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8-09 | 앱솔루트 그리치치

Editor’s Comment

지난주에 이어 또 하나의 앱솔루트 관련 소식입니다. 이번에는 앱솔루트가 담겨 나갈 유리잔 이야기인데요. 레스토랑과 바를 위한 이 앱솔루트 글래스웨어의 디자인을 맡은 사람은 콘스탄틴 그리치치였습니다. 한편 이 프로젝트는 디자인 트렌드 블로그 ‘다비드 리포트’의 다비드 카를손이 수퍼바이저로 참여했다는 점에서도 눈길을 끌었습니다.

디자인 블로그 David Report를 운영하고 있는 다비드 카를손(David Carlson). 그가 직접 디렉팅을 맡아 진행해 온 앱솔루트의 글래스웨어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자신의 사이트에 공개됐다. 

보드카 브랜드 앱솔루트는 1년 전부터, 레스토랑과 바를 위한 유리잔 제품을 개발해 왔다. 다비드 카를손은 동료 마르텐 크누트손(Marten Knutsson)과 함께 이 프로젝트의 수퍼바이저를 맡았는데, 카를손은 “몇 가지 초기 연구를 마치고 우리는 이 프로젝트에 콘스탄틴 그리치치 만한 디자이너는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설명한다. 그리하여 마침내 앱솔루트 그리치치(Absolut Grcic) 컬렉션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콘스탄틴 그리치치라는 선택에는, “완벽주의자인 동시에 실용주의자”인 그리치치의 디자인 아이덴티티가, 브랜드 앱솔루트의 핵심을 이루는 투명성과 단순성 그리고 완벽함과 조화를 이룰 것이라는 기대가 담겨 있었다. 그리고 보는 것처럼, 앱솔루트 그리치치의 유리잔들은 그와 같은 기대를 충분히 실현해냈다. 살짝 위로 들어올려진 유리잔의 바닥에는 ABSOLUT 로고가 강조점처럼 자리잡고 있다. 샷 글래스, 칵테일 글래스, 롱 드링크 글래스 등으로 구성된 앱솔루트 그리치치는 간결하면서도 완벽한 감흥을 전한다. 

“얼른 바에서 이 잔에 담겨 나오는 음료나 술을 마셔보고 싶다”. 프로젝트를 마친 다비드 카를손의 최종 소감이다. 앱솔루트 그리치치 컬렉션의 상세한 사진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David Report] ABSOLUT GrcicABSOLUT glassware by Konstantin Grcic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Sad by Design: On Platform Nihilism

“뉴노멀에 온 걸 환영한다.” 시작부터 이런 달갑지 않은 문장이 등장한다. 지겹게 들어온 뉴노멀 타령인가...

2011-06-14 | 패러디자인

2011년 SFMOMA는 자신의 소장품 가운데 패러(para-)라는 접두사로 묶어낼 수 있는 디자인, 그러니까 소장품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체로 '기타'로 분류되던 디자인들을 추려 전시를 열었습니다. 이름하여 ‘패러디자인’ 전은 디자인의 규범과 관습에 의문을 제기하는 저 너머의 디자인, 정상적인 것과는 떨어져 있는 디자인 100여 점을 선보인 자리였습니다.

2011-10-28 | 헬프의 새 포장 디자인

의약품계의 미니멀리즘이라고 할까요. 헬프라는 이름의 제약 회사는 많은 것을 ‘덜어내는’ 방식으로 차별화를 도모했습니다. 간결하고 단순한 포장, 평문으로 된 증상을 강조한 제품명처럼 말이죠. 2011년 헬프는 “테이크 레스”라는 캠페인을 전개하며, 리브랜딩을 진행했습니다. 미니멀의 기조는 여전히 유지하되 시각성을 조금 더 높이는 방향으로요. 

2007-11-29 | 당신의 기억보다 나은

2007년 디자인 마이애미/의 ‘디자인 퍼포먼스’ 현장. 그곳에 디자이너 제이슨 밀러는 최면술사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지원자에게 최면을 걸고 인터뷰를 진행하여, 마음 속에 잠든 의미 있는 과거의 오브제를 찾아내, 새 디자인의 바탕으로 삼겠다는 것이었지요. 정말로 “더 나은” 결과물이 나왔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그의 퍼포먼스가 말 그대로 클라이언트의 “마음을 읽는” 디자인을 겨냥했다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