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10 | 세균 강박 사회를 위한 디자인

Editor’s Comment

그 시절에는 “강박”이었을지 모르겠으나, 이제는 타당한 염려가 되었습니다. 공중위생과 거리두기 같은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2006년의 디자인들을 돌아봅니다. 어떤 것은 진도구에 가깝지 않은가 싶지만, 어떤 것은 팬데믹을 살아가는 지금 더욱 절실해 보입니다.

도시 속 삶이란 늘상 세균 감염의 위험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기 마련이다. 지난 11월 5일, <뉴욕타임즈>는 화장실에서 나올 때 손을 씻는 인구가 83퍼센트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다시 한번 위생에 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공중 위생을 자동으로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 제품을 소개하는 기사를 실었다. 그것은 바로 비달 사순의 조카 사이먼 사순이 디자인 한 ‘HYSO’. 익명의 다수가 만지는 공중화장실의 문손잡이를 15분마다 자동 소독하는 ‘손잡이 싸-악’ 제품이다. 

최근에는 일반인들도 감기나 독감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대장균이며 살모넬라균 등등 세균의 이름을 줄줄 열거할 정도로 전문가 못지않은 위생 지식을 가지고 있다. 반면 그만큼 강박적 결벽증에 시달리는 사람의 수도 점점 더 늘어나는 추세다. 집에서야 각자 알아서 청결을 관리하겠지만, 공공장소에서는 어찌하랴. 그래서 나온 또 하나의 디자인은 휴대용 버스/지하철 손잡이다. 하루에도 수 천, 수 만 명이 잡고 다니는 버스나 지하철 손잡이마저도 위생 때문에 잡기를 꺼리는 분들을 위한 아이디어 상품, ‘나만의 손잡이’. 이런 제품이 실제 얼마나 위생을 보장할지는 더 많은 조사가 이루어져야겠지만, 우선은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을 가져다 줄 것 같다. 

하나 더. 도시의 삶이란 감염 강박만 제거한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길을 걸을 때조차 몸을 부대끼는 인구 1천 만의 대도시에서는 ‘익스큐즈미 플래그(Excuse Me Flag)’가 필요하지 않을까. 제발 1큐빅 미터의 공간만은 확보해 달라는 마지막 절규처럼 보인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식사의 즐거움을 담은 비둘기 테이블

디자이너 듀오 뮬러 반 세베렌(Muller Van Severen)과 아티스트 겸 쉐프인 라일라 고하르(Laila Gohar)이 협업을...

2010-04-15 | 마르턴 바스의 ‘실시간’, 아이폰 속으로

2009년 마르턴 바스는 영화의 형식을 한 시계를 가지고 밀라노를 찾았습니다. 시간의 매체로 시간의 기계를 구현한 셈이었지요. ‘실시간’ 시리즈는 비록 외장 하드드라이브의 몸체를 가졌으되, 12시간 러닝타임의 영상으로 시간을 표현한 어엿한 시계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듬해 ‘실시간’ 중 하나가 아이폰 앱 형태로 다시 찾아왔으니, 이름하여 ‘아날로그 디지털 시계’입니다.

2006-08-16 | 헬베티카 50주년 기념 다큐멘터리

2006년 8월, 게리 허스트윗은 이후 ‘디자인 3부작’의 시작이 될 다큐멘터리의 후반 작업에 한창이었습니다. 다가오는 2007년 ‘헬베티카’의 탄생 50주년을 맞아, 그는 어떻게 이 하나의 서체가 전 세계 생활 풍경의 일부가 되었는지를, 세계 곳곳에 거주하는 헬베티카의 모습과 디자이너들의 인터뷰를 통해 담아냅니다. <헬베티카>는 2009년 디자인플럭스와 한국디자인문화재단이 연 작은 영화제의 상영작이기도 했는데요. 신작과 함께 게리 허스트윗 감독이 한국을 찾아, <헬베티카>와 <오브젝티파이드> 두 편의 작품으로 극장에서 관객과 만났습니다.

2021-11-15 | 디터 람스의 ‘620 체어 프로그램’ 재탄생

언제부터인가 디터 람스의 디자인을 수집하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으니, 오래된 시계, 전축 시스템, 의자, 선반이 어느 집, 어느 카페 사진 속에서 발견되곤 합니다. 디터 람스의 이름과 떼놓을 수 없는 브랜드도 있습니다. 그가 40년을 몸담았던 브라운과 더불어, 비초에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1960년대, 그러니까 비초에가 비초에+차프였던 시절에 디터 람스가 디자인한 선반, 의자, 테이블은 비초에라는 브랜드의 존재 이유와도 같은 무엇이 되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