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 빈방, 덩그러니 놓인 QR 코드: 2021 베니스건축비엔날레 독일관

제17회 베니스 건축비엔날레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1년 연기되어, 원래 개막일이었던 2020년 5월 22일로부터 정확히 1년 후인 2021년 5월 22일 드디어 막을 열었다. 이는 팬데믹 이후 열리는 첫 번째 주요 대규모 건축 행사이다. 11월 21일까지 진행되는 베니스 건축비엔날레는 ‘우리는 어떻게 함께 살아갈 것인가? (How will we live together?)’라는 질문을 하나의 관통하는 주제로 선정했다.

이번 비엔날레의 총감독을 맡은 레바논 출신의 건축가 하심 사르키스(Hashim Sarkis)는 “지금, 그 어느 때보다 건축가들이 종합적인 기술을 동원하여 다양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며 큐레이터들이 기존 전시와 달리, 간단 명료하면서 접근성이 좋은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활용하도록 권장했다. 이렇게 전시의 체험과 설치에 중점을 둔 총감독의 생각에 맞춰 비엔날레 국가관들에서는 다양한 형식을 선보이고 있는데 그 중 독일관이 큰 화제로 떠오르고 있다.

‘2038 – 새로운 평화(2038 – The new serenity)’를 제목으로 한 독일관에서는 하얗게 칠해진 네오클래식 양식(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 전반까지 유럽 세계를 풍미한 예술 양식)의 벽면마다 QR 코드를 하나씩 덩그러니 프린트해 놓았다.

2021 베니스건축비엔날레 독일관 Photo © Federico Torra

방문객은 벽면의 QR 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스캔해서 가상의 ‘클라우드 파빌리온(Cloud pavilion)’에 접근할 수 있다. 클라우드 파빌리온에 입장하면 2038년 평화로운 미래 세계를 살아가는 18세 소년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영화 ‘인터레일 2038(Interrail 2038)’과 ‘우리는 어떻게 함께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전문가들의 답변을 들어볼 수 있다.

<디진>의 보도에 따르면 이에 대해 일부에서 독일관의 전시 형태가 “거만하다”라는 평가가 나오는 등, ‘2038 – 새로운 평화’는 이번 건축비엔날레에서 가장 큰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건축가 팀 아브라함(Tim Abrahams)은 “독일관은 달랑 QR 코드 몇 개가 다였다. 아무리 거기에 몰입하려 해도 내 감각은 3초 만에 굳어버렸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2038 – 새로운 평화’에서 전시의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넘나드는 ‘매개’로 ‘QR코드’를 사용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실 QR 코드 자체는 이미 개발된 지 30여 년이 되어가는 ‘구식’ 기술이다. 하지만 이번 독일관 전시에서는 비대면 시대의 의미에 걸맞게 전시에 적용, 전시의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넘나드는 매개로 사용하면서 관람객들에게 신선한 경험을 주고 있다. 이것은 ‘새로움’이 항상 어떤 개념이나 도구 그 자체의 새로움보다 그것을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달려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독일과 입구 사진, 2021. Photo © Federico Torra

독일관의 전시는 백 여 명이 넘는 다양한 국적의 건축가, 생태학자, 예술가, 과학자, 작가, 정치가로 이루어진 국제적인 팀 ‘2038’이 기획했다. ‘2038’은 건축가 아르노 브란틀후버, 울라프 그라베르트, 니콜라스 히르쉬, 타티아나 빌바오, 패트릭 슈마허, 영화감독 크리스토퍼 로스가 중심이 되어 설립되었다.


2038 | Home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9-02 | 데이비드 번의 자전거 보관대

데이비드 번. 토킹 헤즈를 이끌었던 바로 그 뮤지션이자 예술가이며 동시에 열렬한 자전거 애호가인 그가 2008년 자전거 보관대를 디자인했습니다. 뉴욕교통국이 진행하는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그가 디자인한 보관대들이 뉴욕 곳곳에 설치되었는데요. “그저 미술 작품이 아니라 실용적인 자전거 보관대라는 사실을 알아볼 수 있게, 기존 보관대와 같은 두께, 같은 소재여야 한다는 점이 내게는 중요했다”는군요. 그렇게 탄생한 데이비드 번의 자전거 보관대는 11개월간 제자리를 지켰습니다.

2007-03-31 | 리처드 로저스, 프리츠커상 수상

속을 뒤집어 내보인 듯한 모습으로 충격을 안겼던 파리 퐁피두 센터가 완공된 지 30년이 되던 그해, 그 건물의 건축가 리처드 로저스가 프리츠커상을 수상했습니다. 오래된 소식을 다시 전하며, 지난 12월 18일 전해진 그의 부고에도 늦게나마 애도를 표합니다. 참고로 2022년 프리츠커상은 부르키나파소 출신의 건축가 디에베도 프랑시스 케레에게 돌아갔습니다. 

2007-04-09 | 휴대폰의 시대, 시계의 운명은?

2007년이라면 아이폰이 발표되어 시장에 등장한 해입니다. 4월 9일의 이 뉴스는 아직 휴대폰이 그렇게까지 ‘스마트’하지 못했던 때에도, 이미 제 기능을 휴대폰에게 내주었던 시계의 운명에 관한 기사입니다. 자기표현의 수단 혹은 휴대용 전자기기화. 두 가지가 양립 불가능한 관계의 선택지는 아닙니다만, 어쨌든 후자의 흐름이 현실이 되어 스마트시계라는 카테고리가 태어났습니다. 문제는 그것이 시계 시장 외부에서, 그것도 다름 아닌 휴대폰 시장으로부터 왔다는 것입니다. 전통적인 시계는 지금 다시 한 번 시계의 모습을 한 기기와 경쟁하는 중입니다.

2011-10-28 | 미생물의 집

디자인 프로브는 필립스가 운영했던 미래 라이프스타일 연구 프로그램입니다. 이미 소개했던 2010년의 ‘메타모포시스’에 이어 2011년 필립스가 구상한 미래의 집은 미생물을 이용한 자급자족의 집입니다. ‘미생물의 집’이 그리는 아직 오지 않은 미래의 집에서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오래된 요소들입니다. 토기로 된 증발식 냉장고라던가 벌통 그리고 쪼그려 앉는 재래식 변기처럼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