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1-10 | 네덜란드의 상징을 담은 우표 컬렉션

Editor’s Comment

지난주 미국 산업디자인 역사를 담은 우표를 소개했다면 오늘은 네덜란드의 상징들을 담은 우표입니다. TNT 포스트 그룹의 의뢰로 우표 디자인에 나선 스타트는 튤립이나 스케이트 같은 전통적인 상징 외에도, 부가부의 유아차라던가 테요 레미의 ‘우유병 램프’ 같은 현대의 상징을 모아, “네덜란드의 DNA”를 담은 12장의 우표 컬렉션을 선보였습니다. 

네덜란드의 우편회사 TNT 포스트 그룹이 암스테르담의 크리에이티브 에이전시 스타트(Staat)에 우표 디자인을 의뢰했다. TNT는 디자인 정책으로 유명한 회사로, 그 동안 우편함이나 배달용 자전거의 디자인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왔다. 스타트는 이 남다른 클라이언트의 취향을 만족시킬 만한 12종의 우표 컬렉션을 창조했다. 

일단 스타트는 네덜란드를 대표하는 아이콘을 물색하기 시작했다. 나막신이나 풍차 같은 손쉬운 선택 대신에, 네덜란드의 ‘오늘’을 전달할 수 있는 현대적 아이콘을 찾기로 했던 것이다. 그 결과 튤립, 스케이트와 같은 비교적 고전적인 아이템에서부터, 에너지 절약 전구와 같은 발명품, 하이네켄 병과 부가부 유모차(Bugaboo Stroller)와 같은 네덜란드산 히트 제품, 그리고 심지어 드로흐의 디자이너 테요 레미(Tejo Remy)의 ‘우유병 램프(Milk Bottle Lamp)’가 한 자리에 모였다. 이는 ‘네덜란드다움’이라는 개념 안에 디자인을 적극 포섭한다는 점에서 상당히 흥미로운 선택이다. 

“하이네켄 병이나 부가부 유모차는 국제적으로 대단한 성공을 거두며 세계에 네덜란드의 DNA가 무엇인지를 널리 알렸다. 한 번쯤은 보았을 이들 제품의 인지도는 그 독특한 형태와도 상당한 연관을 지니고 있다. 우리는 이들 아이콘의 핵심을 우표 안에 되살려냈다.” 

각각의 오브제는 전형적인 네덜란드 풍경 속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오렌지나 마젠타와 같은 신선한 컬러를 배합해 많은 사람들에게 소구할 만한 단순하면서도 흡인력 있는 디자인이 탄생했다. 스타트는 컬러와 배열 요소를 이용해 각각의 우표를 디자인적으로 서로 연결했고, 그래서 한 장에 서로 붙어있을 때는 ‘컬렉션’으로도 유감없는 단일한 시각 효과를 자아낸다. 

네덜란드 디자인에 대한 자부심으로 가득한 TNT 포스트 그룹의 우표 컬렉션은 2007년 1월 1일부터 발행 및 유통에 들어갔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11-26 | 2010년도 ‘러시안’ 다이어리

레드스톤 프레스는 줄리언 로선스타인이 운영하는 1인 출판사로, 1980년대부터 오랫동안 자리를 지키며 아트북을 선보여왔습니다. 다만 레드스톤의 출간물이 모두 책인 것만은 아니어서, 심리테스트 게임이라던가 다이어리도 있습니다. 매년 독특한 주제로 선보이는 스프링노트 형태의 다이어리. 2010년의 다이어리 주제는 ‘소비에트 연방 초창기의 아동 서적’이었습니다. 참고로 내년도 다이어리의 이름은 ‘또 다른 세상에서’입니다. 

2007-02-15 | 건축의 역사, 잡지의 역사

급진의 시대에 태어난 작은 건축 잡지들. 2007년 뉴욕에서 열린 전시회 ‘클립/스탬프/폴드: 급진적 건축 리틀 매거진 196x – 197x’의 이야기입니다. 전시는 1962년부터 1979년까지의 시간선 위에 폭발했던 작은 잡지들의 역사를 재조명합니다. 참고로 전시는 2010년 동명의 서적 출간으로도 이어졌습니다. 

2007-03-31 | 리처드 로저스, 프리츠커상 수상

속을 뒤집어 내보인 듯한 모습으로 충격을 안겼던 파리 퐁피두 센터가 완공된 지 30년이 되던 그해, 그 건물의 건축가 리처드 로저스가 프리츠커상을 수상했습니다. 오래된 소식을 다시 전하며, 지난 12월 18일 전해진 그의 부고에도 늦게나마 애도를 표합니다. 참고로 2022년 프리츠커상은 부르키나파소 출신의 건축가 디에베도 프랑시스 케레에게 돌아갔습니다. 

2006-11-16 | 코로플롯 디자이너 연봉 조사 결과

구직 활동에 있어 급여는 중요한 척도지만, 개인이 접근하기에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코로플롯이 2001년부터 매년 공개해온 디자이너 연봉 조사 결과는 현업인에게도 지망생에게도 유용한 정보였습니다. 이제 디자인 업계의 급여 정보는 각종 잡보드에서도 확인할 수 있고, 코로플롯도 더이상 연 단위 보고서를 내놓지 않지만, 코로플롯에서 급여는 여전히 주요 메뉴 중 하나입니다. 오늘의 옛 뉴스는 지금으로부터 15년 전의 디자인 업계의 연봉 설문 결과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