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8-16 | 역대 최고의 PC, ‘애플 II’

Editor’s Comment

2006년 IBM PC 탄생 25주년을 기념하여 〈PC 월드〉 매거진이 역대 최고의 PC 25개를 꼽았습니다. 혁신성, 영향력, 디자인, 차별성 등을 기준으로 선정된 이 목록에서 가장 윗자리를 차지한 컴퓨터는 ‘애플 II’입니다. 1977년 출시된 애플 II는 “최초도 최첨단도 당시 가장 잘 팔린 모델도 아니었지만, 여러 모로 모든 것을 바꾸었던 기계”였다는 것이 〈PC 월드〉의 평이었습니다. 그렇게 애플 II는 개인용 컴퓨터라는 카테고리가 시장에 안착하는 데 크게 기여했죠. 

<PC 월드>가 선정한 최고의 혁신적인 PC, ‘애플 II(Apple II)’

컴퓨터 전문 매거진 〈PC 월드〉가 IBM PC 탄생 25주년을 기념하여 25개의 역사적인 PC를 선정했다. 혁신과 독창성, 시장에 대한 파급력, 디자인 등이 선정 기준이었다.

이 리스트에 첫 번째로 그 영예로운 이름을 올린 PC는 1977년에 출시된 ‘애플 II(Apple II)’다. ‘애플 II’는 최초의 컴퓨터도, 가장 많이 팔린 컴퓨터도 또 가장 진보 컴퓨터도 아니지만, 출시 후 컴퓨터에 대한 기준과 시장을 완전히 바꿔버린 것으로 평가 받는다.

‘애플 II’의 사양은 4KB 기본 메모리에 8 비트 시스템, 저장 장치로는 카세트 테이프가 쓰였다. 지금으로서는 상상하기도 힘든 이 저사양의 컴퓨터는 심지어 소문자를 입력할 수도 없었다. 하지만 ‘애플 II’는 최초의 컬러 모니터 컴퓨터로 기록되고 있으며, 텔레비전과 연결해 사용할 수도 있었다. 

‘애플 II’의 출시로 이후 세대 컴퓨터의 표준은 완전히 새로 쓰여지게 되었다. 스프레드시트의 발명은 컴퓨터를 비즈니스의 필수품으로 만들어버린 사건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최초의 스프레드시트인 ‘비지캘크(VisiCalc)’는 바로 ‘애플 II’를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이었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도 선정단이 ‘애플 II’를 높이 평가한 것은 바로 제품 디자인에 있다. 당시 스티브 잡스는 ‘애플 II’를 사람들이 책상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는 디자인으로 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로서 컴퓨터는 강판과 전선으로 뒤덮여 있던 초기 PC 디자인과 결별하게 되었다.

‘애플 II’는 〈PC 월드〉가 발표한 25개의 역사적인 PC 중 가장 오래된 제품이다. 가장 구식이지만, 가장 혁신적인 제품이란 평가에 대해 별다른 이의가 없어 보인다. 애플은 이 리스트에 한 회사로서는 가장 많은 수인 다섯 개의 자사 제품을 포함시키는 관록과 저력을 보여주었다. 뒤를 이어 IBM이 세 개의 제품을 리스트에 올려놓았고, 두 개의 제품을 올려놓은 도시바가 올해에 출시한 ‘Qosmio G35-AV650’는 25개의 제품 중 가장 최신 제품으로 기록되었다. 

25개 제품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PC 월드〉의 해당 기사 페이지를 통해 영문으로 열람할 수 있다.

[PC World] The 25 Greatest PCs of All Time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뭉크 미술관 가구 디자인

지난 10월 22일, 노르웨이 오슬로에 뭉크 미술관(Munch museum)이 새로운 모습으로 재개관했다. 개관 전부터...

2009-05-25 | 디자인과 예술 사이

“디자인은 목적이 있는 표현이고, 만일 충분히 좋은 디자인이기만 하다면 훗날 예술이라 판정될 수도 있다.” 20세기의 거장 찰스 임스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리고 21세기 하이메 아욘은 이렇게 이야기하죠. “더 이상 제품디자인과 예술 사이에 명확한 경계란 없다.” 디자인과 예술 사이를 유영하는 정체불명의 오브제들. 이를 조명하는 전시 ‘U.F.O. : 예술과 디자인의 흐릿한 경계’가 2009년 NRW-포럼 뒤셀도르프에서 열렸습니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칼에는?: 2021 영국 다이슨 어워드

응급 처치용 의료기기 ‘리액트(REACT)’를 디자인한 조셉 벤틀리(Joseph Bentley)가 ‘2021 영국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의 내셔널...

2008-06-20 | 오바마, 디자인, 브랜드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디자인’의 관점에서도 유독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미 민주당의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부터 그러한 조짐이 드러났죠. 디자이너 셰퍼드 페어리의 포스터가 오바마 캠프의 시각적 상징이 되었고, 그러면서《뉴욕타임스》에는 ‘오바마는 맥, 힐러리는 PC인가?’라는 기사가, 《패스트 컴퍼니》에는 ‘오바마라는 이름의 브랜드’라는 분석 기사까지 실렸습니다. 어떤 ‘현상’이 된 선거에 관한 이야기를 14년 전 오늘의 뉴스에서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