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23 | 잘못된 가게

Editor’s Comment

들어오라면서도 문은 닫았다는 가게, 영예로운 미술가와 디자이너들의 작품이 가득하지만 전체를 통째로 사지 않는 한 아무 것도 살 수 없는 가게. 2007년 뉴욕 디자인 위크 기간에 문을 연 첼시의 ‘잘못된 가게’입니다. 디자이너 토비아스 웡과 큐퍼-휴잇 디자인 뮤지엄의 그레고리 크럼이 만든 이 이상한 가게는 두 달 동안 한시적으로 자리를 지켰습니다. 

수많은 전시와 이벤트, 파티로 가득한 뉴욕 디자인 위크 기간 중에도 단연 화제가 된 공간이 있으니, 바로 ‘잘못된 가게(The Wrong Store)’가 그것이다. ‘들어오세요, 닫았습니다(Come in We’re CLOSED)’라고 쓰인 출입문의 팻말부터 심상치 않은 기운을 자아낸다. 

가게 안쪽에는 독창적인 예술가 디자이너들의 희귀, 한정 작품들이 가득하다. 솔 르윗, Kaws, 제니 홀저, 요제프 보이스, 이브 베하, 마르탱 마르지엘라, 마크 뉴슨, 도널드 저드, 헬라 용게리우스, 부훌렉 형제 등 이 상점의 작품 라인업은 유수의 갤러리가 부럽지 않을 정도다. 이 곳 ‘잘못된 가게’에서 디자인과 예술, 패션은 서로 어깨를 맞댄 채 관람객을 맞이한다… 그러나 문제는 이 가게에서 무엇인가를 구매하기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데 있다. 모든 작품과 상품은 개별 판매되지 않는다. 가게 안에 자리잡은 모든 아이템을 일괄 구매하지 않는 한에는 말이다. 확실히 어딘가 잘못된 상점임에 틀림없다. 

이 가게 아닌 가게를 창조해 낸 장본인은 누구일까? 심술맞은 괴짜를 상상해서는 곤란하다. <포브스>지가 선정한 ‘취향의 제조자’이기도 한 뉴욕의 디자이너 토비아스 웡(Tobias Wong)과, 쿠퍼-휴잇 디자인 뮤지엄의 기프트숍 책임자 그레고리 크럼(Gregory Krum)이 그 주인공이다. 

이들은 상점으로서의 갤러리 혹은 갤러리로서의 상점이라는 콘셉트에 기반해 ‘잘못된 가게’를 만들었다. 2005년 아티스트 마우리치오 카텔란(Maurizio Catellan)이 뉴욕 첼시에 문을 연 ‘잘못된 갤러리’의 상점형 판본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잘못된 가게’의 기획자 중 한 사람인 디자이너 토비아스 웡(우측)

‘잘못된 가게’는 게릴라식 팝업숍으로 뉴욕 디자인 위크가 개막하던 지난 5월 19일 문을 열었으며, 앞으로 두 달간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Design of Voice #3 두연씨, 우리 잘 먹고 잘 살아요.

매년 돌아오는 여름이지만 올해 유난히 ‘이렇게까지 더웠던 적이 있었나?’라는 생각이 자주 든다. 2021년 7월,...

2007-07-23 | 디자인 & 비즈니스 카탈리스트 어워드

미국산업디자인협회의 ‘디자인 & 비즈니스 카탈리스트 어워드’의 전제를 한 문장으로 표현한다면 “굿 디자인 이즈 굿 비즈니스”일 것입니다. IDEA 어워드와 병행하여 2003년부터 운영된 이 시상 행사는 제품 디자인이 거둔 사회경제적 성과나 기여의 실제 사례를 통해 ‘디자인 경영’의 영향력을 전하고자 했습니다. 오늘은 2007년도 카탈리스트 어워드 수상작을 되돌아봅니다.

사물이 말을 한다면 #3 사랑의 시간을 잃고 수난의 시간으로

나는 달린다 나는 매일 달린다. 큰 키에 무성한 이파리로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주는 나무들의 호위아래서, 둥실...

2011-05-20 | 실패에 대한 두려움

2011년 스웨덴의 베리스 커뮤니케이션 스쿨이 졸업전시회를 선보이며 내건 표제는 다름아닌 ‘실패’였습니다. “실패 좀 하면 어때. 누구나 다 실패를 겪어. 핵심은 이거지. 실패가 무섭지 않다면 무얼 해보고 싶어?” 그리고 각계 분야에서 이미 수많은 실패를 겪었고 또 두려움을 이겨냈을 12인의 인사들의 입을 통해 그러한 메시지를 전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