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물점 프로젝트

철물점 프로젝트(Hardware Shop Project), 2021. ⓒ Mario Tsai

중국 항저우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디자이너 마리오 차이(Mario Tsai)가 지난 해 말, ‘오픈소스 디자인’을 주제로 하여, 철물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의 일상적 재료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철물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일상적 재료를 중심으로 하여 디자인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과정과 디자인 결과물을 보여주는 이 전시는 상하이의 팝업 전시를 통해 공개됐다.

마리오 차이, 철물점 프로젝트(Hardware Shop Project), 2021. ⓒ Mario Tsai

차이 디자인 팀의 이 프로젝트는 작업실 인근의 가까운 철물점에서 배기관과 우레탄 폼을 구입하면서 실험이 시작되었고, 그 후 가구와 조명, 소품을 제작하며 이어지면서 호스 컬렉션(the Hose Collection)이 완성되었다.

두툼한 연통을 구부려 심플한 형태의 벤치를 만들고, 두께가 다른 두 가지 버전의 조명을 디자인했다. 하나는 튜브 안쪽에서 빛이 비추어 나오게 만들고, 다른 하나는 구부려 매듭지은 튜브의 끝에 전구가 살짝 보이도록 디자인했다. 검은색 호스로는 유리판을 감아 테이블을 만들거나 매듭을 지어 꽃병으로 변신시키기도 했다. 우레탄 폼은 구하기 쉬운 또 다른 재료로, 안정감을 위해 연통의 끝을 채우거나 케이블을 제 자리에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했다.

마리오 차이, 철물점 프로젝트 – 조명, 2021. ⓒ Mario Tsai

미니멀리즘과 기능성 사이의 어딘가에 위치한 이 디자인들은 단순한 형태 안에서 쓰임새를 발견하는, 직관적인 미학적 언어에 뿌리를 두고 있다. 차이는 이 프로젝트를 ‘공공의 창작 탐구’라고 하면서, 이 프로젝트의 본질적인 원칙은 기본적인 구조가 되는 재료를 찾고, 다양한 일상적 사물 제작 방법을 대중에게 공개하여 공유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리오 차이, 철물점 프로젝트 – 조명, 2021. ⓒ Mario Tsai

hardwareshopproject.com
wallpaper.com

©designflux.co.kr

강예린

지구에 이로운 디자인이 있을까요? 우리가 쓰는 모든 것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결국 어디로 버려질까요? 호기심이 많은 초보 연구자입니다. 모든 광고 문구에 빠르고 편리함을 강조하는 세상에서 조금은 느리고 불편한 것, 누군가 소외되지 않는 것에 마음을 씁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5-20 | 바바라 크루거의 런던 지하철 노선도

2010년 5월 21일 이후 런던의 지하철역에서 포켓형 노선도를 집어들었다면, 표지에서 어딘가 이상한 점이 눈에 띄었을 것입니다. 노선도의 모습은 그대로인데, 역의 이름이 다릅니다. 가령 피카딜리 서커스 역은 ‘역설’, 웨스트민스터 역은 ‘이성’, 러셀 스퀘어 역은 ‘의심’, 템플 역은 ‘웃음’이 되었습니다. 바바라 크루거는 런던 도심의 지하철역에 어떤 상태, 개념, 감정의 단어를 붙였고, 그렇게 바뀐 노선도는 마음의 여정을 그린 마인드맵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

베스트레, 지속가능한 가구 공장 ‘더 플러스’ 오픈

18개월의 공사 기간 끝에, 노르웨이 가구 제조 업체 베스트레(Vestre)에서 ‘세계에서 가장 친환경적인 가구 공장,...

2009-11-26 | 2010년도 ‘러시안’ 다이어리

레드스톤 프레스는 줄리언 로선스타인이 운영하는 1인 출판사로, 1980년대부터 오랫동안 자리를 지키며 아트북을 선보여왔습니다. 다만 레드스톤의 출간물이 모두 책인 것만은 아니어서, 심리테스트 게임이라던가 다이어리도 있습니다. 매년 독특한 주제로 선보이는 스프링노트 형태의 다이어리. 2010년의 다이어리 주제는 ‘소비에트 연방 초창기의 아동 서적’이었습니다. 참고로 내년도 다이어리의 이름은 ‘또 다른 세상에서’입니다. 

2011-08-12 | 좋은 날씨

2011년 시각 예술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인 사라 일렌베르거의 개인전이 열렸습니다. ‘좋은 날씨’는 그의 작업을 망라한 첫 모노그래프 출간을 기념하여 열린 전시이기도 합니다. 그가 택하는 작업의 재료는 대체로 입체의 사물입니다. 그것을 그대로 설치하거나 아니면 사진을 찍어 이미지로 만들지요. 어떤 매체의 표현을 빌리자면 “3D 일러스트레이터”라고 할까요. 사라 일렌베르거의 시각 세계를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