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8-23 | 북유럽의 새 바람, 무토

Editor’s Comment

2006년 무토는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기치로, 북유럽 디자이너들에 의해 일신하는 북유럽 디자인을 선보이겠다는 포부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이제 무토라는 이름은 여기 한국의 소비자에게도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세계적인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2017년, 놀이 3억 달러를 들여 사들일 만큼요. 그런데 올해 놀이 허먼 밀러에 합병되었으니, 이제 무토도 ‘밀러놀’ 산하의 브랜드가 된 셈이군요.

덴마크의 새로운 디자인 회사 무토(Muuto)가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에 새로운 바람을 몰고 있다. 무토란 이름은 ‘변화’, ‘신선한 관점’을 의미하는 핀란드어 무토스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회사명이 암시하듯 무토는 신선한 디자인, 신선한 관점으로 국제 디자인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스칸디나비아를 대표하는 디자인 회사로 우뚝 서기 위해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등 스칸디나비아 각지에서 뽑은 디자이너들을 고루 포진했다. 서로 다른 환경의 디자이너들이 자신만의 디자인 철학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되, 소속된 모든 디자이너가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무토의 공동 설립자인 크리스티안 뷔르게(Kristian Byrge)는 “여러 나라에서 온 디자이너들이 무토의 디자인에 다양성과 개성을 부여한다. 이들은 노르딕 유산으로 연결돼 있다. 이는 무토가 자랑하는 유산이자, 모든 디자이너가 전문적인 한 부분으로 언제나 지니고 있는 것들이다.”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의 유산을 이어받은 동시에 그에 새로운 관점을 불어넣으려는 이들의 야심찬 도전이 어떤 결실을 맺을지 주목된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전시 ‘묘한 감각이 좋다: ASMR의 세계’

영국 런던 디자인뮤지엄(Design museum)에서 2022년 10월 16일까지 ‘묘한 감각이 좋다: ASMR의 세계(WEIRD SENSATION FEELS...

식사  ‘매너’로 펼치는 퍼포먼스

지난 3월 17일, 덴마크 패션 브랜드 슬로트 로우싱(Sloth Rousing)의 의상 컬렉션이자 설치 작업인 ‘매너(Manner)’가...

2010-04-13 | 엔초 마리 ‘자급자족 디자인’ 부활

작년 한 해 코로나19가 안긴 수많은 부고 가운데 안타깝게도 엔초 마리와 그의 부인 레아 베르지네의 타계 소식이 있었습니다. 그것도 밀라노 트리엔날레에서 열린 회고전의 개막 직후의 일이었습니다. 오늘의 뉴스는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입니다. “디자인은 지식을 전할 때 오로지 디자인이다.”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은 완성품으로서의 가구가 아니라 지식으로서의 가구를 전했습니다. 2010년 아르텍은 그 ‘자급자족 디자인’의 첫 번째 가구인 ‘의자 1’을 다시 소개하며 엔초 마리에게 경의를 표했습니다. 기사에 언급된 짤막한 다큐멘터리에서 그의 모습과 그가 믿는 디자인 이야기도 다시 만나봅니다.

깨끗한 옷을 입을 권리: 모두를 위한 세탁기 프로젝트

2019년에 설립된 사회적 기업, ‘세탁기 프로젝트(The Washing Machine Project)’에서는 누구나 깨끗한 옷을 입을 권리가...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