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6-27 | 최고급 보석을 훔치다

Editor’s Comment

마이크와 마이커는 세상 값진 보석들을 훔쳐와 자신들만의 장신구 컬렉션을 만들었습니다. 악명 높은 이멜다 마르코스의 그 반 클리프 & 아펠 루비 목걸이라던가 카르티에의 ‘투티 프루티’ 같은 것들을요. 물론 그들이 훔친 것은 실물이 아니라 이미지입니다. 그것도 저해상도의 이미지였죠. 실재하는 것의 열화 이미지를 다시 실물화한 장신구 컬렉션, ‘훔친 보석’입니다.

마이크 앤드 마이커(Mike and Maaikie)는 세계에서 가장 값비싼 보석을 ‘훔쳐’ 자신들만의 컬렉션을 만들었다. 이들의 ‘훔친 보석(Stolen Jewels)’ 시리즈는, 카르티에 같은 유서 깊은 보석 브랜드의 제품은 물론이고, 악명 높은 이멜다 마르코스의 루비 목걸이 같은 유명 장신구의 ‘이미지’를 훔쳐 만들었다. 

마이크 앤드 마이커는 구글 이미지 검색을 통해 이들 보석류의 컬렉션 이미지를 수집하여, 이를 픽셀화된 저해상도 이미지로 변형시켰다. 그리고 이를 다시 프린팅하여 가죽류에 부착하여 만들어낸 것이 바로 ‘훔친 보석’ 컬렉션이다. 즉 이 모든 디자인에는 실재하는 원본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를 초저해상도의 이미지로 변환함으로써, 마이크 앤드 마이커는 보석에 관한 근본적인 질문을 은근슬쩍 제기한다.

보석만큼 한 대상의 실제 가치와 인지적 가치 상의 차이를 극명하게 드러내는 예가 있을까? 흔히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를 비교할 때 대표적으로 드는 예가 바로 보석이 아니었던가. 이들은 유형의tangible 실재 보석과 가상의virtual 픽셀화된 이미지의 대조 속에, 보석의 실제 가치와 인지 가치의 차이를 겹쳐놓는다. 물론 모자이크 처리라도 된 듯한 픽셀 디자인이 보여주는 흥미도 빼놓을 수 없겠지만 말이다. 

https://www.mikeandmaaike.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8-03 | 앱솔루트 블랭크

앱솔루트 병 모양의 캔버스 위로 20인의 차세대 아티스트가 작업을 펼쳤습니다. 회화에서 영상, 조명 인스톨레이션까지, 각자 “자신의 것”을 선보였죠. 2011년 오늘의 소식은 앱솔루트가 전개했던 ‘앱솔루트 블랭크’ 캠페인입니다.

2010-06-10 | 아파트먼트 50

르 코르뷔지에의 집합주택에 부룰렉 형제의 가구가 안착했습니다. 2010년 위니테 다비타시옹에서 열린 ‘아파트먼트 50’ 전시입니다. 실제 사람이 살고 있는 주거 공간이면서 동시에 현대 집합주택의 시초인 위니테 다비타시옹에 부합할 만한 디자인들이 선별되어, 현실의 생활 공간이자 역사적 공간인 아파트에서 오는 이를 맞이하였습니다.

Design of Voice #3 두연씨, 우리 잘 먹고 잘 살아요.

매년 돌아오는 여름이지만 올해 유난히 ‘이렇게까지 더웠던 적이 있었나?’라는 생각이 자주 든다. 2021년 7월,...

2007-12-20 | 호텔 클라스카 새단장

도쿄의 부티크 호텔하면 떠오르던 이름, 호텔 클라스카가 2007년 새단장을 하였습니다. 2003년 문을 연 지 4년 만이니, 꽤 이른 리뉴얼이었지요. 2007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뉴 재패니즈’ 스타일로 손님을 맞은 클라스카 객실의 모습을 소개했습니다. 아쉽게도 호텔 클라스카는 2020년 12월 20일 문을 닫았습니다만, 클라스카는 라이프스타일 기업으로서 갤러리 겸 숍, 의류 브랜드, 웹 매거진 등을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