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8-29 | 몰스킨의 “브랜드 고고학”

Editor’s Comment

이 수첩은 본래 프랑스에서 태어났지만, 세계적으로 알려진 이름이 된 것은 이탈리아의 한 회사가 이 브랜드를 인수한 이후입니다. 바로 ‘몰스킨’의 이야기입니다. 2006년 이탈리아에서 다시 프랑스 브랜드로 되돌아간 몰스킨 소식을 계기로, 그해 오늘은 몰스킨의 부활의 밑거름이 된 배경을 살펴보았습니다. 모도 앤드 모도는 100년 동안 예술가들의 친구였던 이 수첩의 역사와 유산을 되살렸고, 애호가들은 기꺼이 몰스킨의 자발적 마케터가 되었습니다. 누군가는 이 놀라운 성공을 두고 “브랜드 고고학”이라 불렀죠. 

몰스킨 브랜드가 이탈리아에서 프랑스로 되돌아가게 되었다. 〈르 피가로(Le Figaro)〉에 의하면, 프랑스의 한 회사가 몰스킨 브랜드를 되찾기 위해 투자한 돈은 무려 미화 9천만 달러, 한화로는 약 900억 원에 이른다. 몰스킨은 원래 프랑스 회사가 소유한 브랜드로, 소규모 제지업을 하던 장인에 의해 생산되었다. 1986년 장인이 죽자 몰스킨은 그 찬란한 전통과 수많은 이야기를 뒤에 남기고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듯 했다. 하지만 1998년 오랫동안 잊혀졌던 몰스킨은 이탈리아 밀라노에 자리잡고 있던 한 작은 회사에 의해 재생산되기 시작했고, 눈부신 성공을 거두었다. 버려진 브랜드로 어마어마한 성공을 누린 이 회사의 이름은 ‘모도 앤드 모도(Modo and Modo)’이다.

파블로 피카소의 몰스킨
image: moleskine.com

몰스킨의 디자인은 100년 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 몰스킨은 검은색 양장에 프렌치 바닐라 컬러의 내지, 그리고 노트가 펼쳐지지 않도록 커버에 부착되어 있는 밴드가 곧 트레이드마크이다. 그리고 이 브랜드를 둘러싼 수많은 역사와 이야기도 마찬가지이다.

모도 앤 모도의 공동 대표인 프란체스코 프란체스키(Francesco Franceschi)와 마리오 바루치(Mario Baruzzi)는 몰스킨을 둘러싼 역사와 이야기들에 주목하고 이를 마케팅에 활용했다. 몰스킨은 빈센트 반 고흐와 파블로 피카소, 앙리 마티스 그리고 오스카 와일드와 어네스트 헤밍웨이, 장 폴 사르트르 등 수많은 예술가들과 탐험가, 저널리스트들에 의해 사랑을 받았다. 헤밍웨이는 몰스킨에 『태양은 또 다시 떠오른다』를 집필했고, 고흐는 그의 유명한 그림들을 스케치했으며, 사르트르는 한 시대를 이끌 사상을 메모했다.

한 애호가의 몰스킨
image: pedalpower, flick.com 

몰스킨의 이야기는 애호가와 소비자에 의해 끊임없이 재생산되었다. 이들은 몰스킨을 사랑했던 역사적인 명사들의 뒤를 이어 자신의 이야기를 몰스킨에 쓰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들의 이야기는 웹을 통해 널리 퍼져나갔다. 몰스킨의 폭발적인 성장세는 바로 이러한 애호가 집단에 의한 자발적인 마케팅에 있었다.

한 웹사이트는 몰스킨의 성공을 두고 ‘브랜드 고고학(brand archeology)’이라고 이름 붙이고 있다. 수명이 다해버린 브랜드의 역사와 전통을 발굴해내고 이를 마케팅에 활용함으로써 브랜드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고 제품의 가치와 신뢰도를 높였다는 것이다. 몰스킨은2005년 한 해 동안 4백 5십 만개가 팔려나갔으며, 총 수익은 7천만 유로에 이른다.

http://www.moleskine.com
http://www.moleskinerie.com
[Le Figaro] Les carnets Moleskine redeviennent francais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7-27 | V&A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

V&A의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가 올해로 5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1972년 시작된 이래, 영국의 주요 일러스트레이션 공모전으로 자리잡은 행사입니다. 처음에는 도서만을 대상으로 했던 공모전 시상 부문은 현재 북 커버, 북 일러스트레이션, 저널리즘 일러스트레이션 세 가지로 확대되었고, 학생 부문도 별도로 시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V&A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 2011년도 수상작을 되돌아봅니다. 

2011-05-19 | 신문지목재

어제의 신문 더미가 오늘의 가구 자재가 됩니다. 미커 메이여르의 ‘신문지목재’는 층층이 신문지를 쌓아 압축해 만든 목재와 유사한 무엇입니다. 목재처럼 가공이 가능하면서도, 자르면 특유의 적층 흔적이 나타납니다. 종이에서 종이로 태어나는 재활용도 또 이렇게 종이에서 아예 다른 것으로 태어나는 재활용도 좋지 아니한가요. 

2010-05-15 | 2010 영국디자인산업계 조사

“38세의 백인 남성… 독립 프리랜서 디자이너의 증가… 전체 디자인 회사들의 2/3가 신규 채용을 아예 포기….” 2010년 디자인 카운슬이 발표한 영국 디자인 업계의 현황 보고서에서 묘하게 2020년이 겹쳐 보입니다. 2007년의 경제위기와 2020년의 팬데믹. 두 개의 위기가 불러온 경제적 여파에서 디자인 업계도 자유롭지 못했으니, 작년에는 IDEO마저 인력의 8% 감축 계획을 밝혔습니다. 신규 채용은 고사하고 기존의 정규직 일자리마저 사라지는 와중에, 그 자리를 채운 것은 그때나 지금이나 프리랜서입니다. 더 나아가 일을 중심으로 단기적으로 인력을 조직하는, 이른바 ‘온디맨드형’ 인력 구성이 아예 표준이 되리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

2010-09-16 | 타이포그래픽 지도 벽화

타이포그래피와 지도의 결합. 디자이너 폴라 셰어는 1990년대부터 세상을 타이포그래픽 지도의 형태로 그려왔습니다. 2010년에는 이를 실내 벽화의 형태로도 선보였죠. 퀸스의 메트로폴리탄 캠퍼스의 아트리움 벽을 장식한 것은 그가 특히 퀸스에 초점을 맞춰 그린 뉴욕의 지도였습니다. 벽화 작업을 위해 지도 원화를 100개 이상의 조각으로 나누고, 이를 패널에 하나하나 확대하여 비춰 그 모습 그대로 화가가 손수 그려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