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25 | 메탈 셔터 하우스

Editor’s Comment

뉴욕 웨스트 첼시의 아트갤러리 지구에 자리한 이 11층짜리 주거용 건물은 차분하고 반듯하지만, 동시에 동적인 면모를 지녔습니다. 건물의 전면에 달린 천공을 낸 금속의 셔터가 닫힘과 열림을 통해 건물에 새로운 인상을 부여합니다. 개별 가구에는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빛을 조절하는 실용적인 요소이면서, 건축적으로는 변화하는 외벽이라는 개념의 구현이기도 했죠.

종이 건축으로 잘 알려진 일본의 건축가 시게루 반이 뉴욕 첼시의 한 주거용 빌딩의 디자인을 맡았다. 웨스트 첼시 아트 갤러리 구역에 들어서는 이 아파트는 사실 주변에 놀라운 이웃들을 두고 있다. 바로 옆에는 프랭크 게리가 디자인한 IAC 본사가 들어서 있고, 바로 그 건너편에는 현재 장 누벨이 디자인한 건물이 들어서고 있다. 이 블록은 새로운 뉴욕의 대담한 얼굴을 만들어가고 있는 현장인 셈이다. 

시게루 반의 이 아파트는 총 9채의 복층식 주택들이 들어서게 된다. 적어도 규모로 보는 이를 압도하는 그러한 종류의 프로젝트는 아닌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 이 건물은 웨스트 첼시의 또 하나의 명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건물의 파사드는 모터 방식으로 작동하는 금속 셔터로 구성되어 있다. 거리 쪽에 면한 창과 테라스를 개폐할 수 있는 메탈 스킨이 건물의 표면을 역동적으로 변모시키는 것이다. 이 건물은 아마도 셔터가 완전히 내려진 후에는 미니멀한 큐브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그동안 시게루 반은 ‘커튼 월 하우스’와 같은 작품을 통해 건물의 외벽 개념을 새롭게 제시한 바 있다. 이번 ‘메탈 셔터 하우스’는 비록 하늘거리는 커튼이 아닌 단단한 금속이기는 하나 커튼의 또 다른 연장으로서, 건물의 외벽에 변화를 불어넣는다. 또한 복층형 주택으로 자연스레 높은 창과 테라스가 강조된 구조인 만큼, 셔터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주거자들이 직접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적이기도 하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7-06 | 알록달록 제스처 인터페이스 장갑

제스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근미래의 일상으로 앞당겨 보여주었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개봉한 것이 2002년의 일입니다.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 터치가 우세종이 되었고, 이어 음성이 말 그대로 ‘어시스턴트’로서 일상화된 지금, 허공의 제스처도 그렇게 될까요? AR 장비가 보편화된다면 그럴지도요. 12년 전 오늘의 뉴스는 저렴한 라이크라 장갑으로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MIT의 두 연구자의 작업입니다.

2009-01-12 | 프로파간다 스타일로

『공산당 선언』의 마지막 구절이자 소비에트 공화국의 표어였던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를 21세기 미국의 백화점이 노골적으로 차용합니다. “만국의 소비자여 단결하라!” 그것도 소비에트의 시각적 선전 양식을 빌려서요. 프로파간다 스타일로 유명세를 얻은 셰퍼드 페어리가 디자인한 삭스 피프스 애비뉴의 뻔뻔한 광고를 다시 돌아봅니다.

2009-12-24 | OLPC 그 세 번째, ‘XO-3’

OLPC는 “한 아이마다 한 대의 노트북을”이라는 기치로 2005년 출범한 비영리 단체입니다. 100달러 가격의 저렴한 노트북을 개발하여 널리 보급함으로써, 세계 곳곳 어린이들의 정보 및 교육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였지요. 2009년 OLPC의 세 번째 모델인 ‘XO-3’의 디자인이 공개되었는데요. 디자인은 다시 한 번 퓨즈프로젝트가 맡아, 이번에는 노트북이 아닌 태블릿 형태의 PC를 보여주었습니다.  

디자인스토리 | 2009 | 타미네 자반바크트와의 대화

2009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초청으로 아르테니카(Artecnica)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타미네 자반바크트가 한국을 찾았다. 지난 9월 16일, 디자인플럭스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