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를 위한 보라색: #WeThe15

#위더15 워드마크, 2021. © #WeThe15

2021년 8월 19일, 디자인 스튜디오 펜타그램(Pentagram)에서 새로 출범하는 인권 운동 ‘#위더15(#WeThe15)’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공개했다. 이름에서 ‘15’라는 숫자는 전 세계 인구 중에서 15%를 차지하는 1.2억 명의 장애가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위더15의 목표는, 대중적이고 국제적인 캠페인으로 자리잡아, 전 세계 장애인이 받는 차별을 끝내는 것이다.

크리에이티브 에이전시 아담앤이브DDB(adam&eveDDB)에서 #위더15 캠페인을 고안한 후, 이를 위해 펜타그램과 그래픽 디자이너 해리 피어스가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담당했다.

펜타그램은 #위더15의 아이덴티티에 국제적으로 장애를 상징하는 ‘보라색’을 사용했다. 그리고  소셜미디어에서 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문자 앞에 해시태그를 넣었고, 심볼은 원형 도표에서 15%가 차지하는 비율을 그린 간단한 도형으로 디자인했다. 이 심볼은 8월 24일에 개막하는 도쿄 2020 패럴림픽에서 운동 선수들이 반영구 문신으로 몸에 새기고 경기에 출전한다.

운동 선수 몸에 새긴 심볼 타투, 2021 © #WeThe15

지난 8월 19일에는 #위더15 캠페인의 출범을 축하하기 위해, 30개 국가에서, 각기 다른 시간에, 125개 이상의 랜드마크를 보라색 빛으로 물들였다.

보랏빛으로 물든 런던아이, 2021 © #WeThe15

pentagram.com
wethe15.org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8-05 | 에어론 위드 아트

2011년 허먼 밀러 재팬이 모어 트리와 함께 자선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이를 위해 5인의 미술가, 건축가, 화훼 아티스트가 ‘에어론 의자’를 재탄생시켜 대지진 구호를 도왔습니다. 참고로 허먼 밀러는 지난 봄 또 하나의 유명 가구 브랜드 놀(Knoll)의 인수 합병 소식을 발표했는데요. 놀을 품은 허먼 밀러의 정식 이름은 ‘밀러놀’입니다. 

2011-10-18 | 새들에게 만찬을

새들을 위한 격식 있는 상차림. 디자이너 프레데릭 로이예의 ‘디시 오브 디자이어’는 본차이나와 레드시더우드 소재의 접시들이 층층이 매달린 새 모이통입니다. 몇 가지 ‘코스’의 차림인가, 즉 몇 개의 접시로 이뤄졌는가에 따라 모두 네 가지 종류로 구성되었죠. “깃털 달린 친구들”을 위한 멋진 소품입니다.

2009-09-03 | 인타입스, 인테리어의 유형학

1997년 코넬 대학의 잰 제닝스 교수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유형 분류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시대, 양식, 문화권에 걸쳐 반복되어 등장하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패턴들을 연구하고 분류하여 그것에 일정한 이름을 부여하는 작업이었지요. 가령 라운지 의자들이 서로 마주한 익숙한 배치(때로 커피 테이블이나 러그가 사이에 놓여 있기도 한)에는 ‘대면(Face to Face)’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2013년에는 두 명의 학부생이 만들어낸 ‘언룸(Unroom)’이라는 신조어가 인타입스에 추가되기도 했지요.(...)

2008-10-08 | 스트리트 아트 x 사진

“JR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큰 미술관이 있습니다. 사진 콜라주 기법 덕분에, 작품을 무료로 온 세상의 벽에 전시하여, 평소에 박물관에 가지 않는 사람들의 관심을 이끕니다.” 물론 그 세상의 벽 중에는 실제의 갤러리, 뮤지엄들도 포함되지요. 여기 2008년 테이트 모던의 벽이 그러했고, 바로 얼마 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천장과 바닥이 그랬던 것처럼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