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8-16 | 역대 최고의 PC, ‘애플 II’

Editor’s Comment

2006년 IBM PC 탄생 25주년을 기념하여 〈PC 월드〉 매거진이 역대 최고의 PC 25개를 꼽았습니다. 혁신성, 영향력, 디자인, 차별성 등을 기준으로 선정된 이 목록에서 가장 윗자리를 차지한 컴퓨터는 ‘애플 II’입니다. 1977년 출시된 애플 II는 “최초도 최첨단도 당시 가장 잘 팔린 모델도 아니었지만, 여러 모로 모든 것을 바꾸었던 기계”였다는 것이 〈PC 월드〉의 평이었습니다. 그렇게 애플 II는 개인용 컴퓨터라는 카테고리가 시장에 안착하는 데 크게 기여했죠. 

<PC 월드>가 선정한 최고의 혁신적인 PC, ‘애플 II(Apple II)’

컴퓨터 전문 매거진 〈PC 월드〉가 IBM PC 탄생 25주년을 기념하여 25개의 역사적인 PC를 선정했다. 혁신과 독창성, 시장에 대한 파급력, 디자인 등이 선정 기준이었다.

이 리스트에 첫 번째로 그 영예로운 이름을 올린 PC는 1977년에 출시된 ‘애플 II(Apple II)’다. ‘애플 II’는 최초의 컴퓨터도, 가장 많이 팔린 컴퓨터도 또 가장 진보 컴퓨터도 아니지만, 출시 후 컴퓨터에 대한 기준과 시장을 완전히 바꿔버린 것으로 평가 받는다.

‘애플 II’의 사양은 4KB 기본 메모리에 8 비트 시스템, 저장 장치로는 카세트 테이프가 쓰였다. 지금으로서는 상상하기도 힘든 이 저사양의 컴퓨터는 심지어 소문자를 입력할 수도 없었다. 하지만 ‘애플 II’는 최초의 컬러 모니터 컴퓨터로 기록되고 있으며, 텔레비전과 연결해 사용할 수도 있었다. 

‘애플 II’의 출시로 이후 세대 컴퓨터의 표준은 완전히 새로 쓰여지게 되었다. 스프레드시트의 발명은 컴퓨터를 비즈니스의 필수품으로 만들어버린 사건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최초의 스프레드시트인 ‘비지캘크(VisiCalc)’는 바로 ‘애플 II’를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이었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도 선정단이 ‘애플 II’를 높이 평가한 것은 바로 제품 디자인에 있다. 당시 스티브 잡스는 ‘애플 II’를 사람들이 책상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는 디자인으로 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로서 컴퓨터는 강판과 전선으로 뒤덮여 있던 초기 PC 디자인과 결별하게 되었다.

‘애플 II’는 〈PC 월드〉가 발표한 25개의 역사적인 PC 중 가장 오래된 제품이다. 가장 구식이지만, 가장 혁신적인 제품이란 평가에 대해 별다른 이의가 없어 보인다. 애플은 이 리스트에 한 회사로서는 가장 많은 수인 다섯 개의 자사 제품을 포함시키는 관록과 저력을 보여주었다. 뒤를 이어 IBM이 세 개의 제품을 리스트에 올려놓았고, 두 개의 제품을 올려놓은 도시바가 올해에 출시한 ‘Qosmio G35-AV650’는 25개의 제품 중 가장 최신 제품으로 기록되었다. 

25개 제품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PC 월드〉의 해당 기사 페이지를 통해 영문으로 열람할 수 있다.

[PC World] The 25 Greatest PCs of All Time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유골로 만든 3D프린팅 인공 암초

사랑하는 이들의 유골이 바닷속에서 굴을 재생하는 인공 암초가 된다면 어떨까? 런던 왕립예술대학(RCA), 임페리얼칼리지출신의 루이스 L....

2010-04-21 | 식탁에 오른 자연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의 ‘살로테 사텔리테’는 나이 제한이 있는 전시입니다. 35세 이하의 디자이너만 참여할 수 있지요. 1998년 첫 전시 이래 1만 명 이상의 젊은 디자이너가 참여했고, 이제는 익숙한 이름이 된 디자이너들도 여럿입니다. 2010년 살로네 사텔리테에서 단연 주목받은 신인은 나오 타무라입니다. ‘계절’이라는 이름의 식기 디자인으로 1등상을 수상한 그는 2010년 그때 밀라노 그곳이 커리어의 시작이었다고 단언합니다. 반갑게도 10년이 훌쩍 지난 지금도 그의 이름을 만날 수 있습니다. 작년 화제가 되었던 ‘도쿄 화장실’ 프로젝트에서처럼요.

2010-09-20 | 번역

2010년, 런던을 터전 삼아 활동 중인 젊은 디자이너들이 모여 함께 전시를 열었습니다. 하나의 착상이 물리적 몸체를 얻기까지의 과정에 그들은 ‘번역’이라 이름 붙였죠. 생각이 지나온 경로와 완성된 디자인을, 또 영감의 원천이 무엇이었는지도 함께 보여주는 전시였습니다. 

2010-04-13 | 엔초 마리 ‘자급자족 디자인’ 부활

작년 한 해 코로나19가 안긴 수많은 부고 가운데 안타깝게도 엔초 마리와 그의 부인 레아 베르지네의 타계 소식이 있었습니다. 그것도 밀라노 트리엔날레에서 열린 회고전의 개막 직후의 일이었습니다. 오늘의 뉴스는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입니다. “디자인은 지식을 전할 때 오로지 디자인이다.”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은 완성품으로서의 가구가 아니라 지식으로서의 가구를 전했습니다. 2010년 아르텍은 그 ‘자급자족 디자인’의 첫 번째 가구인 ‘의자 1’을 다시 소개하며 엔초 마리에게 경의를 표했습니다. 기사에 언급된 짤막한 다큐멘터리에서 그의 모습과 그가 믿는 디자인 이야기도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