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17 | 〈월페이퍼*〉, 100개의 표지

Editor’s Comment

2007년 오늘의 뉴스는 영국의 잡지 <월페이퍼*>의 ‘표지’ 이야기입니다. 100번째 잡지 발행을 맞아, 총 100가지의 표지들을 돌아보는 갤러리를 열고, 그 중 최고의 표지가 무엇인지를 <월페이퍼*>를 만드는 이들에게 묻고 또 <월페이퍼*>를 보는 이들에게 물었습니다. 아쉽게도 이제는 표지 모음 갤러리도, 독자 투표 페이지도 사라지고 없지만, 여기 스태프들이 꼽은 다섯 개의 표지는 남았습니다.

영국의 디자인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월페이퍼*>가 100번째 제호의 발행을 기념하며 100개의 표지들을 한 자리에 모았다. 만일 당신이 세련된 라이프스타일 매거진을 찾고 있다면, 여전히 <월페이퍼*>는 기대를 저버리지 않을 선택 중 하나다. 1996년 창간한 이래 <월페이퍼*>는 변화하는 대중의 기호 속에서도 변함없이 사랑받으며, 대표적인 잡지로 자리잡았다. 

이번에 공개된 100개의 표지 갤러리는 그간 이 잡지가 걸어온 노정을 고스란히 반영한다. 또한 표지 디자인 상의 미묘한 변화와 취향의 기호들을 살펴보기에도 좋은 기회다. 

<월페이퍼*>는 표지 갤러리 오픈과 함께, 최고의 표지를 선정하는 독자 투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내부 스태프들이 선정한 최고의 표지 이야기도 흥미삼아 둘러볼 만 하다. 그 일부를 아래 소개한다. 

2006년 10월호

2006년 10월호 
“너무도 단순하고 정직한. 심지어 잡지 표지로 보이지 않을 정도다. 대형 하드백 예술서 내지는 갤러리 카탈로그처럼 보이는 디자인이다. 스스로 진정 이런 표지의 잡지를 낼 수 있다는 사실이 자랑스러웠던 제호다. 그래서 표지가 구겨진 채로 있는 모습을 발견하기라도 하면, 개인적으로 모욕을 당한 기분이었다.”
– 알렉스 바그너(The Design/Art Editor) 

2007년 2월호 

2007년 2월호 
“강력한, 흡인력있는 그래픽이 ‘비밀스러운 엘리트’라는 개념을 정확히 설명한다. 또한 월페이퍼 제호의 * 기호를 영리하게 이용한 디자인이기도 하다.” 
– 제시카 퍼민(The Executive Managing Editor) 

1999년 10월호 

1999년 10월호 
“왜냐고? 이 표지는 <월페이퍼*>가 예시해온 젊음, 유희, 글래머러스, 최신 그리고 모험가득한 라이프스타일을 전형적으로 드러내기 때문이다. 커버에 인물을 기용해 잡지에 일종의 얼굴을 부여하기도 했다. 나는 이 캠프적 감수성의 커플을 사랑한다. 그들을 다시 불러들여야 한다!” 
– 페이-루 케(The Office Manager) 

2001년 7-8월호 

2001년 7-8월호 
“스위스의 한 장인이 특별 제작한 나무 집. <월페이퍼*> 연례 ‘디자인 디렉토리’ 특집호를 현실화하기 위해 투입된 시간과 숙고의 결과물.” 
– 제임스 레이드(The Photography Editor)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12-06 | 톰 딕슨과 라코스테의 만남

푸마와 마르셀 반더르스 그리고 라코스테와 톰 딕슨. 패션 브랜드가 패션 바깥의 디자이너에게 협업을 청했던 2006년의 소식들입니다. 라코스테가 매년 패션계 바깥의 디자이너와 함께 클래식 폴로 셔츠의 재해석을 진행하기로 하고 찾은 첫 번째 인물이 바로 톰 딕슨입니다. 그는 소재와 기술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추었고, 그렇게 ‘에코 폴로’와 ‘테크노 폴로’가 탄생했습니다.

2007-08-10 | 시게루 반의 종이 다리

반 시게루에게 종이는 훌륭한 건축 자재입니다. 연약하다고 여겨지는 재료이지만 그것으로 만든 건축물까지 연약하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그는 ‘종이 건축’으로 반증해 보였지요. 2007년 오늘의 소식은 그가 프랑스에 지었던 종이로 된 다리입니다. 지관을 이용해 한 번에 스무 명이 지나가도 끄떡없는 종이 다리를 완성했지요. 

소금물을 식수로 만드는 시스템 디자인

건축가 헨리 글로가우(Henry Glogau)는 칠레 메히요네스 지역의 해안 커뮤니티를 위해 담수화 장치를 겸한 조명디자인을...

쓸모없는 몸? : 엘름그린 & 드라그셋 개인전

베를린 아티스트 듀오 엘름그린&드래그셋(Elmgreen&Dragset)의 개인전 ‘쓸모없는 몸? (Useless Bodies?)’이 밀라노 폰다치오네 프라다(Fondazione Prada)에서 열렸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