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8-23 | 북유럽의 새 바람, 무토

Editor’s Comment

2006년 무토는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기치로, 북유럽 디자이너들에 의해 일신하는 북유럽 디자인을 선보이겠다는 포부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이제 무토라는 이름은 여기 한국의 소비자에게도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세계적인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2017년, 놀이 3억 달러를 들여 사들일 만큼요. 그런데 올해 놀이 허먼 밀러에 합병되었으니, 이제 무토도 ‘밀러놀’ 산하의 브랜드가 된 셈이군요.

덴마크의 새로운 디자인 회사 무토(Muuto)가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에 새로운 바람을 몰고 있다. 무토란 이름은 ‘변화’, ‘신선한 관점’을 의미하는 핀란드어 무토스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회사명이 암시하듯 무토는 신선한 디자인, 신선한 관점으로 국제 디자인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스칸디나비아를 대표하는 디자인 회사로 우뚝 서기 위해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등 스칸디나비아 각지에서 뽑은 디자이너들을 고루 포진했다. 서로 다른 환경의 디자이너들이 자신만의 디자인 철학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되, 소속된 모든 디자이너가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무토의 공동 설립자인 크리스티안 뷔르게(Kristian Byrge)는 “여러 나라에서 온 디자이너들이 무토의 디자인에 다양성과 개성을 부여한다. 이들은 노르딕 유산으로 연결돼 있다. 이는 무토가 자랑하는 유산이자, 모든 디자이너가 전문적인 한 부분으로 언제나 지니고 있는 것들이다.”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의 유산을 이어받은 동시에 그에 새로운 관점을 불어넣으려는 이들의 야심찬 도전이 어떤 결실을 맺을지 주목된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8-12 | 좋은 날씨

2011년 시각 예술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인 사라 일렌베르거의 개인전이 열렸습니다. ‘좋은 날씨’는 그의 작업을 망라한 첫 모노그래프 출간을 기념하여 열린 전시이기도 합니다. 그가 택하는 작업의 재료는 대체로 입체의 사물입니다. 그것을 그대로 설치하거나 아니면 사진을 찍어 이미지로 만들지요. 어떤 매체의 표현을 빌리자면 “3D 일러스트레이터”라고 할까요. 사라 일렌베르거의 시각 세계를 다시 만나봅니다. 

우리가 만든다: 소녀 목공 클럽

텍사스 사막 위의 작은 마을 마파에 위치한 마파 목공 클럽(Lumber Club Marfa)은 7세에서 14세...

식사  ‘매너’로 펼치는 퍼포먼스

지난 3월 17일, 덴마크 패션 브랜드 슬로트 로우싱(Sloth Rousing)의 의상 컬렉션이자 설치 작업인 ‘매너(Manner)’가...

2011-07-14 | 도시 별보기

도시의 밤은 너무 밝고, 그 밝음을 이겨낼 별은 많지 않습니다. 프랑스의 디자이너 오스카 레르미트는 그래서 도시의 밤에 인공의 별자리를 선사하기로 했지요. 직경 1mm도 되지 않는 가는 실과 태양광 LED 전구로 디자인한 전에 없던 별자리. 그렇게 레르미트는 ‘도시 별보기’로 런던의 밤에 새로운 별을 수놓았습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