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23 | 잘못된 가게

Editor’s Comment

들어오라면서도 문은 닫았다는 가게, 영예로운 미술가와 디자이너들의 작품이 가득하지만 전체를 통째로 사지 않는 한 아무 것도 살 수 없는 가게. 2007년 뉴욕 디자인 위크 기간에 문을 연 첼시의 ‘잘못된 가게’입니다. 디자이너 토비아스 웡과 큐퍼-휴잇 디자인 뮤지엄의 그레고리 크럼이 만든 이 이상한 가게는 두 달 동안 한시적으로 자리를 지켰습니다. 

수많은 전시와 이벤트, 파티로 가득한 뉴욕 디자인 위크 기간 중에도 단연 화제가 된 공간이 있으니, 바로 ‘잘못된 가게(The Wrong Store)’가 그것이다. ‘들어오세요, 닫았습니다(Come in We’re CLOSED)’라고 쓰인 출입문의 팻말부터 심상치 않은 기운을 자아낸다. 

가게 안쪽에는 독창적인 예술가 디자이너들의 희귀, 한정 작품들이 가득하다. 솔 르윗, Kaws, 제니 홀저, 요제프 보이스, 이브 베하, 마르탱 마르지엘라, 마크 뉴슨, 도널드 저드, 헬라 용게리우스, 부훌렉 형제 등 이 상점의 작품 라인업은 유수의 갤러리가 부럽지 않을 정도다. 이 곳 ‘잘못된 가게’에서 디자인과 예술, 패션은 서로 어깨를 맞댄 채 관람객을 맞이한다… 그러나 문제는 이 가게에서 무엇인가를 구매하기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데 있다. 모든 작품과 상품은 개별 판매되지 않는다. 가게 안에 자리잡은 모든 아이템을 일괄 구매하지 않는 한에는 말이다. 확실히 어딘가 잘못된 상점임에 틀림없다. 

이 가게 아닌 가게를 창조해 낸 장본인은 누구일까? 심술맞은 괴짜를 상상해서는 곤란하다. <포브스>지가 선정한 ‘취향의 제조자’이기도 한 뉴욕의 디자이너 토비아스 웡(Tobias Wong)과, 쿠퍼-휴잇 디자인 뮤지엄의 기프트숍 책임자 그레고리 크럼(Gregory Krum)이 그 주인공이다. 

이들은 상점으로서의 갤러리 혹은 갤러리로서의 상점이라는 콘셉트에 기반해 ‘잘못된 가게’를 만들었다. 2005년 아티스트 마우리치오 카텔란(Maurizio Catellan)이 뉴욕 첼시에 문을 연 ‘잘못된 갤러리’의 상점형 판본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잘못된 가게’의 기획자 중 한 사람인 디자이너 토비아스 웡(우측)

‘잘못된 가게’는 게릴라식 팝업숍으로 뉴욕 디자인 위크가 개막하던 지난 5월 19일 문을 열었으며, 앞으로 두 달간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11-05 | 샤넬 모바일 아트 컨테이너

샤넬을 상징하는 그 퀼팅백에서 영감을 얻은 동시대 미술 작품들을 싣고 세계를 여행할 컨테이너. 샤넬은 이 ‘모바일 아트’ 컨테이너의 설계를 자하 하디드에게 의뢰하였습니다. 우주선을 닮은 그의 이동식 전시 파빌리온은 2010년까지 세계 여행을 마치고, 2011년 파리 아랍세계연구소 앞마당에 안착하였습니다. 

태양계로 그려낸 록 음악 계보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현대 팝, 록 음악의 계보는 다양한 형식의 다이어그램으로 묘사되어 왔다. 얼마전...

2008-09-30 | 시카고 국제 포스터 비엔날레 공모전 수상작

“포스터는 어디에서나 그래픽 디자이너들의 사랑을 받아왔지만, 포스터에 미국은 그리 마음 편한 곳이 아니었다. 툴루즈-로트렉에서 뮐러-브로크먼, 마티스, 트록슬러에 이르는 유럽의 포스터 전통은 그래픽 디자이너라는 직종을 정의하는 대표적인 작품들을 선사해왔다. 반면 미국에서 포스터는 당당하게 혹은 도처에서 거리의 존재감을 누려본 적이 없다.” (...)

2008-09-24 | 나오토 후카사와의 ‘종이’ 제품들

일본의 전통 종이 화지에 신기술을 더해 태어난 새로운 종이가 디자이너 나오토 후카사와에게 재료로 주어졌습니다. 그리고 보통이라면 천이 사용될 만한 생활 용품들이 이 새 종이로 만들어졌지요. 바로 나오토 후카사와와 제지회사 오나오의 ‘시와’ 컬렉션입니다. 그렇게 탄생한 ‘시와’는 나오토 후카사와의 손길을 벗어난 지금에도 오나오의 제품 컬렉션으로서, 이제는 마스크로까지 제품군을 확장하며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