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10 | 세균 강박 사회를 위한 디자인

Editor’s Comment

그 시절에는 “강박”이었을지 모르겠으나, 이제는 타당한 염려가 되었습니다. 공중위생과 거리두기 같은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2006년의 디자인들을 돌아봅니다. 어떤 것은 진도구에 가깝지 않은가 싶지만, 어떤 것은 팬데믹을 살아가는 지금 더욱 절실해 보입니다.

도시 속 삶이란 늘상 세균 감염의 위험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기 마련이다. 지난 11월 5일, <뉴욕타임즈>는 화장실에서 나올 때 손을 씻는 인구가 83퍼센트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다시 한번 위생에 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공중 위생을 자동으로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 제품을 소개하는 기사를 실었다. 그것은 바로 비달 사순의 조카 사이먼 사순이 디자인 한 ‘HYSO’. 익명의 다수가 만지는 공중화장실의 문손잡이를 15분마다 자동 소독하는 ‘손잡이 싸-악’ 제품이다. 

최근에는 일반인들도 감기나 독감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대장균이며 살모넬라균 등등 세균의 이름을 줄줄 열거할 정도로 전문가 못지않은 위생 지식을 가지고 있다. 반면 그만큼 강박적 결벽증에 시달리는 사람의 수도 점점 더 늘어나는 추세다. 집에서야 각자 알아서 청결을 관리하겠지만, 공공장소에서는 어찌하랴. 그래서 나온 또 하나의 디자인은 휴대용 버스/지하철 손잡이다. 하루에도 수 천, 수 만 명이 잡고 다니는 버스나 지하철 손잡이마저도 위생 때문에 잡기를 꺼리는 분들을 위한 아이디어 상품, ‘나만의 손잡이’. 이런 제품이 실제 얼마나 위생을 보장할지는 더 많은 조사가 이루어져야겠지만, 우선은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을 가져다 줄 것 같다. 

하나 더. 도시의 삶이란 감염 강박만 제거한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길을 걸을 때조차 몸을 부대끼는 인구 1천 만의 대도시에서는 ‘익스큐즈미 플래그(Excuse Me Flag)’가 필요하지 않을까. 제발 1큐빅 미터의 공간만은 확보해 달라는 마지막 절규처럼 보인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10-26 | 종이클립에서 조명으로

평범한 물건은 평범하기에 재해석이 더 매력적으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2007년 오늘은 종이클립이라는 익숙하고 작은 물건을 조명으로 옮긴 두 가지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티그의 ‘페이퍼클립 램프’ 프로토타입과, 가엘 호르스팔의 ‘네온 페이퍼클립’을 만나보시죠. 

텍스트 인식 이미지 생성 AI ‘DALL-E 2’

인공지능 연구소 오픈AI(OpenAI)에서 텍스트를 인식하여 사실적인 이미지와 그림을 ‘창작’할 수 있는 AI 시스템, ‘달-이...

2007-05-28 | DIY+디자이너 램프

잉고 마우러, 아킬레 카스틸리오니, 리하르트 자퍼, 필립 스탁…의 대표적인 조명이 납작한 조립형 키트로 재탄생하였습니다. 이름하여 ‘디자이너 에뮬레이션 키트’를 통해 마크 맥케너는 위대한 디자이너와 그들의 디자인에 귀엽게 경의를 표합니다.

2011-06-08 |  음반, 당신 뜻대로

2011년 6월 3일, 영국의 록 밴드 카이저 칩스의 새 음반이 그들의 홈페이지를 통해 발매되었습니다. 다만 음반에 어떤 노래가 수록될지 음반 표지는 어떤 모습일지 결정하는 주체는 카이저 칩스가 아니었습니다. 음반을 사러 온 이의 몫이었죠. 표지 디자인에서 선곡 그리고 수익의 배분까지, 정말로 ‘당신 뜻대로’의 앨범이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