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02 | 좋은 공공공간 디자인을 위하여

Editor’s Comment

지난 2010년 10월 22일자 아카이브 뉴스를 통해, 영국의 건축·건축환경자문위원회(CABE)가 폐지라는 우울한 운명을 맞이하게 되었다는 소식을 전한 바 있습니다. 오늘의 아카이브 뉴스는 그보다 앞서 2007년 CABE가 내놓은 공공공간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북과 도구 이야기입니다. 공공공간의 굿디자인과 배드디자인의 사례들을 담은 『우리의 공간』과 공공공간 디자인 자가점검 키트인 ‘스페이스셰이퍼’가 그것입니다. 

영국의 건축·건축환경자문위원회 CABE(Commission for Architecture and the Built Environment)가 공공 공간 디자인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에 나섰다. 최근 공개된 『우리의 공간(It’s Our Space)』은 일종의 가이드북으로, 굿 디자인과 배드 디자인을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실제 사례 조사결과들을 담고 있다. 

더불어 CABE는 지난 2월 ‘스페이스셰이퍼(Spaceshaper)’라는 이름의 공공 디자인 점검 키트를 내놓았다. 이는 너무 많은 자본과 시간이 ‘나쁜 디자인’에 투여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문가와 일반인들이 디자인 준비 단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인 참여는 현장을 실사하여 총 8개 카테고리, 41개 항목의 기준에 따라 직접 평가지를 작성하는 데서 시작된다. 

평가 기준 

접근(Access) 공간의 동선과 배치에 쉽게 익숙해질 수 있는가 
이용(Use) 이 공간이 제공하는 활동과 기회들은 무엇인가 
다른 사람(Other People) 공간이 서로 다른 필요성들을 충족시키는가 
유지 관리(Maintenance) 공간이 얼마나 깨끗하고 관리될 수 있는가 
환경(Environment) 공간이 얼마나 안전하고 편안한가 
디자인 및 외관(Design and Appearance) 공간의 외관은 어떠하며, 사용된 소재는 무엇인가 
공동체(Community )지역 주민에게 이 공간이 지닌 중요성은 무엇인가 
당신(You) 이 공간에 대한 개별 평가자의 느낌과 감상 

위와 같은 항목에 대해 지표로 작성된 워크숍 데이터를 스페이스셰이퍼 소프트웨어에 입력하면 위와 같은 다이어그램 형태로 분석 결과를 담아낸다. 이 공간이 지닌 강점과 약점, 사람들에게 가장 우선시 되는 항목, 다양한 요구와 필요성의 수용 여부, 다양한 관점들의 상호 비교 결과, 변화하는 사람들의 관점 변화 양상 등을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스페이스셰이퍼의 분석 결과는 향후의 토론을 보다 구조적인 차원에 집중시키는 한편, 문제 개선 방안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시험해볼 수 있는 토대가 된다. 

누구나 알고 있듯, 배드 디자인의 문제는 특히 공공 공간과 관련될 때 돌이키기 힘든 후유증을 야기한다. 단순히 개인이 아닌 사용자 전체의 불편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막대한 자본이 투여되는 만큼, 그 경제적인 손실도 상당하다. CABE는 이 문제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촉구해왔고, 이번에 공개된 가이드북과 평가 키트는 ‘너무 늦기 전에’ 나쁜 디자인의 폐해를 예방하려는 실천이라 하겠다. 

『우리의 공간』 가이드북 다운로드
대체 다운로드 링크

‘스페이스셰이퍼’ 사용자안내 다운로드
대체 다운로드 링크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6-14 | 패러디자인

2011년 SFMOMA는 자신의 소장품 가운데 패러(para-)라는 접두사로 묶어낼 수 있는 디자인, 그러니까 소장품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체로 '기타'로 분류되던 디자인들을 추려 전시를 열었습니다. 이름하여 ‘패러디자인’ 전은 디자인의 규범과 관습에 의문을 제기하는 저 너머의 디자인, 정상적인 것과는 떨어져 있는 디자인 100여 점을 선보인 자리였습니다.

2009-11-23 | 시장을 품은 아파트

주상복합건물이 새로울 것은 없지만, 또 이런 건물은 흔치 않을 것입니다. MVRDV가 설계한 ‘마켓 홀’의 놀라운 부분은 건물이 재래 시장을 품고 있다는 점입니다. 건물이 곧 시장의 아케이드가 되어 흥미롭게 동거합니다. ‘마켓 홀’은 예정대로 2014년 완공되었고, 그 모습은 이곳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2010-04-21 | 식탁에 오른 자연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의 ‘살로테 사텔리테’는 나이 제한이 있는 전시입니다. 35세 이하의 디자이너만 참여할 수 있지요. 1998년 첫 전시 이래 1만 명 이상의 젊은 디자이너가 참여했고, 이제는 익숙한 이름이 된 디자이너들도 여럿입니다. 2010년 살로네 사텔리테에서 단연 주목받은 신인은 나오 타무라입니다. ‘계절’이라는 이름의 식기 디자인으로 1등상을 수상한 그는 2010년 그때 밀라노 그곳이 커리어의 시작이었다고 단언합니다. 반갑게도 10년이 훌쩍 지난 지금도 그의 이름을 만날 수 있습니다. 작년 화제가 되었던 ‘도쿄 화장실’ 프로젝트에서처럼요.

2008-01-04 | 허구의 디자인에 주목하라

제품이 되기 위한 전 단계로서가 아니라, 어떤 이야기를 전면화한 가상 또는 허구의 디자인. 2008년, 코어77의 수석 에디터 앨런 초치노프는 생산가능성과 무관한 상상과 아이디어를 담은 디자인 혹은 사물의 개념에 집중하여 그 자체를 소비의 대상으로 담은 디자인을 모두 아울러 ‘프로토타이핑’이라 부르며, 그러한 허구의 디자인에 담긴 가능성을 이야기하였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