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 카이트: 상공에 띄우는 풍력 발전 시스템

공중 풍력 발전 시스템(SkySails Power’s Airborne Wind Energy Systems (AWES)). © SkySails

독일 함부르크의 스카이세일즈 그룹(SkySails Group)이 세계 최초로 하늘을 나는 풍력 발전 시스템을 선보였다. 풍력 발전은 자원이 풍부하여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에너지 중 하나로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지상에서 일반적인 풍력발전의 출력을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스카이세일즈 그룹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바람이 세지는 자연 현상을 활용해 최대 400미터 상공에서 패러글라이더 형태의 연을 띄우는 공중 풍력발전 시스템(SkySails Power’s Airborne Wind Energy Systems (AWES))을 개발했다.

공중 풍력 발전 시스템. © SkySails

파워 카이트(power kites)가 하늘로 날아오를 때 지상 드럼에 연결된 밧줄이 풀린다. 연은 충분히 높은 고도에 도달했을 때 8자로 비행하고 그로 인해 밧줄이 당겨지는데, 이때 끌어당기는 힘은 전기를 생산하는 드럼 내부의 발전기를 구동시킨다. 이 과정을 ‘작업 단계(working phase)’라고 부른다. 밧줄이 최대한 풀리면 자동 조종 장치에서 파워 카이트를 조금씩 끌어당겼다가 다시 높이면서 중립에 위치하도록 조종한다. 그리고 발전기는 모터를 작동시켜 밧줄을 되감는다. 파워 카이트는 200미터에서 400미터 사이 상공을 날면서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한다. 공중 풍력발전 시스템을 통해 생산된 에너지는 전국의 배전관을 통해 배터리에 저장되거나 바로 소비될 수 있다.

기상 이변이 예상될 때나 혹은 유지 보수가 필요할 시에는 파워 카이트를 착륙시키기도 한다. 모터가 달린 대형보트와 돛대에 파워 카이트가 연결되면 연이 지상으로 내려오는데, 이후 장착을 해제시켜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면 된다.

공중 풍력 발전 시스템. © SkySails

바람이 대지에 가까워질수록 표면 마찰로 속도가 제한되는 반면, 이 시스템은 고도가 높을수록 마찰에 방해받지 않고 훨씬 더 효과적인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 이 점 때문에 평소에 바람이 약한 곳에서도 더욱 많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공중 풍력발전 시스템은 허리케인이나 태풍 같은 자연재해가 잦은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접근이 어려운 위치에서도 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skysails-power.com

© designflux.co.kr

강예린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12-30 | 디자인 옥션 하이라이트

디자인플럭스가 문을 연 2006년은 마크 뉴슨의 ‘록히드 라운지’가 소더비 경매에서 160만 달러라는 기록적인 가격에 판매되었고, 전년 ‘디자인.05’라는 이름으로 출범했던 행사가 디자인 마이애미/라는 익숙한 이름으로 찾아온 해이기도 합니다. 2008년 오늘은 크리스티, 소더비 등 주요 디자인 경매 6개 행사의 결과를 소개합니다. 최근 몇 년간 이어진 이탈리아 디자인에 대한 선호 흐름을 예견하듯, 카를로 몰리노의 ‘보조 탁자’가 가장 비싼 값에 낙찰되었습니다. 작품으로서 수집의 대상이 된 디자인. 그에 부응하듯, 2008년 아트넷도 온라인 디자인 마켓플레이스를 열었습니다. 

2008-06-10 | 굿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좋은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수없이 던져진 질문이고 어떤 대답은 무척이나 유명합니다. 디터 람스의 디자인 10계명처럼요. 이번에는 디자인 평론가 앨리스 로스손의 대답입니다. 그녀는 좋은 디자인인가를 생각할 때 짚어볼 다섯 가지를 제시합니다. 그것이 무엇을 하는지, 모습은 어떠한지, 어디가 새로운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죄책감을 일으키는지 말이지요. 그리하여 도달하는 좋은 디자인의 결론은 무엇인지, 오늘의 뉴스에서 만나봅니다.

사물이 말을 한다면 #1 나의 짧은 생애

나는, 안락의자다 이렇게 평화로운 시간을 꿈꿨던 것일까? 하얀 쉬폰 커튼으로 햇살이 스며들고 연둣빛 잎사귀가 한껏...

2011-04-21 | 바이오쿠튀르

배양액 속 박테리아가 섬유를 자아내고 그것들이 엉겨 막을 이룹니다. 그리고 이 미세 섬유질의 막이 모여 천이 되죠. 모두가 실험실에서 단 몇일 만에 이뤄지는 과정입니다. 수잔 리의 ‘바이오쿠튀르’는 막대한 인력과 자원과 환경 부담으로부터 자유로운 의류의 한 가지 미래를 앞당겨 보여준 프로젝트였습니다. 현재 그는 바이오패브리케이트(Biofabricate)의 대표로, 바이오원료 기술과 패션은 물론 건축 등 여러 분야의 디자인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