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07 | 안전한 성교를 위하여

Editor’s Comment

2007년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디자인 인다바 엑스포에서 ‘남아프리카에서 가장 아름다운 오브제’로 꼽힌 것은 가구도 조명도 장신구도 아닌 콘돔이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콘돔 착용 도구와 결합된 콘돔이이었죠. 콘돔 기구가 가장 아름다운 오브제로 선정된 배경에는 애석하게도 아프리카 대륙,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에서 중대한 보건 문제가 되어버린 AIDS 감염 확산의 현실이 있었습니다. 이 작고 간편한 도구는 원하지 않는 임신에서 성병, AIDS까지 여러 모로 ‘안전한’ 성교를 위한 물건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습니다. 

그저 단순한 콘돔 기구였을 뿐이다. 그러나 디자인 인다바(Design Indaba)는 이 제품을 ‘남아프리카에서 가장 아름다운 오브제’라 명명했다. 

지난 주 케이프타운에서 개최된 디자인 인다바 엑스포에는 우수한 지역 디자인 제품 수백 점이 전시되었고, 그 중에서도 15개 제품이‘남아프리카에서 가장 아름다운 오브제’ 어워드의 후보에 올랐다. 가구, 조명, 장신구와 같은 후보작 사이에 놓인 콘돔은 다소 낯선 광경이었다. 하지만 디자이너 위르헨 베이가 발표한 2007년 최고의 아름다운 오브제는 바로 이 콘돔 기구였다. 

이 콘돔 착용 도우미는 빌렘 판 렌스뷔르흐(Willem van Rensburg)가 발명했고, 산업 디자이너 롤프 멀더(Roelf Mulder)가 디자인했다. ‘쉽고 빠르게’ 콘돔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아이디어 제품이다. 콘돔을 포장째 잡고 반으로 꺾어 씌우기만 하면 순식간에 착용이 끝난다. 아프리카에서 ‘안전한 섹스’란 피임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콘돔은 날로 확산되어 가는 AIDS 문제에 대한 가장 간편한 해결책이다. 간단한 사용법이야 말로 AIDS에 대항하는 힘이 되는 것이다. 

현재 이 제품은  프론토(Pronto) 사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회사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그 재빠른 착용 시연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덧붙여 이 콘돔은 2년 전 뉴욕 MoMA에서 개최된 ‘SAFE’ 전시에 선보인 것과 동시에 곧바로 MoMA의 영구 소장품 목록에 오르기도 했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10-20 | 2012 런던 올림픽 픽토그램

1948년 처음으로 올림픽에 픽토그램을 적용했던 런던에서 다시 열리는 2012년 올림픽의 픽토그램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논란을 불러 일으킨 뉴 레이브 스타일의 과감한 올림픽 로고와 한 가족을 이루어야 하는 픽토그램 디자인을 선보이며, 디자인에 참여했던 팀원은 이런 소망을 밝혔습니다. “사람들이 로고에는 부정적이었지만, 부디 픽토그램에는 호의적이었으면 좋겠다. 특히 디자인계에서 말이다.”

2011-01-19 | 적기 혹은 생산의 소역사

0년의 시간선 위에 각기 자리한 네 대의 탁상형 인쇄 기계를 지나 한 권의 책이 태어납니다. 왕립예술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아트 & 디자인을 전공한 자비에 앙탱이 졸업작품으로 선보인 ‘적기 혹은 생산의 소역사’입니다. 

2010-04-20 | 아키그램 아카이브 프로젝트

1961년부터 1974년까지, 적지 않은 세월 동안 그들이 낸 잡지는 단 9와 1/2호 뿐입니다. 하지만 이 ‘작은 잡지’가 남긴 반향은 세기를 넘어 섰지요. 영국의 실험적 건축 집단 아키그램의 이야기입니다. 2010년 영국 웨스트민스터 대학의 연구센터 EXP는 아키그램의 잡지부터 여러 프로젝트, 전시, 소속 멤버들에 관한 자료들을 망라한 온라인 아카이브를 열었습니다. 반갑게도 아카이브는 여전히 건재하고, 또 분명 방문할 가치가 있습니다. 

2010-06-21 | 벌들이여 다시 한 번

2007년 4월 30일 뉴스의 주인공, 토마시 가브즈딜 리베르티니가 다시 한 번 오랜 파트너와 손을 잡았습니다. 4만 마리의 벌들과요.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에서 그는 앞서보다 정교한 조각상을 선보였는데요. 벌들이 분주히 작품을 최종 완성하는 과정을 전시 현장에서 그대로 보여주며,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리베르티니와 벌의 인연은 올해에도 이어져, 지금 2021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에서 ‘벌집 건축’이 전시 중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