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8-29 | 몰스킨의 “브랜드 고고학”

Editor’s Comment

이 수첩은 본래 프랑스에서 태어났지만, 세계적으로 알려진 이름이 된 것은 이탈리아의 한 회사가 이 브랜드를 인수한 이후입니다. 바로 ‘몰스킨’의 이야기입니다. 2006년 이탈리아에서 다시 프랑스 브랜드로 되돌아간 몰스킨 소식을 계기로, 그해 오늘은 몰스킨의 부활의 밑거름이 된 배경을 살펴보았습니다. 모도 앤드 모도는 100년 동안 예술가들의 친구였던 이 수첩의 역사와 유산을 되살렸고, 애호가들은 기꺼이 몰스킨의 자발적 마케터가 되었습니다. 누군가는 이 놀라운 성공을 두고 “브랜드 고고학”이라 불렀죠. 

몰스킨 브랜드가 이탈리아에서 프랑스로 되돌아가게 되었다. 〈르 피가로(Le Figaro)〉에 의하면, 프랑스의 한 회사가 몰스킨 브랜드를 되찾기 위해 투자한 돈은 무려 미화 9천만 달러, 한화로는 약 900억 원에 이른다. 몰스킨은 원래 프랑스 회사가 소유한 브랜드로, 소규모 제지업을 하던 장인에 의해 생산되었다. 1986년 장인이 죽자 몰스킨은 그 찬란한 전통과 수많은 이야기를 뒤에 남기고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듯 했다. 하지만 1998년 오랫동안 잊혀졌던 몰스킨은 이탈리아 밀라노에 자리잡고 있던 한 작은 회사에 의해 재생산되기 시작했고, 눈부신 성공을 거두었다. 버려진 브랜드로 어마어마한 성공을 누린 이 회사의 이름은 ‘모도 앤드 모도(Modo and Modo)’이다.

파블로 피카소의 몰스킨
image: moleskine.com

몰스킨의 디자인은 100년 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 몰스킨은 검은색 양장에 프렌치 바닐라 컬러의 내지, 그리고 노트가 펼쳐지지 않도록 커버에 부착되어 있는 밴드가 곧 트레이드마크이다. 그리고 이 브랜드를 둘러싼 수많은 역사와 이야기도 마찬가지이다.

모도 앤 모도의 공동 대표인 프란체스코 프란체스키(Francesco Franceschi)와 마리오 바루치(Mario Baruzzi)는 몰스킨을 둘러싼 역사와 이야기들에 주목하고 이를 마케팅에 활용했다. 몰스킨은 빈센트 반 고흐와 파블로 피카소, 앙리 마티스 그리고 오스카 와일드와 어네스트 헤밍웨이, 장 폴 사르트르 등 수많은 예술가들과 탐험가, 저널리스트들에 의해 사랑을 받았다. 헤밍웨이는 몰스킨에 『태양은 또 다시 떠오른다』를 집필했고, 고흐는 그의 유명한 그림들을 스케치했으며, 사르트르는 한 시대를 이끌 사상을 메모했다.

한 애호가의 몰스킨
image: pedalpower, flick.com 

몰스킨의 이야기는 애호가와 소비자에 의해 끊임없이 재생산되었다. 이들은 몰스킨을 사랑했던 역사적인 명사들의 뒤를 이어 자신의 이야기를 몰스킨에 쓰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들의 이야기는 웹을 통해 널리 퍼져나갔다. 몰스킨의 폭발적인 성장세는 바로 이러한 애호가 집단에 의한 자발적인 마케팅에 있었다.

한 웹사이트는 몰스킨의 성공을 두고 ‘브랜드 고고학(brand archeology)’이라고 이름 붙이고 있다. 수명이 다해버린 브랜드의 역사와 전통을 발굴해내고 이를 마케팅에 활용함으로써 브랜드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고 제품의 가치와 신뢰도를 높였다는 것이다. 몰스킨은2005년 한 해 동안 4백 5십 만개가 팔려나갔으며, 총 수익은 7천만 유로에 이른다.

http://www.moleskine.com
http://www.moleskinerie.com
[Le Figaro] Les carnets Moleskine redeviennent francais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9-01 | 2009 인덱스 어워드 ‘일’ 부문 수상작: kiva.org

1년 전 오늘 인덱스 어워드의 ‘놀이’ 부문 수상작에 이어, 이번에는 ‘일’ 부문을 수상한 kiva.org를 다시 만나봅니다. 키바는 마이크로 파이낸스 사이트입니다. 삶을 바꾸기 위한 씨앗 자금이 필요한 사람과 이에 돈을 빌려줄 사람을 연계합니다. 한 사람이 빌려줄 수 있는 최대 금액은 25달러. 물론 기부가 아니라 엄연한 대출입니다. 그렇게 모인 금액이 누군가에게는 배달용 밴을 구입 대금이, 누군가의 대학교 학비가, 누군가에게 여성 수공예인을 한 명 더 채용할 자금이 되죠. 키바는 지금도 운영 중이고, 대출 상환률은 96%이라고 합니다. 

최초의 재활용 플라스틱 의자 30주년 기념 전시

뉴욕 맨해튼에 위치한 엠마 스컬리 갤러리(Emma Scully Gallery)에서 사상 최초로 가구 디자인 재활용 플라스틱을...

2008-09-10 | 보철미학

2008년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번을 졸업하며 프란체스카 란차베키아는 의료용 보철기구를 재해석한 일련의 기구들을 졸업 작품으로 선보입니다. 이름하여 ‘보철미학’은 그의 설명대로 “오로지 기능적 측면만 강조된, 기계적이고 일반적인 외양의 보조기기들”을 표현의 매체로서 바라봅니다. 졸업 후 란차베키아는 학교에서 만난 훈 와이와 란차베키아+와이를 설립하여 지금까지 함께 활동하고 있습니다. (...)

사라질 지도

바다를 소재로 기후 위기를 다루는 예술가, 크리스티나 콘클린(Christina Conklin)이 마리나 사로스와 공동 저술한 <사라지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