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27 | 폭스바겐 마이크로버스 ‘콘셉트카’ 

Editor’s Comment

어떤 자동차는 시대적 상징이 되기도 합니다. 폭스바겐의 마이크로버스도 그랬죠. 20세기 중반 히피 문화의 상징이 된 이 버스를 2006년 미국의 폭스바겐 전자기술 연구소에서 동시대화했습니다. 예전 모습 그대로를 유지하면서도 근미래적 기술을 품은 콘셉트카를 선보였죠. 한편 올해 폭스바겐은 마이크로버스의 21세기 후예로서 순수 전기차 ‘ID 버즈’를 출시했습니다. 아쉽게도 오리지널 마이크로버스의 모습은 “영감의 원천”으로만 남았지만요.  

폭스바겐 마이크로버스의 재탄생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미국 폭스바겐 전자기술 연구소(ERL)에서 환상적인 콘셉트 카를 내놓았다. 1964년 등장한 이래 미국 히피 세대의 아이콘이 된 폭스바겐의 마이크로버스 모델에 ERL의 최첨단 기술을 결합한 새 모델 ‘카멜레온’이 바로 그것이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마이크로버스의 클래식한 외관을 보존하면서 최신의 자동차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다. 마이크로버스의 넓은 차내 공간은 각종 기술을 통합한 플랫폼이 들어서는데 모자람이 없다. 그리하여 이 오래된 자동차는 음성인식, 조명, 전기 배터리, 태양열 전지, 센서, 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 등 현재와 근미래적 기술을 모두 갖춘 ‘낡고도 새로운’ 차로 변신했다. 

이 과정을 일컬어 ERL은 ‘숨은 기술(Hidden Technology)’이라 불렀다. 아무리 운전 경험을 확장하는 신기술이라 해도 복잡하게 노출되어 운전자의 주의를 흐트려서는 곤란하기 때문이다. 

마이크로버스는 한 시대와 세대를 상징하는 문화적 아이콘으로, 오늘날에도 수많은 수집가들을 사로잡으며 노스탤지어를 자아내는 빈티지 모델로 인기를 누리고 있다. 또한 21개의 창문과 소프트-톱 루프 덕분에 캘리포니아를 비롯한 미국 서부 해안 지방에서는 ‘서퍼들의 차’로 불리기도 했다. 이번 마이크로버스 업그레이드 과정에도, 이러한 캘리포니아인들의 애정과 문화적인 특성이 적극 반영되었다. 

전통적으로 환경친화적인 태도를 보여온 캘리포니아가 사랑한 차인만큼, ERL은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사와 공동으로 개발한 전기 엔진을 적용했다. 이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로 구동하는 엔진으로, 차체 지붕 위에 설치된 태양열 패널의 에너지를 보조 동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버스에는 터치 패드 기술이 적용된 인터랙티브 디지털 기기들이 설치되어 있다. 음성인식 콘트롤, 뒷좌석에 마련된 엔터테인먼트 옵션, 향상된 음질의 디지털 음향 시스템은 물론이고, 차체 바깥에 장착된 주차용 와이드앵글 카메라, LED 조명 등이 눈길을 끈다. 

복고적인 외관 안에 미래의 자동차 기술을 결합한 마이크로버스는 이미 독일 본사로부터 찬사를 받았다는 후문이다. 미국에서는 지난22일 보스턴에서 열린  AltWheels 이벤트에서 대중에 첫선을 보였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최초의 재활용 플라스틱 의자 30주년 기념 전시

뉴욕 맨해튼에 위치한 엠마 스컬리 갤러리(Emma Scully Gallery)에서 사상 최초로 가구 디자인 재활용 플라스틱을...

2008-06-25 | 앱솔루트 레인보우

성 소수자의 인권을 기념하는 프라이드 먼스 6월을 맞아, 2008년 앱솔루트의 병도 무지개 깃발을 둘렀습니다. ‘앱솔루트 컬러스’는 무지개 깃발 탄생 30주년을 기념하여, 앱솔루트가 바로 그 깃발의 디자이너 길버트 베이커와 함께 협업하여 선보인 첫 번째 프라이드 보틀입니다. 1978년 베이커가 디자인한 오리지널 여섯 색상 무지개는 성소수자 인권 운동의 상징이 되어 세계 곳곳에서 휘날렸고, 보다 다양한 정체성을 포용하기 위한 변주도 수없이 이뤄져, 베이커 본인도 2017년에는 9가지 색상의 무지개 깃발을 디자인했지요. 성소수자 자긍심의 상징. 무지개 깃발은 참고로 2015년 뉴욕 MoMA의 디자인 소장품 목록에 올랐습니다.

2010-02-24 | 메타볼리시티

농사를 지으려면 토지가 필요하지만, 도시에서 토지는 값비싼 자산입니다. 그럼에도 도시에서 작게나마 기르는 기쁨을 텃밭의 형식으로 가꾸는 사람들도 적지 않지요. 더 나아가 도시 안에 들어선 공장형 스마트팜도 낯설지 않은 요즘입니다. 2010년 오늘 소개한 스튜디오 루프의 ‘메타볼리시티’는 도시를 위한 수직형 텃밭 제안입니다. ‘바이오루프’라는 지지대를 통해 텃밭을 도시 건축 환경의 일부로 만들어냈죠. 

조각으로 남긴 세계의 인구: 2021 디자인 마이애미/바젤

프랑스 디자이너 마티외 르아뇌르(Mathieu Lehanneur)가 ‘세계의 상태(State of the World)’를 2021 디자인 마이애미/바젤에서 선보였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