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09 | [웹갤러리] SevenRoads.org

Editor’s Comment

디자인플럭스 초창기, 뉴스 속 하나의 코너로 마련되었던 [웹갤러리] 시리즈. 오늘은 그중 책에 남은 출판 라벨을 모은 온라인 아카이브인 세븐로즈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멀리는 1841년 발행된 책에서부터 지역으로는 여기 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운영자들이 수집한 각종 라벨들을 만나볼 수 있는 곳입니다. 오늘자 뉴스로 이곳을 소개할 수 있었던 이유는, 여전히 운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제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단순한 사실이 더욱 반가운 세븐로즈를 만나봅니다. 

인터넷 상에서 책을 검색한다고 생각해보자. 인터넷 서점들의 검색 카테고리가 그러하듯, 서명이나 저자명 혹은 출판사의 이름이 주요 경로가 될 것이다. 하지만 사실 한 권의 책이 세상에 나와 누군가의 손에 당도하기 까지를 돌이켜보면, 책의 여행은 작가의 손을 떠나 편집자를 거쳐, 제본소와 서적 도매상, 그리고 판매자에서 독자에 이르는 그 모든 과정을 뜻할 것이다. 

과거 출판사, 제본소, 서적 수입업자, 배급자, 서점은 책에 자신들의 얼굴을 작게나마 남겨놓곤 했다. 그것이 바로 출판 라벨이다. 오래된 책의 경우라면 더더욱, 책의 마지막 페이지 쯤에서 이들 라벨을 볼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 세븐로즈(SevenRoads.org)는 바로 이들 라벨을 모아 만든 온라인 아카이브다. 

세븐로즈에서 우리는 낡은 서적들에서 발견한 출판 라벨 컬렉션을 만나볼 수 있다. 컬렉션은 1841년 발행된 서적에 붙어있던 한 제본소의 라벨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가 하면, 지역 서점의 상호명을 담은 스탬프형 인지까지 포함할 정도로 세심한 구성을 보여준다. 

이들 컬렉션은 개별 서적에서 찾아낸 실제 라벨은 물론, 도서관 등에서 발견한 라벨을 디지털 스캔하여 보정한 가상 라벨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미지들은 알파벳 순으로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이미지를 누르면 보다 큰 사이즈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세븐로즈를 꾸려가는 사람들은 각각의 라벨에 담긴 특징이나, 발행 기관에 관한 연구도 진행중이라 한다. 조만간 그와 관련한 이야기들을 소개할 예정이라 하니 컬렉션의 두께도 한층 더해질 것이다. 

사이트의 이름은 샌프란시스코의 한 서점에서 빌려온 것이라 한다. 세븐로즈의 주인장 그렉 킨덜(Greg Kindall)이 대학 시절 즐겨찾던 서점의 이름으로, ‘7개의 길’은 중세시대 문예학을 구성했던 7개의 분과—트리비움(trivium)과 쿼드리비움(quadrivium)—를 이르는 말이다. 책을 향한 애정을 나누기에 적당한 이름이 아닐까 한다. 

http://sevenroads.org/Bookish.html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8-04 | 비행 도시

유서 깊은 도자 기업과 현대미술가가 만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님펜부르크 처음으로 협업을 청한 '미술가'는 카르슈텐 횔러입니다. '비행 도시'는 20세기 초 러시아의 구성주의 건축가이자 미술가인 게오르기 크루티코프가 구상한 동명의 도시 구상 그리고 1894년 찰스 베넘이 발명한 흥미로운 색상 착시 장난감을 원천으로 삼았습니다. 그리고 통상의 제품 형식과 '설치 작품'의 형식 두 가지로 결과물을 선보였지요. 오늘은 도자 기업과 미술가의 흔치 않은 만남을 다시 살펴봅니다.

2011-10-12 | 월스트리트 점령 운동에 로고를

“월가를 점령하라”. 2011년 가을 뉴욕 월스트리트를 메운 외침에 상징을 부여하려는 디자이너들이 있었습니다. 디자이너 시모어 콰스트는 <뉴욕 타임스>에 “모든 운동에는 로고가 필요하다”는 글을 기고하며, 자신을 포함해 체르마예프 & 게이스마, 지 리 등 여러 디자이너들이 제안한 로고들을 소개했습니다. 

2011-01-25 | MoMA, 디지털 서체 23종 소장

2011년 벽두, 디지털 서체가 대거 뉴욕 현대미술관(MoMA)의 소장품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이전까지만 해도 헬베티카가 MoMA가 소장한 유일한 디지털 서체였지만, 2011년 1월 24일을 기점으로, 23종의 서체들이 이에 합류했죠. 그중에서도 한때 막강한 듀오였으나 껄끄럽게 결별한 조너선 헤플러와 토바이어스 프레르-존스를 비롯해, 매튜 카터의 서체들이 목록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2007-08-13 | 알루미늄 아이맥

2007년은 아이맥이 처음으로 알루미늄 몸체를 갖게 된 해입니다. 형태 면에서 G5부터 이어져 온 모니터 형태의 일체형 디자인을 이어가되, 재질 면에서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과 완전히 단절하고 알루미늄으로 넘어왔습니다. 올해 애플 자체 프로세서인 애플 실리콘을 탑재한 새 아이맥이 등장하기 전까지, 은색 알루미늄 바디와 검은색 배젤 그리고 전면 하단 로고가 아이맥 하면 떠오르는 모습이었습니다. 아직은 기존의 인텔 아이맥과 색색의 실리콘 아이맥이 공존하고 있지만, 머지 않아 과거의 것이 될 ‘그’ 아이맥의 시작으로 돌아가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