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21 | 앵글포이즈 1227 ‘자이언트’ 모델

Editor’s Comment

세계 최초의 탁상용 조명 앵글포이즈가 탄생 70주년을 맞아 몸집을 키웠습니다. 어느 정도냐면 탁상 위를 벗어나 야외로 옮겨갈 정도로요. 2006년 100% 디자인 런던에서 ‘앵글포이즈 1227 자이언트’ 버전이 공개되었습니다. 가정용인 1227 모델의 세 배 크기로, 높이가 약 2.4m에 달하는 대형 모델이었습니다. 

오랫동안 대중의 사랑을 받아온 탁상용 조명의 대명사 ‘앵글포이즈(Anglepoise) 1227’ 모델이 탄생 70주년을 맞아 거대 버전으로 재탄생했다. 앵글포이즈UK 사는 오늘부터 시작된 100% 디자인 런던 행사에 ‘앵글포이즈 1227’의 자이언트 버전을 전시한다고 밝혔다.

1930년대 발명된 ‘앵글포이즈’ 시리즈는 세계 최초의 탁상용 조명으로, 영국이 낳은 위대한 디자인 중 하나로 손꼽히는 제품이다. 올해 초 영국 BBC 방송과 디자인 뮤지엄이 공동으로 조사한 ‘그레이트 브리티시 디자인 퀘스트’에서 2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자동차 엔지니어였던 조지 카워(George Carwadine)은 어느 방향으로나 쉽게 구부러지면서도 일단 고정되면 견고한 새로운 타입의 스프링을 개발했다. 이 스프링의 용도를 고민하다가 발명된 제품이 바로 앵글포이즈 램프이다. 사람의 관절 구조에서 영감을 얻은 램프로, 그 관절 부분에 카워딘의 스프링이 들어가 있다. 

이후 허버트 테리 앤드 선즈에서 이를 라이센스하면서 1934년 앵글포이즈의 첫 모델인 ‘1208’이 시판되었다. 이 제품이 인기를 끌자2년 뒤인 1936년에는 가정용 버전인 ‘1227’을 내놓았다. 이 모델의 장점은 보다 적은 전력으로(기존의 60와트 전구 대신 25와트 전구를 사용했다), 원하는 방향에 빛을 집중시키는 경제성에 있었다. 

앵글포이즈UK 사의 디렉터 사이먼 테리는 “150여년의 생산 역사는 물론이고 앵글포이즈와 함께한 70여년 가업의 전통을 되살려 최초의 혁신적 아이디어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때가 되었다.”라고 말한다. 자이언트 1227 모델에는 최신의 디자인/생산 기술과 오리지널 아이디어의 혁신성 사이에서 균형을 잃지 않으려는 앵글포이즈 사의 의지가 담겨있다. 

런던 100% 디자인에서 전시되는 자이언트 1227은 야외 버전이지만, 조만간 실내용 제품도 내놓을 방침이라고 한다. 탄생 70주년을 기념하는 자이언트 1227 앵글포이즈 램프는 실제 사이즈의 3배 크기로 그 높이가 약 8피트에 이른다. 수공 과정으로 제작되었으며 현재 미화 3천500달러의 가격에 판매 중이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가능성의 장, 마이크로 건축 실험

프랑스의 되펠 스튜디오(Döppel Studio)에서 기획한 전시<가능성의 장, 마이크로 건축 실험>이 이달 초에 오픈하여 9개월...

2010-02-23 | 건축가 2인의 회계 장부

2007년 금융위기가 몰고온 경기 침체는 건축계에도 몰아닥쳤습니다. 2009년 <빌딩 디자인>은 두 유명 건축사무소의 2008-2009 회계년도 매출을 공개하며, 침체가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를 이야기했습니다. 자하 하디드 건축 사무소의 매출은 전년도에 비해 1/3 수준으로 급강하했고, 데이비드 아디아예는 지급 불능 상황을 맞이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2009년 아디아예 사무소는 워싱턴 D.C.에 세워질 스미소니언으 흑인역사문화박물관 설계 공모에 당선되며, 기사회생의 기반을 다졌습니다.

2011-04-08 | 다음 10년, 20인의 디자이너

정확히 10년 전 오늘, 디자인 비평가 앨리스 로스손과 MoMA의 디자인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가 다음 10년의 디자인을 조형할 20인의 디자이너를 꼽았습니다. 정말로 10년이 지난 지금 그 명단을 되돌아봅니다. 참고로 앨리스 로스손과 파올라 안토넬리 두 사람은 ‘디자인 이머전시’라는 이름으로 더 나은 미래를 지어나갈 디자인을 인스타그램에서 함께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2009-12-22 | 디지털 매거진 콘셉트, ‘맥+’

태블릿이라는 제품 카테고리가 시장에 안착하면서, 책이 그러했듯 잡지도 디지털 기기 속으로 진입했습니다. 이 시기, 보니에르와 버그는 디지털 매거진의 읽기 경험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바탕으로 한 가지 가능태를 ‘맥+’이라는 이름의 콘셉트를 통해 보여주었습니다. 종이를 벗어난 잡지를 위한 그들의 제안을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