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2-15 | 건축의 역사, 잡지의 역사

Editor’s Comment

급진의 시대에 태어난 작은 건축 잡지들. 2007년 뉴욕에서 열린 전시회 ‘클립/스탬프/폴드: 급진적 건축 리틀 매거진 196x – 197x’의 이야기입니다. 전시는 1962년부터 1979년까지의 시간선 위에 폭발했던 작은 잡지들의 역사를 재조명합니다. 참고로 전시는 2010년 동명의 서적 출간으로도 이어졌습니다. 

‘리틀 매거진(little magazine)’이란 소규모의 인디펜던트 문예지를 이르는 말이다. 이들 잡지는 상업성에 대한 부담에서 자유로운 내용으로 독자들을 찾았다. 리틀 매거진은 특히 20세기 초 문학 분야에서 커다란 힘을 발휘했는데, 건축에도 이러한 잡지들의 시대가 있었다.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혁명’의 기운이 물씬했던 1960~70년대, 급진적인 건축 잡지들이 폭발적으로 등장한 것이다.

뉴욕 스토어프론트 포 아트 앤 아키텍처에서 클립/스탬프/폴드: 급진적 건축 리틀 매거진 196X – 197X’ 전시가 열리고 있다. 건축사가 베아트리스 콜로미나(Beatriz Colomina)가 기획을 맡은 이 전시는 잡지를 통해 당대 지적인 활기로 가득했던 건축의 역사를 조망한다. 아마 잡지 디자인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게도 이번 전시는 흔치 않은 기회일 것이다. 과연 이것이 건축 잡지인지 표지만 보아서는 도저히 알아챌 수 없을 정도로 ‘낯선’ 디자인이 가득하기 때문이다.

<카사벨라> 1969년 8/9월호, 밀라노 
<아키그램> 4호, 1964년, 런던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가 디자인한 뉴욕 구겐하임 뮤지엄으로 돌진하는 코끼리. 이는 마치 거장의 시대에 종말을 고하는 위협적인 움직임처럼 보인다. <아키그램> 4호는 수퍼히어로 장르 만화책처럼 디자인되어 있다. 건축의 근엄함은 모두 털어내고 팝 컬처의 외양을 택한 파격이 돋보인다. 현재에도 계속 발행되고 있는 <도무스>의 ‘젊은 시절’ 역시 흥미롭다. 최근의 잡지들과 비교할 때 오히려 더욱 신선한 느낌이다. 

<도무스>, 1969년 8월호, 밀라노 

‘클립/스탬프/폴드’ 전시 구성은 타임라인 구조에 기반한다. 1962년부터 1979년까지 이어진 직선 위에 해당 잡지가 발행된 시점을 표시하고 주석을 다는 형식으로, 결과적으로 이 선은 건축사에 있어 리틀 매거진이 거쳐온 흥망성쇠의 궤적이 된다. 팸플릿과 매뉴얼 등 부록을 포함하여 약 70여 잡지의 오리지널 희귀본 전시와 함께, 당시 활약했던 잡지 편집자와 디자이너들과의 대담 ‘리틀 매거진/스몰 토크’와 같은 프로그램이 전시의 깊이를 더한다. 

이 전시는 어쩌면 현대 디자인 문화에 대한 비판적인 주석일지 모른다. 한때 이처럼 뾰족하고 날카로운 잡지들이 있었다는 사실만으로도, 자연스레 매끈함으로 무장한 오늘의 디자인 문화를 돌아보게 된다. 

비록 직접 전시장을 방문하기는 어렵지만 다행히도 전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감상이 가능하다. 가로로 길게 펼쳐진 매거진 페이지를 스크롤 하다 보면, 그 누구도 급진을 믿지 않는 시대로 귀환한 ‘날카로운’ 건축 잡지의 20년 역사와 마주하게 될 것이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8-12 | 좋은 날씨

2011년 시각 예술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인 사라 일렌베르거의 개인전이 열렸습니다. ‘좋은 날씨’는 그의 작업을 망라한 첫 모노그래프 출간을 기념하여 열린 전시이기도 합니다. 그가 택하는 작업의 재료는 대체로 입체의 사물입니다. 그것을 그대로 설치하거나 아니면 사진을 찍어 이미지로 만들지요. 어떤 매체의 표현을 빌리자면 “3D 일러스트레이터”라고 할까요. 사라 일렌베르거의 시각 세계를 다시 만나봅니다. 

2010-02-08 |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패럴림픽 시상대 디자인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 5일째인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12년 전 밴쿠버 동계올림픽의 시상대 디자인을 다루었습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에서 나고 자란 목재와 밴쿠버 출신의 디자이너와 목공들이 함께 지역의 산세를 닮은 시상대를 만들어냈지요.

2009-08-12 | 셋이지만 하나

2009년 런던 디자인 페스티벌에서 페럴렐 프로젝트는 유명한 개념미술 작품 ‘세 개의 의자’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셋이지만 하나’ 전시를 선보였습니다. 열 두 팀의 디자이너들이 만든 제품은 오브제 자체, 디자이너 겸 작가 팀 파슨의 글, 사진작가 엠마 비에슬란데르의 사진의 세 가지 매체로 제시됩니다. 디자인에 대한 인식에 매체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함입니다. 아쉽게도 현재는 패럴렐 프로젝트의 홈페이지가 남아 있지 않습니다. 당시 실제 전시 작품을 살펴볼 수 있도록 〈디진〉의 관련 기사 링크를 덧붙여 둡니다.

2009-12-17 | 〈I. D.〉매거진 폐간

디자인플럭스 1.0이 운영했던 메뉴 중에는 ‘매거진’이 있었습니다. 여기에서 첫 번째로 리뷰한 매거진이 바로 〈I. D.〉 2006년 3/4월호였지요. 그 뒤로 채 4년이 지나지 않아, 전통의 제품 디자인 전문지 〈I. D.〉의 폐간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F+W 미디어는 실물 잡지 발행 중단을 발표하며, ‘애뉴얼 디자인 리뷰’를 중심으로 〈I. D.〉를 온라인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고, 실제로 2011년 6월 비핸스와 제휴하며 온라인 디자인 쇼케이스 형식의 사이트로 재출범했지만, 약 5년 만에 문을 닫으며 다시금 작별을 고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