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2-21 | 머리카락으로 그린 일상

Editor’s Comment

빅토리아 시대 기억을 위한 장신구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되살려, 일상의 사소한 순간들을 기념합니다. 그것도 머리카락으로요. 미국의 공예 작가 멜라니 빌렌커는 다갈색 머리카락 한올 한올로 조용하고 평범한 장면들을 기억할 만한 순간으로 바꿔냅니다. 

멜라니 빌렌커(Melanie Bilenker)의 작업 소재는 그녀 자신의 머리카락이다. 브로치, 펜던트, 반지에 담긴 자그마한 풍경은 머리카락 한 올 한 올로 ‘그려낸’ 것이다. 빌렌커의 작업은 빅토리아 시대의 전통, 즉 로켓(locket)에 머리카락이나 초상화를 간직하던 풍습에서 영감을 얻었다. 빅토리아인들이 상대의 머리카락으로 지난 사랑을 추억했다면, 멜라니 빌렌커는 머리카락으로 자신의 기억을 보존하려 한다. 

다갈색 머리카락들이 선이 되어 그려낸 광경은 목욕, 요리와 같은 지극히 평범한 순간들이다. 멜라니 빌렌커는 기념할 만한 사건 대신, 정지된 일상의 단편을 담아낸다. 그리고 그 사소함은 단아하고 외로운 선들 속에서 미묘한 울림을 낸다. 머리카락이라는 지극히 ‘사적인’ 소재로, 생활에 깃든 아름다움을 포착하는 것이다. 

“머리카락의 선들로 그려낸 사진적 이미지 속에서, 나는 사건 대신 조용한 순간들을 재현한다. 세속적이며 일상적인 집 안의 순간들을 말이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1-17 | 2010 무토 탤런트 어워드

새로운 관점의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을 표방하며 출범한 브랜드답게, 무토는 2009년부터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디자인 학교 재학생이 참여하는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2010년 두 번째로 열린 공모전의 최고상은 스웨덴 콘스트파크에 재학 중이던 3인조 디자이너 왓츠왓 콜렉티브에게 돌아갔는데요. 이들이 선보인 플로어 조명 ‘풀’은 지금도 사랑받는 무토의 대표적인 제품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2010-01-20 | 아이티를 위하여

거대한 자연 재해 앞에서 사람은 작고 무력하게만 느껴집니다. 하지만 재난의 잔해 속에서 다시 일어나는 것은 결국 사람의 몫이죠. 지난 15일 남태평양의 섬나라 통가 인근의 해저 화산 하파이가 폭발했습니다. 통신 두절로 몇일이 지나서야 피해 윤곽이 드러나기 시작한 가운데, 예상보다 인명 피해는 적은 것으로 보이지만 섬들을 뒤덮은 화산재로 인해 식수난이 심각하고, 또 구호를 위한 접근도 지연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부디 더 큰 피해 없이 구호와 복구가 이뤄지길 바라며, 오늘은 10년 전 대지진이 강타했던 아이티의 재건을 위해 복구 계획을 발표했던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이야기를 다시 만나봅니다. 

2008-10-14 | 킨, 권오상을 만나다

사진-조각이라는 새로운 유형을 만들어낸 미술가 권오상과 영국의 밴드 킨이 만났습니다. 킨의 세 번째 앨범 에는 권오상의 ‘데오드란트 타입’화된 멤버들의 모습이 담겼습니다. 수천 장의 사진으로 빚은 인물 조각의 형상으로요. 

버려진 광고판으로 만든 떠돌이 개 쉘터

태국의 동물단체 ‘스탠드 포 스트레이즈(Stand for Strays)’가 떠돌이 개를 위한 쉘터를 설치했다. 방콕과 인접한...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