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13 | 브라질의 이색 공중전화 부스

Editor’s Comment

공중전화 부스 앞으로 차례를 기다리며 사람들이 줄지어 서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누군가에게는 추억의 풍경이고 누군가에게는 생경한 풍경이겠지요. 2006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브라질의 별난 공중전화 부스들을 소개했습니다. 앵무새, 과일을 닮은 원색의 부스부터 현대적인 파이버글래스 소재의 부스까지, 브라질의 사진 제작 회사 로스트 아트가 모은 이색 전화부스들을 만나봅니다.

공중전화 부스가 관광 자원이 될 수 있을까? 브라질의 몇몇 도시들의 예를 보면 그렇다고 대답할 수 있다. 브라질에서 보도 및 광고용 사진을 제작하는 회사 로스트 아트(Lost Art)에서 독특하다 못해 별나기까지 한 전화부스들을 카메라에 담았다. 동물, 새, 과일 등을 닮은 원색의 부스들이 남미의 뜨거운 태양과 제법 잘 어울린다. 

이 갤러리에서는 브라질의 공중전화 역사에 관해서도 짤막하게 언급하고 있는데, 20년대 도입된 공중전화의 존재가 대중화 된 것은 1970년대의 일이라 한다. 이는 상하이 태생의 건축가 추 밍 시우베이라(Chu Ming Silveria; 1914~1977) 덕분이라고. 브라질 전신전화국의 수석 엔지니어였던 그가 디자인한 전화부스가 널리 알려지면서 공중전화 역시 대중화되었다.

‘오렐롱이스(Orelhões)’라는 이름의 이 부스는 ‘거대한 귀’라는 뜻으로, 아마도 그 반구 형태의 디자인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 아닌가 한다. 그 외에도 최초로 파이버글래스를 사용한 부스 ‘CHU-1’ 역시 브라질의 전화부스 역사의 초기를 장식하는 대표적인 디자인이다. 

핸드폰에 밀려 이제는 더 이상 공중전화마다 길게 늘어선 사람들의 모습을 볼 수 없게 되었다. 누적되는 적자에도 불구하고 공공 서비스인 만큼 사업을 포기할 수 없는 한국통신의 고민도 깊어만 간다. 지난 4월 공중전화 서비스를 개선하는 아이디어를 공모하기도 했는데, 어쩌면 회색빛 스테인리스 골조의 부스 디자인을 바꾸는 것도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다. 물론, 그만큼의 투자를 감당할 수 있을지 여부는 미지수이기는 해도 말이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2-17 | 알베르트 엑세르지안의 TV 드라마 포스터 

오스트리아의 한 디자이너가 익숙한 TV 드라마들에 새로운 포스터를 선사했습니다. 키워드는 아이콘과 미니멀리즘이라고 할까요. 포스터는 드라마의 제목과 이 작품을 압축하여 드러낼 만한 상징 하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령 <맥가이버>의 구부러진 종이 클립처럼요. 

2009-01-28 | 디자인 발견

“디자인은 무엇이고 어떤 일을 할 수 있나.” 런던 디자인 뮤지엄이 2009년 ‘디스커버 디자인’이라는 이름의 교육 프로그램 페이지를 열었습니다. 어떤 사물이 왜 그러한 모습이고 무엇으로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기능은 무엇이고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와 같은 기본적인 질문을 통해, 디자인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와줍니다.

2007-05-25 | 디자인 마이애미/, 프론트를 선택하다

2007년 디자인 마이애미/가 선정한 ‘미래의 디자이너’는 바로 스웨덴의 프론트입니다. 2003년 소피아 라게르크비스트, 샤를로트 폰데 란켄, 안나 린드그렌, 카티야 세브스트룀이 설립한 이 디자인 스튜디오는 때로는 동물의 힘을 때로는 컴퓨터의 힘을 빌어 환상과도 같은 디자인을 선보이며 놀라움을 선사했습니다. 돌이켜보아도 2007년 ‘미래의 디자이너’에 다른 선택지가 있었을까 싶을 정도입니다. (...)

@*%^버스: 페이스북의 새 이름 메타, 대체어 챌린지

미국 현지 시각으로 2021년 10월 28일, 페이스북의 CEO 마크 저커버그가 새 사명 ‘메타(Meta)’를 발표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