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12 | 우연일까 표절일까

Editor’s Comment

“광고 속 우연의 일치를 좇는 사냥꾼.” 블로거 조 라 퐁프의 자기 소개입니다. 그는 1999년부터 우연인지 표절인지 유사한 광고 사례들을 소개해왔는데요. ‘오리지널’과 ‘레스 오리지널’이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광고를 나란히 올리고, 독자들은 우연일까 표절일까를 투표합니다. 참고로 2007년 오늘의 뉴스 속 광고들의 경우, 독자들도 표절 쪽에 손을 들었습니다. 

누구보다 창조적인 작품을 내놓고 싶은 디자이너들에게는 “나는 왜 저 생각을 못했지?”라는 한탄의 순간이 자주 찾아온다. 그리고 어떤 사람들은 그러한 한탄에서 머물지 않고, 은근슬쩍 표절의 단계로까지 나아간다. 이처럼 크리에이티브 업계에서 표절의 유혹이란 언제 어디에나 존재하고, 그 유혹에 굴복한 작품들 일부는 표절 사실이 밝혀져 두고두고 망신을 당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광고 전문 블로거 조 라 퐁프(Joelapompe)가 표절이 의심되는 광고 사례들을 게재했다. 이곳에서 보는 사람이 다 민망할 정도로 적나라한 유사 이미지들도 확인할 수 있다. ‘오리지널?’과 ‘레스 오리지널’이라는 분류를 통해 비슷한 광고들을 비교 게재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식이다. 2006년 사치&사치 에이전시가 제작한 ‘국경없는 기자’(우)는, 2002년 발표된 로웨 피렐라의 ‘멈추지 않고 외치는 기억’(좌)의 핵심 콘셉트가 그대로 반복된다. 물론 이곳에 게재된 모든 이미지를 표절이라 단언하기는 실제로 어렵겠지만, 유사한 아이디어와 콘셉트가 시차를 두고 반복되고 있음을 확인하기에 충분하다.

독일의 복제품 박물관(Museum Plagiarius)은 매년 최고의 ‘표절작’을 선정해 시상식을 개최한다. 어찌 보면 안타까운 일이다. 시상식을 개최할 수 있을 정도로 표절작들이 세상에 넘쳐난다는 뜻이니 말이다.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는 말을 변명으로 삼기 보다, “새로운 나쁜 것이 오래된 좋은 것보다 낫다”는 말을 따르는 편이 나을지도 모르겠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버려진 어망에서 의자로

스웨덴의 스튜디오 ‘인터레스팅 타임즈 갱즈(Interesting Times gangs)’는 재활용 어망과 목재섬유(Wood fiber)를 결합한 소재를 3D프린팅하여...

비 브릭(Bee Brick): 꿀벌의 도심 속 보금자리

영국 콘월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인 스튜디오 그린앤블루(Green&Blue)가 외톨이 꿀벌의 벌집 역할을 하는 건축용 벽돌을...

2009-09-23 | 그래피티 x 도자기

포르투갈의 디자인 회사 카브라세가는 거리의 예술가들을 초청해, 그래피티와 도자기라는 있을 법 하지 않은 만남을 이뤄냅니다. ‘올 시티’는 고풍스럽고 우아한 도자기 티세트에 그래피티라는 오늘의 시각문화, 오늘의 현실을 입혔습니다. 가령 미스터데오가 티세트에 유가 상승이라는 현실을 말그대로 ‘담았던’ 것처럼요. 

2007-08-10 | 시게루 반의 종이 다리

반 시게루에게 종이는 훌륭한 건축 자재입니다. 연약하다고 여겨지는 재료이지만 그것으로 만든 건축물까지 연약하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그는 ‘종이 건축’으로 반증해 보였지요. 2007년 오늘의 소식은 그가 프랑스에 지었던 종이로 된 다리입니다. 지관을 이용해 한 번에 스무 명이 지나가도 끄떡없는 종이 다리를 완성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