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2-06 | 톰 딕슨과 라코스테의 만남

Editor’s Comment

푸마와 마르셀 반더르스 그리고 라코스테와 톰 딕슨. 패션 브랜드가 패션 바깥의 디자이너에게 협업을 청했던 2006년의 소식들입니다. 라코스테가 매년 패션계 바깥의 디자이너와 함께 클래식 폴로 셔츠의 재해석을 진행하기로 하고 찾은 첫 번째 인물이 바로 톰 딕슨입니다. 그는 소재와 기술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추었고, 그렇게 ‘에코 폴로’와 ‘테크노 폴로’가 탄생했습니다.

대중 패션 브랜드 매장에서 어느 날 언감생심 잡지에서나 볼까 싶은 거물급 디자이너의 이름과 마주치는 일도 이제 그리 낯설지 않다. 푸마에 어느 날 닐 배럿과 알렉산더 맥퀸의 스니커즈가 등장한 것처럼 말이다. 그러나 이제 이러한 조합은 놀랍다기 보다 예측가능한 것이 되었다. ‘패션 민주주의’라 할 만한 현상이 확산되어 왔기 때문이다. 오히려 패션계가 패션 ‘바깥’의 디자이너에게 손을 내미는 경우가 더욱 흥미롭게 느껴지는 요즘이다. 푸마와 닐 배럿 보다는 푸마와 마르셀 반더스가, H&M과 빅터 앤 롤프보다는 라코스테와 톰 딕슨의 만남이 그러하듯 말이다. 

라코스테는 매년 패션계 밖에서 디자이너를 초빙해 클래식 폴로 셔츠의 재해석을 의뢰할 예정이다. 그리고 그 첫 번째 타자로 톰 딕슨을 선택했다. 그 덕분에 우리는 지난 가을 ‘톰 딕슨의 패션’이라는 흔치 않은 아이템과 마주하게 되었다. 

“라코스테에 관한 두 가지 상반되는 아이디어를 탐색할 수 있어 즐거웠습니다. 하나는 소재의 근원과 수공예에 초점을 둔 작업이었고, 나머지 하나는 새로운 기술 및 기능성에 대한 도전이었습니다.” 

그렇게 탄생한 결과물이 바로 ‘에코 폴로’와 ‘테크노 폴로’이다. 에코 폴로는 우리 시대 가장 급박한 이슈로 떠오른 지속가능성의 테마를 셔츠의 제작 과정에 반영한다. 유기농 면 소재로 만든 이 셔츠의 염색은 전통 방식을 따랐다. 반면 테크노 폴로는 소재의 실험에 나섰다. 루렉스(lurex) 섬유를 소재로 금속성 셔츠를 만들어낸 것이다. 의외로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활동하기도 편하고 내구성도 높아, 스포츠웨어로 손색없다. 

라코스테의 서로 다른 얼굴을 보여주는 듯한 톰 딕슨의 이러한 접근은, 각각의 패키지에서도 그 차이를 확연히 드러낸다. 에코 폴로는 언뜻 보면 도시락 같은 상자에 담겨 있다. 재생지를 활용해 만든 패키지로 그 질감이 영락없는 계란 상자다. 테크노 폴로는 셔츠의 금속 같은 느낌을 반영해 알루미늄 포일에 진공 포장되어 판매된다. 시원한 타이포그래피도 인상적이다. 

‘에코 폴로+’, ‘테크노 폴로+’ 라는 이름의 특별 에디션도 있다. 에코 폴로+는 인도 오로빌 지방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수제 염색된 제품으로 인공 착색제는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테크노 폴로+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면이라는 상상할 수 없는 조합을 보여준다. +시리즈는 전 세계적으로 각각 1천 벌만 한정 판매되었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4-05 | 아마노라 아파트 시티

MVRDV가 인도의 한 도시에 설계한 이 건물은 우리에게 무척 익숙해 보입니다. 낯익음은 그것이 아파트라는 데에서 비롯됩니다. 빽빽하게 사열한 창들이 보여주는 고밀도의 풍경은 우리에게 그리 낯설지 않지요. 다만 보통의 아파트 단지와 다르게, MVRDV는 독립된 여러 동이 단지를 이루는 대신에 여러 동이 하나의 건물을 이루는 배치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그 형태는 산과 비슷하죠. MVRDV가 설계한 ‘퓨처 타워’는 2018년 완공되었습니다.

2009-06-29 | 하비에르 마리스칼, 삶을 그리다

“전위적인 디자인을 시도했는데, IOC에 가장 높은 수익을 안긴 올림픽 마스코트가 되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스코트 ‘코비’의 이야기입니다. 귀엽겠다고 애쓰지 않는데 친근하게 마음을 끌고, 너무 단순한가 싶으면서도 미묘합니다. 정면과 측면이 공존하는 얼굴처럼요. 2009년 오늘의 소식은 코비의 디자이너 하비에르 마리스칼의 회고전입니다.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열린 전시로, 그래픽과 일러스트레이션에서 가구, 인테리어에 이르는 마리스칼의 세계를 조망했습니다. 2013년에는 한국에서도 그의 전시회가 열렸지요.

2007-07-13 | 콘스탄틴 그리치치+플라스틱 신소재

새로운 소재가 출발점이 된 의자. ‘미토’는 바스프가 개발한 새로운 공업용 플라스틱 신소재로 태어난 첫 번째 제품입니다. 바스프는 신소재 울트라 시리즈를 개발하며, 4인의 디자이너를 초빙해 워크숍을 열어 소재들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했는데요. 그 중 한 사람이었던 콘스탄틴 그리치치와 함께 사출성형에 특히 적합한 ‘울트라듀어® 하이 스피드’의 제품화를 시험합니다. 여기에 이탈리아의 가구 회사 플란크가 합류하며, 그렇게 모노블록 의자 ‘미토’가 탄생하였습니다.

2009-12-17 | 〈I. D.〉매거진 폐간

디자인플럭스 1.0이 운영했던 메뉴 중에는 ‘매거진’이 있었습니다. 여기에서 첫 번째로 리뷰한 매거진이 바로 〈I. D.〉 2006년 3/4월호였지요. 그 뒤로 채 4년이 지나지 않아, 전통의 제품 디자인 전문지 〈I. D.〉의 폐간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F+W 미디어는 실물 잡지 발행 중단을 발표하며, ‘애뉴얼 디자인 리뷰’를 중심으로 〈I. D.〉를 온라인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고, 실제로 2011년 6월 비핸스와 제휴하며 온라인 디자인 쇼케이스 형식의 사이트로 재출범했지만, 약 5년 만에 문을 닫으며 다시금 작별을 고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