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6-07 | 2012 런던 올림픽 로고 공개

Editor’s Comment

2012 올림픽을 5년 앞둔 2007년, 런던 올림픽의 로고가 공개되었습니다. 울프 올린스가 디자인한 이 로고는 영국 하면 떠오르는 어떤 상징과도 결별한 채, 2012라는 숫자를 도형 삼아 뉴 레이브 스타일을 보여줍니다. 반응은 차가웠습니다. 게다가 로고의 홍보 영상이 감광성 간질을 유발하는 사태도 벌어졌죠. 하지만 로고는 꿋꿋이 버텨, 5년 뒤 올림픽 현장을 장식했습니다. 

런던 올림픽 위원회가 2012년 공식 로고 디자인을 공개했다. 울프 올린스(Wolff Olins)가 디자인을 맡은 이 로고는 2012라는 숫자를 기둥처럼 이용한 것이 특징이다. 각각의 숫자-기둥은 접속, 참여, 자극, 고취의 정신을 상징한다. 런던 올림픽 위원회는 “만인의 게임”을 브랜드 비전으로 삼았다. 그러나 과연 이 로고가 그러한 정신을 적절히 ‘표현’해내고 있는가에 관해 벌써부터 찬반양론이 시작되었다. 

이 로고의 가장 큰 미덕이라면, 그 대담함에 있다. 과거의 올림픽 로고 디자인과는 거의 단절에 가까운 독창성을 보여준다. 게다가 흔히 영국하면 떠올리게 되는 그 어떤 스테레오타입(빅벤, 왕관, 유니언 잭 등등)도 배제했다. 또한 디자인 자체가 매우 간결하기 때문에, 출판이나 방송, 웹, 휴대폰 등 광범위한 미디어 상의 배포가 유리하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을 수 있다.

그러나 한편 이 대담한 로고 디자인이 그 시도에 걸맞는 미학성을 획득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터져나오고 있다. 가독성의 문제도 있다. 로고의 기둥들이 2012의 표현이라는 사실을 알아채는데 대개 몇 초의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또한 뉴 레이브(New Rave) 스타일의 로고 디자인 역시 문제로 제기된다. 이 스타일이 분명 2007년 오늘의 트렌드임에는 분명하지만, 과연 5년 뒤에도 그러할 것인가?

모두가 인정하는 바, 이 로고는 참으로 대담하다. 과연 그것이 대담함 그 이상인지에 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말이다. 

http://www.london2012.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디자인스토리 | 2009 | 타미네 자반바크트와의 대화

2009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초청으로 아르테니카(Artecnica)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타미네 자반바크트가 한국을 찾았다. 지난 9월 16일, 디자인플럭스는...

‘원석에서 유리로’: 원석으로 만드는 천연 색 유리

예루살렘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 살로메 마렉(Salomé Maarek)이 원석을 활용하여 천연 색유리를 만드는 프로젝트 ‘원석에서 유리로(From...

2010-07-29 | 프랭크 게리 셀렉트

캘리포니아의 프랭크 로이드 갤러리는 도자 작품만을 전문적으로 선보여온 화랑입니다. 2010년 이곳에서는 프랭크 게리의 전시회가 열렸는데요. 정확히 말하면 프랭크 게리가 선별한 도자 작품들의 전시입니다. 도자기와 프랭크 게리. 의외의 조합 같지만, 약간의 과장을 보탠다면 도자 공예는 그가 건축가의 길을 걷게 된 전환점이었다고 할까요.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는 2010년 오늘자 소식인 ‘프랭크 게리 셀렉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10-04-23 | 탑승권 리디자인 릴레이

코로나19를 지나며 가장 먼저 여행이 ‘멈춤’에 돌입했고, 어느 머나먼 곳으로 떠나는 항공권을 들던 때가 그리울 정도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의 뉴스로 ‘항공권’ 이야기를 골라보았습니다. 어째서 항공권을 손에 들고서도 우왕좌왕하게 될까. 표를 언제 왜 들여다보게 되는가를 중심으로, 탑승권의 정보에 순서와 강조점을 부여한 어느 개인의 리디자인 제안과 그에 이어지는 릴레이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