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13 | 브라질의 이색 공중전화 부스

Editor’s Comment

공중전화 부스 앞으로 차례를 기다리며 사람들이 줄지어 서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누군가에게는 추억의 풍경이고 누군가에게는 생경한 풍경이겠지요. 2006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브라질의 별난 공중전화 부스들을 소개했습니다. 앵무새, 과일을 닮은 원색의 부스부터 현대적인 파이버글래스 소재의 부스까지, 브라질의 사진 제작 회사 로스트 아트가 모은 이색 전화부스들을 만나봅니다.

공중전화 부스가 관광 자원이 될 수 있을까? 브라질의 몇몇 도시들의 예를 보면 그렇다고 대답할 수 있다. 브라질에서 보도 및 광고용 사진을 제작하는 회사 로스트 아트(Lost Art)에서 독특하다 못해 별나기까지 한 전화부스들을 카메라에 담았다. 동물, 새, 과일 등을 닮은 원색의 부스들이 남미의 뜨거운 태양과 제법 잘 어울린다. 

이 갤러리에서는 브라질의 공중전화 역사에 관해서도 짤막하게 언급하고 있는데, 20년대 도입된 공중전화의 존재가 대중화 된 것은 1970년대의 일이라 한다. 이는 상하이 태생의 건축가 추 밍 시우베이라(Chu Ming Silveria; 1914~1977) 덕분이라고. 브라질 전신전화국의 수석 엔지니어였던 그가 디자인한 전화부스가 널리 알려지면서 공중전화 역시 대중화되었다.

‘오렐롱이스(Orelhões)’라는 이름의 이 부스는 ‘거대한 귀’라는 뜻으로, 아마도 그 반구 형태의 디자인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 아닌가 한다. 그 외에도 최초로 파이버글래스를 사용한 부스 ‘CHU-1’ 역시 브라질의 전화부스 역사의 초기를 장식하는 대표적인 디자인이다. 

핸드폰에 밀려 이제는 더 이상 공중전화마다 길게 늘어선 사람들의 모습을 볼 수 없게 되었다. 누적되는 적자에도 불구하고 공공 서비스인 만큼 사업을 포기할 수 없는 한국통신의 고민도 깊어만 간다. 지난 4월 공중전화 서비스를 개선하는 아이디어를 공모하기도 했는데, 어쩌면 회색빛 스테인리스 골조의 부스 디자인을 바꾸는 것도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다. 물론, 그만큼의 투자를 감당할 수 있을지 여부는 미지수이기는 해도 말이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6-07 | 2012 런던 올림픽 로고 공개

2012 올림픽을 5년 앞둔 2007년, 런던 올림픽의 로고가 공개되었습니다. 울프 올린스가 디자인한 이 로고는 영국 하면 떠오르는 어떤 상징과도 결별한 채, 2012라는 숫자를 도형 삼아 뉴 레이브 스타일을 보여줍니다. 반응은 차가웠습니다. 게다가 로고의 홍보 영상이 감광성 간질을 유발하는 사태도 벌어졌죠. 하지만 로고는 꿋꿋이 버텨, 5년 뒤 올림픽 현장을 장식했습니다. 

2007-07-13 | 콘스탄틴 그리치치+플라스틱 신소재

새로운 소재가 출발점이 된 의자. ‘미토’는 바스프가 개발한 새로운 공업용 플라스틱 신소재로 태어난 첫 번째 제품입니다. 바스프는 신소재 울트라 시리즈를 개발하며, 4인의 디자이너를 초빙해 워크숍을 열어 소재들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했는데요. 그 중 한 사람이었던 콘스탄틴 그리치치와 함께 사출성형에 특히 적합한 ‘울트라듀어® 하이 스피드’의 제품화를 시험합니다. 여기에 이탈리아의 가구 회사 플란크가 합류하며, 그렇게 모노블록 의자 ‘미토’가 탄생하였습니다.

2010-02-23 | 건축가 2인의 회계 장부

2007년 금융위기가 몰고온 경기 침체는 건축계에도 몰아닥쳤습니다. 2009년 <빌딩 디자인>은 두 유명 건축사무소의 2008-2009 회계년도 매출을 공개하며, 침체가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를 이야기했습니다. 자하 하디드 건축 사무소의 매출은 전년도에 비해 1/3 수준으로 급강하했고, 데이비드 아디아예는 지급 불능 상황을 맞이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2009년 아디아예 사무소는 워싱턴 D.C.에 세워질 스미소니언으 흑인역사문화박물관 설계 공모에 당선되며, 기사회생의 기반을 다졌습니다.

2011-04-27 | 다운로드를 위한 디자인

음악이나 영화처럼 디자인을 내려받는다면. 2011년 드로흐가 ‘다운로드용 디자인’을 위한 플랫폼을 발표했습니다. 생산 도구부터 판매 방식까지, 디자인을 둘러싼 환경이 디지털화되었다면, 아예 이를 겨냥해 그 가능성을 최대화하는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보자는 발상입니다. 애석하게도 이제는 어디로도 연결되지 않는 웹사이트 링크가 말해주듯, 드로흐의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10년 전 제안된 디지털 디자인 플랫폼의 이야기를 되돌아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