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18 | 마르티 긱세의 푸드 디자인

Editor’s Comment

마르티 긱세는 자신을 푸드 디자이너라 소개합니다. 음식은 디자인의 대상으로, 여기에서 음식 디자인은 조리법이나 미식의 개념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음식 역시 다른 사물과 마찬가지로 디자인된 무엇이며, 다만 먹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을 뿐이지요. 2007년 오늘 디자인플럭스에서는 마르티 긱세의 푸드 디자인을 전했습니다. 파이 차트의 현현으로서의 파이, 씨앗을 뿌리는 사탕 등의 작업을 소개했었죠.

자신의 영역에서 확고한 지위를 획득한 디자이너라도, 어느 날 문득 그 모든 일에 진절머리가 날지 모른다. 과거 드로흐 디자인의 일원이기도 했던 마르티 긱세(Marti Guixe)[1]도 그러했다. 오브제에 대한 혐오를 고백한 그가 사물의 세계를 떠나 새로이 안착한 영역은 다름 아닌 푸드 디자인이었다. 하필이면 왜 음식이냐고? “아마도 내 평생에 앞으로 2개 정도의 의자를 사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음식은 하루에도 세 번씩 산다.” 

마르티 긱세의 푸드 디자인은 이런 식이다. ‘7단계 쿠키’는 한입 베어 무는 순서를 과자 위에 숫자로 표시했다. 자동차가 밟고 지나간 듯한 쿠기 ‘아우토반’도 흥미를 이와 비슷하게 무늬를 통해 흥미를 자아낸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 시각적인 흡인력 있는 푸드 디자인은 ‘파이-그래프 케이크’다. 케이크의 원료를 퍼센트에 따라 화려한 컬러의 입체 그래프로 표현했다. 

매우 실용적인 디자인도 있다. 어떤 와인이 마음에 들었을 때 그 이름을 기억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버틀(Buttle)’은 흔히 볼 수 있는 전단지 스타일의 라벨 디자인으로, 와인 이름을 손쉽게 ‘가져갈 수’ 있도록 했다. 

‘오라니엔바움 롤리팝(Oranienbaum Lollipop)’은 너무도 심원한 목적을 지녔다는 점에서, 실용의 차원을 넘어선 스케일을 보여준다. 이 자그마한 오렌지 맛 막대사탕 안에는 씨앗이 하나 들어있다. 사탕을 다 먹고 입에 남은 씨앗을 툭 뱉는, 우발적이며 자발적인 행위로 식물을 심겠다는 것이 최후의 목표다… 

푸드 스타일링의 제 1원칙을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면, 마르티 긱세의 이 음식 디자인은 아마도 후한 점수를 받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그의 다른 디자인들이 그러했듯, 음식이라는 대상에 음식이 아닌 다른 세계의 맥락들을 접합한다. 음식의 유일한 목적인 먹기를 잠시 잊게 만들 정도로 외부적인 논리를 말이다. 

만일 또 다른 그의 푸드 디자인 작품이 궁금하다면, 지난 달 밀라노에서 개최된 ‘마르티 긱세, 푸드 디자인의 10년’ 전시 페이지를 방문해 봄 직하다. 

https://food-designing.com

ⓒ designflux.co.kr


[1] 표기 정정: 마르티 기셰 -> 마르티 긱세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2-15 | 건축의 역사, 잡지의 역사

급진의 시대에 태어난 작은 건축 잡지들. 2007년 뉴욕에서 열린 전시회 ‘클립/스탬프/폴드: 급진적 건축 리틀 매거진 196x – 197x’의 이야기입니다. 전시는 1962년부터 1979년까지의 시간선 위에 폭발했던 작은 잡지들의 역사를 재조명합니다. 참고로 전시는 2010년 동명의 서적 출간으로도 이어졌습니다. 

2011-02-07 | BFC/보그 디자이너 패션 펀드 수상자

2021년 크리스토퍼 케인의 여성복 S/S 컬렉션은 그림들을 입고 있었습니다. 크리스토퍼 케인은 코로나19가 강제한 록다운 시기에 그림들을 그렸고, 그림은 프린트가 되어 그의 컬렉션을 이루었죠. 오늘 소개할 옛 뉴스는 그가 유망 디자이너였던 시절의 소식입니다. 2008년부터 브리티시 패션 카운슬은 BFC/보그 디자이너 패션 펀드라는 이름으로 유망한 패션 디자이너의 성장을 지원해왔는데요. 2011년도 수상자가 바로 크리스토퍼 케인이었습니다. 

2007-03-16 | 주버트 공원의 벤치

2007년 당시 요하네스버그에서는 3년 뒤 열릴 월드컵을 준비하며 개발과 정비가 한창이었습니다. 그 시기 도심에서 100년 넘게 쉼터 역할을 해온 오랜 공원 한 곳도 새단장을 하게 되었죠. 이름하여 ‘주버트 공원 프로젝트’를 위해 남아공 국내외의 예술가, 건축가, 디자이너들이 머리를 모았습니다. 15년 전 오늘 소개한 소박하면서도 영리한 벤치 디자인도 바로 이 공원을 위해 태어났죠. 

2010-09-29 | RCA 디자인프로덕트 컬렉션

RCA의 제품 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디자인프로덕트라는 학과 아름으로 제품 컬렉션을 선보였습니다. ‘퍼스트 핸드’는 14인의 졸업생이 내놓은 13가지 제품 컬렉션으로, 단순히 전시만이 아닌 판매를 목적으로 삼았습니다. 같은 해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번의 졸업생 작업이 소더비로 향했던 것과는 상당히 대조적인 움직임이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