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28 | 영국 그래픽의 신화, 앨런 플레처 타계

Editor’s Comment

전후 영국 그래픽 디자인 세대를 대표하는 한 사람이었던 앨런 플레처가 2006년 9월 21일 타계했습니다. “디자인이란 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가는 방식”이라고 말했던 그는, 시인 칼 샌드버그가 했던 말이자 1995년 그가 포스터에 담았던 말을 입은 채 세상을 떠났다고 합니다. “내가 어디로 가는지는 모르지만, 내 길을 가고 있다.” 

앨런 플레처
courtesy Phaidon

9월 21일, 영국을 대표하는 그래픽 디자이너 앨런 플레처가 오랜 암투병 끝에 74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디자인 비평가 스티븐 헬러는 <뉴욕타임즈>에 앨런 플레처의 전 생애에 걸친 디자인 활동상과 그의 철학을 담은 회고록을 실었다. 

1931년 케냐 나이로비에서 태어난 앨런 플레처는 5세에 런던으로 이주, 로열 칼리지 오브 아트를 졸업한 후 예일대학에서 폴 랜드와 조셉 알버스에게 수학했다. 1950년대 말 런던으로 돌아와 콜린 포브스, 밥 길과 함께 ‘플레처/포브스/길’을 설립하면서 <타임>, <라이프>, <보그> 매거진을 주요 클라이언트로 맞이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1972년, 두 명의 파트너를 더 영입하여 ‘펜타그램’사을 설립하면서 명실공히 국제적인 디자인회사로 거듭났다. 펜타그램은 70-80년대를 지나면서 미국으로 진출해 성공가도를 달렸으나, 1991년 플레처는 다시 노팅힐의 소규모 스튜디오로 복귀, 파이돈 출판사 등의 일을 하며 말년을 보냈다. 

앨런 플레처는 흔히 영국의 밀튼 글레이저로 불리곤 한다. 영국의 국제통신사 로이터, 빅토리아 앤 앨버트 뮤지엄과 함께 일해온 이유도 클 것이다. 또 플레처는 분명 바우하우스의 영향을 받았지만, 전후 영국 모더니즘의 틀을 깨고 자신만의 경쾌한 스타일을 만들며, 유럽의 모더니스트 전통과 새로운 팝 문화를 성공적으로 융합시켰다고 평가 받는다. 

시대를 초월하는 앨런 플레처 스타일은 펀치로 구멍을 뚫은 듯한 로이터의 로고와 런던 이층 버스에 광고로 사용된 피렐리 타이어의 홍보 포스터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로이터 로고는 1968년 제작된 이후 1996년까지 변함없이 사용될 정도로 저력을 과시했다. 

피렐리 슬리퍼스 이층버스 광고, 플레처/포브스/길, 1962

앨런 플레처는 시각물을 바라보는 사람에게서 두 가지 효과를 끌어내는, 일명 ‘시각적 마인드게임’의 창시자로도 유명하다. 그의 이러한 생각은 여러 저작물에 반영되어 있는데, 특히 <The Art of Looking Sideways> (파이돈, 2001)는 수 백 명의 아티스트, 디자이너, 사상가의 말과 생각을 담은 방대한 역작으로 기록된다.

죽음을 맞이하던 순간 플레처는 자신의 포스터에 나온 한 글귀 – “내가 어디로 가는지는 모르지만 나는 나의 길을 가고 있다” 라고 적힌 티셔츠를 입고 있었다고 한다. 

굳건한 소명을 안고 자신의 길을 걸어 온 이 시대의 그래픽 디자이너 앨런 플레처의 두 번째 전기 <Picturing and Poeting>이 오는 11월 파이돈에서 출판될 예정이다. 

그의 죽음을 예견이라도 했던 것일까? 런던 디자인 뮤지엄에서 11월 11일부터 내년 2월 18일까지 열릴 앨런 플레처의 회고전에서는 최근 플레처가 기증한 아카이브가 공개된다. 

두 번째 전기 <Picturing and Poeting> (파이돈, 2006. 11 출판 예정)

[New York Times] www.nytimes.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세계 최초 범용 로봇 범니 1.0: CES 2022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전시회 CES 2022 (1월 5일 – 8일)에 세계 최초 범용 인공지능...

2008-07-07 | 잔디 사진

헤더 애크로이드와 댄 하비는 자연을 매체로 삼은 작업으로 유명한 미술가 듀오입니다. 특히 잔디를 이용한 사진 작품들이 널리 알려져 있는데요. 청사진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잔디의 감광성을 이용해 잔디판 위에 사진 이미지를 구현합니다. 2008년 두 사람은 윔블던 테니스 챔피언십의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여 잔디 사진들을 선보였습니다. 잔디 코트의 윔블던과 잔디 사진의 애크로이드 & 하비. 잔디는 그야말로 절묘한 매개체였습니다.

2006-08-16 | 역대 최고의 PC, ‘애플 II’

2006년 IBM PC 탄생 25주년을 기념하여 〈PC 월드〉 매거진이 역대 최고의 PC 25개를 꼽았습니다. 혁신성, 영향력, 디자인, 차별성 등을 기준으로 선정된 이 목록에서 가장 윗자리를 차지한 컴퓨터는 ‘애플 II’입니다. 1977년 출시된 애플 II는 “최초도 최첨단도 당시 가장 잘 팔린 모델도 아니었지만, 여러 모로 모든 것을 바꾸었던 기계”였다는 것이 〈PC 월드〉의 평이었습니다. 그렇게 애플 II는 개인용 컴퓨터라는 카테고리가 시장에 안착하는 데 크게 기여했죠. 

2011-10-19 | 타시타 딘의 ‘필름’

타시타 딘은 줄곧 필름을 매체로 활동해온 미술가입니다. “화가에게 물감이 필요하듯 내게는 필름이 필요하다”고 말할 정도로요. 2011년 그가 테이트 모던에서 선보인 ‘필름’은 위기에 처한 필름의 물질성과 특유함을 전면에 드러냅니다. 아날로그 매체로서의 필름을 찬미하는 기념비인 동시에 쇠락해가는 매체의 초상. <가디언> 리뷰는 이를 두고 “오마주이자 레퀴엠”이라 표현하기도 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