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16 | IDEO 셀렉션

Editor’s Comment

쿠퍼 휴잇 스미소니언 디자인 뮤지엄의 게스트 큐레이터 전시 시리즈에, 처음으로 사람이 아닌 회사가 초청되었습니다. ‘디자인 사고’로 유명한 회사 IDEO가 그 주인공입니다. 큐레이터로서 IDEO는 16세기 알브레히트 뒤러의 패턴부터 1941년의 손전등까지 영감, 공감, 직관의 관점에서 뮤지엄의 영구 소장품을 선별하여 전시작을 선별하였습니다.

큐퍼 휴잇 뮤지엄이 진행하는 릴레이 큐레이팅 시리즈 그 네 번째. 이번 전시의 기획자는 특정 개인이 아닌 ‘회사’다. 20여 년 넘도록 혁신을 선도하는 디자인 회사로 확고한 명성을 구축한 IDEO가 그 주인공이다. IDEO는 쿠퍼 휴잇의 영구 소장품을 자신들만의 시선으로 재구성하여 관객들 앞에 선보인다. 이름하여 ‘IDEO 셀렉션(IDEO Selects: Works From the Permanent Collection)’의 전시가 그것이다. 

IDEO는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라는 테마를 통해 수 세기 전의 작품에서 오늘날의 디자인에 이르는 방대한 컬렉션을 재배치한다. 이들은 영감(inspiration), 공감(empathy), 직관(intuition)의 세 가지 렌즈를 통해 작품들을 들여다보았다. 디자이너를 자극하는 추동요소와, 오브제가 창조되고 사용되는 맥락에 초점을 둔 큐레이팅이라 할 것이다. 

어쩌면 사용자를 중심에 둔 혁신적인 디자인 아이디어로 명성 높은 IDEO의 성격을 그들의 큐레이팅에서 엿볼 수 있을 지도 모른다. ‘IDEO 셀렉션’ 전시는 오프라인은 물론 온라인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특히 온라인 전시에서 방문객들은 IDEO의 선정작에 의견을 남기거나, 혹은 자신이 선택한 또 다른 ‘선정작’ 리스트들을 덧붙일 수도 있다. 이번 전시는 내년 1월 20일까지 계속된다. 

온라인 전시 바로 가기 
https://collection.cooperhewitt.org/exhibitions/35350901/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7-14 | 도시 별보기

도시의 밤은 너무 밝고, 그 밝음을 이겨낼 별은 많지 않습니다. 프랑스의 디자이너 오스카 레르미트는 그래서 도시의 밤에 인공의 별자리를 선사하기로 했지요. 직경 1mm도 되지 않는 가는 실과 태양광 LED 전구로 디자인한 전에 없던 별자리. 그렇게 레르미트는 ‘도시 별보기’로 런던의 밤에 새로운 별을 수놓았습니다. 

머릿속을 꺼내 보는 방법, MRI를 활용한 3D 프린팅 뇌

뉴저지 맥네어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엘레나 말롯이 MRI 스캔을 활용하여 뇌의 구조 전체를 3D 프린팅...

2009-06-30 | 쿠션을 구하는 스툴

보통 소파나 안락의자에 놓던 쿠션을, 가장 단순한 의자인 스툴에 선사했습니다. 5.5 디자이너스의 스툴 ‘탭’은 쿠션을 놓기 좋게 오목한 시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실내에 조화를 불러오는 쿠션의 힘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스툴. 5.5 디자이너스가 제공하는 것은 거기까지입니다. 실제로 쿠션을 구해 얹는 일은 사용자의 몫이었죠. 5.5 디자이너스가 이 의자를 두고 “미완성 상태에 놓인 절반의 물건”이라고 했던 까닭입니다.

2011-11-11 | 벌레에게 배우다

공기에서 물을 얻다. 에드워드 리너커의 ‘에어드롭 관개법’이 2011년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를 수상했습니다. 그는 가뭄을 이겨낼 방법을 나미브 사막에 사는 딱정벌레에게 찾았는데요. 벌레가 안개로 물을 만들어 마시듯, ‘에어드롭 관개법’도 공기에서 물을 만들어냅니다. 자연을 선생으로 삼는 ‘생체모방’ 디자인의 사례라 하겠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