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6-27 | 최고급 보석을 훔치다

Editor’s Comment

마이크와 마이커는 세상 값진 보석들을 훔쳐와 자신들만의 장신구 컬렉션을 만들었습니다. 악명 높은 이멜다 마르코스의 그 반 클리프 & 아펠 루비 목걸이라던가 카르티에의 ‘투티 프루티’ 같은 것들을요. 물론 그들이 훔친 것은 실물이 아니라 이미지입니다. 그것도 저해상도의 이미지였죠. 실재하는 것의 열화 이미지를 다시 실물화한 장신구 컬렉션, ‘훔친 보석’입니다.

마이크 앤드 마이커(Mike and Maaikie)는 세계에서 가장 값비싼 보석을 ‘훔쳐’ 자신들만의 컬렉션을 만들었다. 이들의 ‘훔친 보석(Stolen Jewels)’ 시리즈는, 카르티에 같은 유서 깊은 보석 브랜드의 제품은 물론이고, 악명 높은 이멜다 마르코스의 루비 목걸이 같은 유명 장신구의 ‘이미지’를 훔쳐 만들었다. 

마이크 앤드 마이커는 구글 이미지 검색을 통해 이들 보석류의 컬렉션 이미지를 수집하여, 이를 픽셀화된 저해상도 이미지로 변형시켰다. 그리고 이를 다시 프린팅하여 가죽류에 부착하여 만들어낸 것이 바로 ‘훔친 보석’ 컬렉션이다. 즉 이 모든 디자인에는 실재하는 원본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를 초저해상도의 이미지로 변환함으로써, 마이크 앤드 마이커는 보석에 관한 근본적인 질문을 은근슬쩍 제기한다.

보석만큼 한 대상의 실제 가치와 인지적 가치 상의 차이를 극명하게 드러내는 예가 있을까? 흔히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를 비교할 때 대표적으로 드는 예가 바로 보석이 아니었던가. 이들은 유형의tangible 실재 보석과 가상의virtual 픽셀화된 이미지의 대조 속에, 보석의 실제 가치와 인지 가치의 차이를 겹쳐놓는다. 물론 모자이크 처리라도 된 듯한 픽셀 디자인이 보여주는 흥미도 빼놓을 수 없겠지만 말이다. 

https://www.mikeandmaaike.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09-27 | 폭스바겐 마이크로버스 ‘콘셉트카’ 

어떤 자동차는 시대적 상징이 되기도 합니다. 폭스바겐의 마이크로버스도 그랬죠. 20세기 중반 히피 문화의 상징이 된 이 버스를 2006년 미국의 폭스바겐 전자기술 연구소에서 동시대화했습니다. 예전 모습 그대로를 유지하면서도 근미래적 기술을 품은 콘셉트카를 선보였죠. 한편 올해 폭스바겐은 마이크로버스의 21세기 후예로서 순수 전기차 ‘ID 버즈’를 출시했습니다. 아쉽게도 오리지널 마이크로버스의 모습은 “영감의 원천”으로만 남았지만요.  

LA 한복판, 건축 공사 구조물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공예박물관, 크래프트 컨템포러리(Craft Contemporary)와 비영리 문화 단체, 머티리얼 앤 어플리케이션(Materials & Applications)이...

행복한 꿀벌을 위한 벌집 디자인

‘꿀벌의 멸종은 곧 인류의 멸망이다’라는 얘기를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지구에 존재하는 식물의 수분(受粉)은...

2011-07-14 | 도시 별보기

도시의 밤은 너무 밝고, 그 밝음을 이겨낼 별은 많지 않습니다. 프랑스의 디자이너 오스카 레르미트는 그래서 도시의 밤에 인공의 별자리를 선사하기로 했지요. 직경 1mm도 되지 않는 가는 실과 태양광 LED 전구로 디자인한 전에 없던 별자리. 그렇게 레르미트는 ‘도시 별보기’로 런던의 밤에 새로운 별을 수놓았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