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8-10 | 시게루 반의 종이 다리

Editor’s Comment

시게루 반에게 종이는 훌륭한 건축 자재입니다. 연약하다고 여겨지는 재료이지만 그것으로 만든 건축물까지 연약하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그는 ‘종이 건축’으로 반증해 보였지요. 2007년 오늘의 소식은 그가 프랑스에 지었던 종이로 된 다리입니다. 지관을 이용해 한 번에 스무 명이 지나가도 끄떡없는 종이 다리를 완성했지요. 

종이로 된 다리를 건넌다? 종이 인형이라면 모를까, 가능한 일일까? 하지만 섣부른 판단은 금물. 일본의 건축가 시게루 반은 상상 속에나 가능한 일을 눈 앞에 펼쳐낸다. 그의 전작들을 떠올려본다면 그리 새로운 일은 아니다. 종이 집, 종이 교회 등 일련의 작품을 통해, 일체의 장식 없는 미니멀한 구조 미학과 재활용 종이나 두꺼운 판지, 대나무 등 약한 재료를 이용한 건축 테크놀로지를 강조한 바 있다.

종이 파이프 조립 분야의 개척자인 시게루 반은 환경 친화적인 가벼운 재료를 이용해, 건축 프로젝트에 생태학적 요구와 지속가능성을 결합시킨 대표적인 인도주의 건축가다. 약한 자재나 재료를 선호하는 그는 재료들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구조물의 강도 및 미학적 효과가 달라진다고 보았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더 튼튼한 재료, 더 비싼 재료 등이 작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는 편견에 사로잡혀 있다. 시게루 반은 이러한 고정 관념에 얽매이지 않는 새로운 제작 방식을 보여준다.

이번에 선보인 종이로 된 다리는 UN 세계 유적지로 선정된 프랑스 남부의 퐁뒤가르 다리에서 반 마일 정도 떨어진 가르동 강에 위치한다. 돌로 지어진 퐁뒤가르 다리와 종이 다리는 매우 흥미로운 대조를 이룬다. 돌 다리와 비교해 한없이 약해 보이는 종이. 시게루 반은 이러한 편견을 없애기 위해, 종이 역시 반영구적이며 강하며 오래 지속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이는 24 명의 프랑스 건축과 학생들과 3 명의 일본 학생들의 도움으로 한 번에 20 명이 지나가도 끄떡없는 7.5 톤 무게의 종이 다리를 완성하는 계기가 됐다. 자재의 강도가 구조물의 강도를 좌우한다는 편견을 한방에 날린 셈이다. 

종이 다리는 폭이 11.5 센티미터, 두께가 11.9 밀리미터인 종이 파이프 281 개로 제작됐다. 종이의 보강재료는 모래로 채워진 나무 박스. 여러 개의 종이 파이프들을 엮어 강 위에 다리를 만들어내고, 사람들이 지나갈 수 있을 만큼 튼튼한 구조물을 완성한 것이다. 이는 정확하게 계산하고 창조적으로 고안한 설계과정이 뒷받침됐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시게루 반은 줄곧 “다리는 내 꿈의 하나였다”고 말한다. 약한 자재나 재료를 선호하고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는 새로운 제작 방식과 건축 테크놀로지로 드디어 그 꿈을 이뤄낸 것이다. 그의 최신 작품인 종이 다리는 6주 동안 대중들에게 공개될 예정이며 장마 기간이 시작되기 전에 철수할 예정이다. 종이로 된 다리를 건너고 싶다면, 서둘러야 할 듯.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6-09 | 이란의 블로고스피어

2008년 오늘 디자인플럭스에는 다소 낯선 주제의 소식이 올라왔습니다. 이란의 블로고스피어를 다룬 하버드 버크먼 인터넷과 사회 센터의 연구 내용인데요. 2000년대 블로그는 커뮤니티와 소셜네트워크의 근거지였고, 그러한 블로그들의 연결 집합체인 블로고스피어는 거대한 온라인 생태계였습니다. 14년 전 오늘의 소식은 한 국가의 블로고스피어가 어떤 식으로 지도화되는지 그 안에서 어떠한 주제와 이슈가 등장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또 그 국가가 이란이라는 점에서도 흥미로웠습니다. 

센트럴파크 한복판에 등장한 황금 큐브

지난 2일, 뉴욕 센트럴 파크 한복판에 186kg의 황금 큐브가 설치되었다. 독일의 현대미술가 니클라스 카스텔로(Niclas...

식사  ‘매너’로 펼치는 퍼포먼스

지난 3월 17일, 덴마크 패션 브랜드 슬로트 로우싱(Sloth Rousing)의 의상 컬렉션이자 설치 작업인 ‘매너(Manner)’가...

머릿속을 꺼내 보는 방법, MRI를 활용한 3D 프린팅 뇌

뉴저지 맥네어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엘레나 말롯이 MRI 스캔을 활용하여 뇌의 구조 전체를 3D 프린팅...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