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10 | 달빛 감응 가로등

Editor’s Comment

에너지 절약과 가로등이라는 주제의 공모전이라고 하면 이라면 예상 가능한 제안은 아마도 태양광 발전 가로등일 테죠. 하지만 여기 2007년 〈메트로폴리스〉지의 차세대 디자인 공모전의 수상작은 오히려 달빛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달빛에 감응해 가로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가로등. 에너지도 절약하면서 조명 공해에서도 한발 물러선 영리한 제안입니다.

<메트로폴리스> 매거진이 주최한 제 4회 차세대 디자인 공모전의 수상작이 발표되었다. 대상의 영예는 시빌 트와일라이트(Civil Twilight)의 ‘달빛 감응 가로등(Lunar Resonant Streetlight)’ 시스템에 돌아갔다. 에너지에 초점을 맞춘 올해 공모전의 테마와 가로등이라는 아이템을 생각하면,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갖춘 가로등과 같은 작품을 떠올리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 제안은 태양이 아닌 달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예상을 뛰어넘는 면모를 보여준다. 

‘달빛 감응 가로등’은 빛에 극도로 민감한 포토셀(photocell)을 장착, 달빛의 광량에 따라 가로등의 조도를 변화시킨다. 만일 그믐달의 밤이라면 평소보다 더 밝게, 보름달의 밤이라면 평소보다 어둡게 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시스템이다.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도 효과적인 착안이지만, 지나치게 밝은 간판과 조명들로 일종의 ‘조명 공해’에 시달리는 도시의 밤을 구출하는 제안이기도 하다. 

이 똑똑한 가로등은 샌프란시스코의 디자인 집단 시빌 트와일라이트의 디자이너 크리스티나 실리(Christina Seely), 앤턴 윌리스(Anton Willis), 케이트 라이든(Kate Lydon) 3인의 작품으로, 이번 공모전 시상식 기간 동안 샌프란시스코 허먼 밀러 쇼룸에 설치되었다. 관람객들은 센서 앞에서 손을 흔들어보며 가로등의 조도가 변화하는 모습을 직접 체험하는 기회를 가졌다. 시빌 트와일라이트는 오는 5월 21일 ICFF에서 열리는 ‘디자인 기업가: 에너지를 다시 생각하다(Design Entrepreneurs: Rethinking Energy) 세미나에 초청될 예정이기도 하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3-24 | MoMA, @를 소장하다

탄생은 멀리 6~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오늘날 같은 기능으로 이처럼 널리 쓰이게 된 것은 1970년대 이후의 일입니다. 2010년 MoMA의 건축·디자인부가 부호 ‘@’를 영구 소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누구의 것도 아니며 실물로 존재하지도 않지만, “소장에 요구되는 다른 기준들을 만족”하며, 더불어 기존의 부호를 전유해 새로운 쓰임을 부여했다는 점에서 “디자인 행위”를 보여준다고, 수석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는 설명합니다.

Designs for the Pluriverse: Radical Interdependence, Autonomy, and the Making of Worlds

무엇 무엇을 위한 디자인이라는 제목을 붙인 책이 한 둘인가. <사회를 위한 디자인>, <인간을 위한...

‘원석에서 유리로’: 원석으로 만드는 천연 색 유리

예루살렘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 살로메 마렉(Salomé Maarek)이 원석을 활용하여 천연 색유리를 만드는 프로젝트 ‘원석에서 유리로(From...

2006-09-15 | BMW 아트카 월드 투어

1975년 알렉산더 칼더의 페인팅을 BMW 3.0 CSL을 시작으로, BMW의 ‘아트카’는 점점 더 많은 예술가와 모델로 컬렉션을 이루었습니다. 미술을 입은 이 자동차들은 르망 24시 레이스에 출전해 달리기도 하고, 미술관에 멈추어 작품처럼 전시되기도 합니다. 오늘의 소식은 2006년의 BMW 아트카 월드 투어입니다. 그 순회의 여정에는 한국도 포함되어 있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