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10 | 세균 강박 사회를 위한 디자인

Editor’s Comment

그 시절에는 “강박”이었을지 모르겠으나, 이제는 타당한 염려가 되었습니다. 공중위생과 거리두기 같은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2006년의 디자인들을 돌아봅니다. 어떤 것은 진도구에 가깝지 않은가 싶지만, 어떤 것은 팬데믹을 살아가는 지금 더욱 절실해 보입니다.

도시 속 삶이란 늘상 세균 감염의 위험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기 마련이다. 지난 11월 5일, <뉴욕타임즈>는 화장실에서 나올 때 손을 씻는 인구가 83퍼센트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다시 한번 위생에 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공중 위생을 자동으로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 제품을 소개하는 기사를 실었다. 그것은 바로 비달 사순의 조카 사이먼 사순이 디자인 한 ‘HYSO’. 익명의 다수가 만지는 공중화장실의 문손잡이를 15분마다 자동 소독하는 ‘손잡이 싸-악’ 제품이다. 

최근에는 일반인들도 감기나 독감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대장균이며 살모넬라균 등등 세균의 이름을 줄줄 열거할 정도로 전문가 못지않은 위생 지식을 가지고 있다. 반면 그만큼 강박적 결벽증에 시달리는 사람의 수도 점점 더 늘어나는 추세다. 집에서야 각자 알아서 청결을 관리하겠지만, 공공장소에서는 어찌하랴. 그래서 나온 또 하나의 디자인은 휴대용 버스/지하철 손잡이다. 하루에도 수 천, 수 만 명이 잡고 다니는 버스나 지하철 손잡이마저도 위생 때문에 잡기를 꺼리는 분들을 위한 아이디어 상품, ‘나만의 손잡이’. 이런 제품이 실제 얼마나 위생을 보장할지는 더 많은 조사가 이루어져야겠지만, 우선은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을 가져다 줄 것 같다. 

하나 더. 도시의 삶이란 감염 강박만 제거한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길을 걸을 때조차 몸을 부대끼는 인구 1천 만의 대도시에서는 ‘익스큐즈미 플래그(Excuse Me Flag)’가 필요하지 않을까. 제발 1큐빅 미터의 공간만은 확보해 달라는 마지막 절규처럼 보인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8-24 | 필립스, 미래의 식생활을 상상하다

지금은 더 이상 진행되지 않지만, 필립스의 ‘디자인 프로브’는 당대의 사회적 흐름을 주시하여 가능한 미래 생활의 양상을 디자인하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2009년도의 주제는 ‘음식’이었는데요. ‘디자인 프로브’는 개개인 맞춤형 식생활을 가능케 하는 부엌, 음식을 출력해 내는 프린터, 거실로 옮겨온 텃밭과 양식장이라는 세 가지 미래 식생활의 콘셉트를 제시했습니다. 

2007-11-08 | 존 마에다 x 리복

존 마에다와 리복의 만남. ‘타임태니엄’ 스니커즈는 그가 특별히 고안한 알고리듬과 코드를 입고 있습니다. 신발 속 가득한 공식과 수식이 만들어낸 이미지가 신발의 겉을 장식하고 있지요. 기술을 인간화하며, 컴퓨터를 자체로 하나의 매체로 삼은 디자이너이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예술가이자 교육자. 이 소식을 전한 지 한 달 조금 넘어, 그의 신상에 주요한 변화가 있었지요. 오래 몸담았던 MIT 미디어랩을 떠나 2007년 12월 RISD 학장에 선임되었다는 소식이었습니다.

2008-01-04 | 허구의 디자인에 주목하라

제품이 되기 위한 전 단계로서가 아니라, 어떤 이야기를 전면화한 가상 또는 허구의 디자인. 2008년, 코어77의 수석 에디터 앨런 초치노프는 생산가능성과 무관한 상상과 아이디어를 담은 디자인 혹은 사물의 개념에 집중하여 그 자체를 소비의 대상으로 담은 디자인을 모두 아울러 ‘프로토타이핑’이라 부르며, 그러한 허구의 디자인에 담긴 가능성을 이야기하였습니다. 

사물이 말을 한다면 #4 노매드, 스마트폰

오늘로 몇 번째일까? 그 누구라도, 안전 장치 없이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일은 살면서 정말...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