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열 집열판 디자인: 2020 두바이 엑스포

2020 두바이 엑스포 네덜란드관 태양열 패널 지붕, 2021. © The Netherlands pavilion

2020 두바이 엑스포(2021.10.01 – 2022.03.31)의 네덜란드관은 디자인 스튜디오 마르얀 판 아우벌(Marjan Van Aubel)이 디자인한 태양열 집열판으로 덮여 있다. 이번에 이들이 선보인 지붕 디자인에서는 태양열 집열판이라는 기계적 장치가 두드러지지 않고, 디자인을 통해 태양빛이 건물과 사물로 매끄럽게 스며들게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태양열 에너지 활용 기술과 디자인 사이에서 종종 간과되었던 사용자의 미적 감수성에 대한 고려라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이 태양열 패널은 PET 위에 인쇄된 다채로운 색상의 OPV(Organic Photovoltaics, 유기 태양 전지)로 만들어졌다. 두바이의 강렬한 태양광을 네덜란드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데 모으고, 식용 식물의 광합성에 적합한 빛만 패널을 통과하여 파빌리온 안으로 자연스럽게 흘러 들어오도록 설계되었다.

파빌리온에 사용한 OPV를 들고 있는 마르얀 판 아우벌, 2021. © Marjan Van Aubel studio

태양열 집열판이 에너지를 모으는 모습 자체 또한 시각적인 아름다움으로 눈길을 끈다. 태양열 패널 지붕의 과감한 그래픽은 유색의 간섭무늬(Moiré effect)로 이루어져 있는데, 선과 무늬가 서로 간섭하면서 파빌리온 실내로 아름다운 빛의 형상을 투영한다. 테크놀로지와 미적 감성을 연결시켜, 지속가능성을 ‘일상’으로 만드는 디자인의 역할을 재고하게 만든 프로젝트다. 이번 엑스포 네덜란드관의 주제는 예상대로 ‘지속가능성’이다.

marjanvanaubel.com
dutchdubai.com




© designflux2.0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5-13 | ‘모어’는 지루해

“미니멀리스트 그래픽 아트”라는 부제가 암시하듯, 2010년 열린 ‘모어 이즈 어 보어’ 전시는 단순과 절제의 형태 언어를 구사하는 젊은 그래픽 디자이너들의 작업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 모어가 아니라 레스이기에 보여줄 수 있는 활기와 즐거움을 담은 작품들을요.

2010-10-01 | 미래의 책을 향한 세 가지 상상

IDEO가 상상한 디지털 시대의 책은 어떠한 모습일까요. 웹과 결합하거나 혹은 소셜 네트워크와 결합하거나 아니면 게임과 뒤섞이거나. 듀웨인 브레이와 로버트 렌이 구상한 세 가지 미래의 책 콘셉트를 만나봅니다.  

일상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지난 몇 년 사이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 이라는 용어는 디자인계에서 중요한 화두로 부상했다. 바이오필릭...

Design of Voice #2 『농인성소수자×한국수어: 편견과 혐오를 걷어낸 존중과 긍정의 언어』

여느 날처럼 SNS를 켜니 형형색색의 머리 스타일에 여섯 색깔 무지개 망토를 두른 ‘샛노란’ 모습의 사람들이 피드에 보인다. ‘아! 올해도 온라인 퀴퍼가 시작됐군.’ 바로 ‘온라인 퀴어 퍼레이드’(이하 ‘온라인 퀴퍼’) 홈페이지로 이동해 하늘색 록스타 머리와 한복 저고리와 바지로 치장한 뒤 스쿠터를 타고 퍼레이드 행렬에 동참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