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17 | 펫숍보이스의 QR 코드 뮤직비디오

Editor’s Comment

“잘못한 일이 없다면 두려워할 것 없지. 숨길 것이 있다면 아예 여기 있어서도 안돼.” 펫숍보이스의 〈인테그럴〉은 말하자면 빅브라더가 화자인 노래입니다. 그렇다고 그것이 부르는 이의 메시지는 아닙니다. “우리가 운용하는 체제에선 모두가 고유 번호를 가지지. 당신의 인생이 정보로 존재하는 상황으로 우리는 나아가고 있어.” 뮤직비디오는 그에 저항하는 메시지를 영상 속 QR 코드의 형태로 말없이 전합니다. 

아마도 펫숍보이스(Pet Shop Boys)의 <Integral> 뮤직 비디오는 QR 코드를 내장한 작품으로 기억될 것이다. 럼퍼스 룸(Rumpus Room)이 제작한 이 비디오 클립 이미지들의 사이 사이에는 100여 개의 QR 코드가 담겨 있다. QR 코드란 일종의 바코드로, 이를 통해 URL과 같은 디지털 정보를 카메라폰으로 읽어 들여 인식하게 된다. 당신의 휴대폰이 운좋게도 QR 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종이라면, 뮤직 비디오 속 QR 코드 이미지를 촬영해 해당 사이트로의 링크를 확인할 수 있다. 

사실 <Integral>은 ‘ID 카드’로 대표되는 개인정보의 중앙 관리화 움직임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는 노래로, 닐 테넌트의 표현을 빌면 “권위주의적인 신노동당 스타일의 정부 관점에서 부르는” 노래이기도 하다. 감시의 필요를 정당화하는 정부의 입김이 거세지는 가운데 이에 반대하는 사람들에게는 언제나 다음과 같은 말이 메아리처럼 돌아온다. “당신이 잘못한 일이 없다면, 숨길 것도 두려워할 것도 없지 않은가”. 

<Integral>은 바로 이러한 감시 옹호의 말을 서막으로 삼아 표면상으로는 개인들에게 시스템에 통합되어야 한다고 노래한다. 그러나 막상 비디오에 삽입된 QR 코드는 모두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옹호하는 온라인 사이트들로 향한다. 이 노래의 화자가 빅브라더라면, 인지 할 수 없는 형태로 삽입된 이들 코드야말로 <Integral>의 진짜 메세지라 할 수 있다. 

현재 펫숍보이스는 뮤직비디오의 스톱 프레임들을 PDF 파일 형태로 배포하고 있다. 파일의 각 페이지는 비디오의 한 프레임에 해당하며, 이를 수정하거나 내용을 첨가해 또 다른 버전의 <integral> 뮤직 비디오를 만들 수 있다. 만일 뮤직 비디오의 새로운 버전을 만들었다면 이를 YouTube <Integral> 그룹에 업로드하여 다른 이들과 공유할 수도 있다. 또 이 그룹 페이지에는 비디오를 제작한 럼퍼스 룸이 직접 설명하는 작품 콘셉트와 제작 과정 영상도 올라와 있으니 참조할 만 하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사물이 말을 한다면 #4 노매드, 스마트폰

오늘로 몇 번째일까? 그 누구라도, 안전 장치 없이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일은 살면서 정말...

2011-08-02 | 『폰트북』, 아이패드 속으로

폰트숍 인터내셔널의 “커다란 노란 책”이 아이패드 속으로 들어왔습니다. 마치 폰트 자체가 디지털화되었듯, 『폰트북』도 디지털 앱이 되었죠. 덕분에 110여 서체제작소의 62만여 폰트 정보를 3kg에 달하는 육중한 책을 뒤적이는 대신, 가볍게 또 간편하게 검색하고 비교해 볼 수 있었습니다. 앱 출시 이후 애석하게도 『폰트북』은 출간이 중단되었는데요. 어째서인지 지금은 『폰트북』 앱도 찾아볼 수가 없군요. 

2010-04-20 | 아키그램 아카이브 프로젝트

1961년부터 1974년까지, 적지 않은 세월 동안 그들이 낸 잡지는 단 9와 1/2호 뿐입니다. 하지만 이 ‘작은 잡지’가 남긴 반향은 세기를 넘어 섰지요. 영국의 실험적 건축 집단 아키그램의 이야기입니다. 2010년 영국 웨스트민스터 대학의 연구센터 EXP는 아키그램의 잡지부터 여러 프로젝트, 전시, 소속 멤버들에 관한 자료들을 망라한 온라인 아카이브를 열었습니다. 반갑게도 아카이브는 여전히 건재하고, 또 분명 방문할 가치가 있습니다. 

2011-01-05 | 미국 산업 디자인 역사를 우표에

2011년 미국 우정청이 미국 산업 디자인의 선구자 12인의 디자인을 기념하는 우표 시리즈를 발행했습니다. 1930년대부터 1960년대 사이, 현대 미국의 외양을 만드는 데 기여했던 디자이너들의 대표작이 우표에 담겼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