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10 | 달빛 감응 가로등

Editor’s Comment

에너지 절약과 가로등이라는 주제의 공모전이라고 하면 이라면 예상 가능한 제안은 아마도 태양광 발전 가로등일 테죠. 하지만 여기 2007년 〈메트로폴리스〉지의 차세대 디자인 공모전의 수상작은 오히려 달빛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달빛에 감응해 가로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가로등. 에너지도 절약하면서 조명 공해에서도 한발 물러선 영리한 제안입니다.

<메트로폴리스> 매거진이 주최한 제 4회 차세대 디자인 공모전의 수상작이 발표되었다. 대상의 영예는 시빌 트와일라이트(Civil Twilight)의 ‘달빛 감응 가로등(Lunar Resonant Streetlight)’ 시스템에 돌아갔다. 에너지에 초점을 맞춘 올해 공모전의 테마와 가로등이라는 아이템을 생각하면,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갖춘 가로등과 같은 작품을 떠올리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 제안은 태양이 아닌 달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예상을 뛰어넘는 면모를 보여준다. 

‘달빛 감응 가로등’은 빛에 극도로 민감한 포토셀(photocell)을 장착, 달빛의 광량에 따라 가로등의 조도를 변화시킨다. 만일 그믐달의 밤이라면 평소보다 더 밝게, 보름달의 밤이라면 평소보다 어둡게 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시스템이다.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도 효과적인 착안이지만, 지나치게 밝은 간판과 조명들로 일종의 ‘조명 공해’에 시달리는 도시의 밤을 구출하는 제안이기도 하다. 

이 똑똑한 가로등은 샌프란시스코의 디자인 집단 시빌 트와일라이트의 디자이너 크리스티나 실리(Christina Seely), 앤턴 윌리스(Anton Willis), 케이트 라이든(Kate Lydon) 3인의 작품으로, 이번 공모전 시상식 기간 동안 샌프란시스코 허먼 밀러 쇼룸에 설치되었다. 관람객들은 센서 앞에서 손을 흔들어보며 가로등의 조도가 변화하는 모습을 직접 체험하는 기회를 가졌다. 시빌 트와일라이트는 오는 5월 21일 ICFF에서 열리는 ‘디자인 기업가: 에너지를 다시 생각하다(Design Entrepreneurs: Rethinking Energy) 세미나에 초청될 예정이기도 하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5-27 | ‘214’ 의자 150 주년 

나무를 구부리는 곡목 기법으로 태어난 최초의 대량생산 의자. 미하엘 토네트가 만들어낸 ‘214’입니다. 19세기에 태어난 이 의자는 20세기를 지나 21세기까지 여전히 사랑받는 고전 중의 고전이 되었죠. 2009년은 ‘214’가 탄생 150주년을 맞은 해였습니다. 이를 기념해 토네트는 다리에 매듭을 더한 ‘214k’도 선보였지요.

이케아 서핑 제품 컬렉션

가구 브랜드 이케아에서 세계 프로 서핑 연맹(World Surf League)과 협력하여 서핑 제품 컬렉션 ‘코세베리아(KÅSEBERGA)’를...

2007-07-13 | 콘스탄틴 그리치치+플라스틱 신소재

새로운 소재가 출발점이 된 의자. ‘미토’는 바스프가 개발한 새로운 공업용 플라스틱 신소재로 태어난 첫 번째 제품입니다. 바스프는 신소재 울트라 시리즈를 개발하며, 4인의 디자이너를 초빙해 워크숍을 열어 소재들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했는데요. 그 중 한 사람이었던 콘스탄틴 그리치치와 함께 사출성형에 특히 적합한 ‘울트라듀어® 하이 스피드’의 제품화를 시험합니다. 여기에 이탈리아의 가구 회사 플란크가 합류하며, 그렇게 모노블록 의자 ‘미토’가 탄생하였습니다.

2010-03-03 | 졸업작품, 소더비로 향하다

2000년대 중반 이후 디자인이 주요한 소장품으로 부상한 가운데, 2010년에는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번 학생들의 졸업작품이 유서 깊은 경매 회사로 향했습니다. ‘협업’의 개념으로 진행된 작품 판매 전시를 통해 최소한의 옷, 사우나 겸 옷장, 감각부하 탈출공간 등 2009년도 졸업작품들이 소더비 런던에서 전되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