. 참고로 며칠 전 소개했던 ‘내셔널 디자인 어워드’의 2010년도 인터랙션 디자인 부문 수상자이기도 합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