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립식 집합주택의 꿈: 발터 그로피우스와 콘라드 바흐슈만

조립식 집합주택의 꿈: 발터 그로피우스와 콘라드 바흐슈만 (길버트 허버트 지음, MIT 출판사, 1984) The Dream of the Factory-Made House: Walter Gropius and Konrad Wachsmann (Gilbert Herbert, MA: Cambridge, 1984)

최근 MIT 출판사에서 20세기 후반에 출판된 서적과 최근의 모든 저널을 무료로 오픈하는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목록을 훑어보던 중 익숙한 이름 ‘그로피우스’를 어찌 그냥 지나치랴. 특히 조립식 대량생산 주택이라는 아이디어는 100년 전이나 지금이나 충분히 시선을 끄는 주제이다. 물론 국내외에서 그로피우스의 블록 유닛 주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이 책은 공법적인 면을 역사적 흐름 속에서 또 유럽과 미국의 다른 문화적 배경에서 전개하고 있는 점에서 결이 다르다.

모듈화, 표준화에 기반한 근대 디자인에서 출발한 조립주택(패브리케이션 fabrication)은 근대 디자인의 본질적인 의미를 재고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저가의 대량생산을 통해 주택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민주적인 접근으로 볼 수도 있는 반면 삶의 환경을 동질화하는 문제, 그러면서도 또 모듈화를 통해 일정 정도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여러 입장이 존재한다. 

무엇보다 눈길을 끄는 부분은 그로피우스가 이 프로젝트를1910년대 바이마르에서부터 시작하여 데사우 시기를 거쳐 미국으로 이주한 이후 1950년대까지, 일생의 핵심적인 프로젝트로 지속했다는 점이다. 이 조립주택 아이디어와 프로젝트는 실제 바우하우스에서 상당한 중요성을 가지고 있었고, 프랑크푸르트, 슈트트가르트 등지에서 주택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한다.

브론 시스템, 베를린, 1926년 경

‘조립주택’, 그리고 이에 기반한 ‘집합주택’ 개념은 양차대전을 겪으면서 각지로 확산되지만 지역과 문화에 따라 각기 다르게 수용된다. 독일에서는 집합주택이 특히 1차대전 이후에 주택난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받아들여진 반면, 미국에서는 포디즘의 연장선상에서 산업적 생산에 대한 낭만적 꿈에 기반하여 수행된다.

1933년 바우하우스 폐교 이후 그로피우스는 유럽 각지를 오가던 중, 전 유고슬라비아에서 유태인 콘라드 바흐슈만을 처음 만나게 되고, 그로부터 약 10년 후 미국에서 두 사람이 재회하면서 미국 산업자본주의를 배경으로 조립주택 사업이 재시도된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집합주택 혹은 사회적 주택이 19세기부터 노동자들의 공동 거주지로 사용되어온 역사가 있어서 긍정적인 대안으로 받아들여지지 못한다. 그래서 이들의 디자인은 대공황 이후 그리고 2차 대전 중에 미국 연방에서 시행된 거대한 주택 사업에 참여하지 못한다. 결국 미국에서 이 조립주택 프로젝트는 제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상대적으로 작은 단위의 표준화 된 구조를 판매하는 방식으로 변화된다. (‘패키지드’ 하우스 또는 ‘유연한(flexible)’ 하우스로 명명)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사업은 1940년대에 일시적으로 붐을 일으키는 데 그치고 만다. 그로피우스와 바흐슈만은 모두 기술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에서 출발했지만, 이후 프로젝트 실패에 대한 평가 과정에서 그로피우스는 기술, 경제적 상황보다 더 큰 비전 즉 도시의 형태와 문화적 특성에 따른 수용 방식을 포괄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언급한다.

이 책은 조립주택과 집합주택이라는 주제를 통해, 바우하우스 폐교 이후에 미국 이외의 지역으로 이주한 디자이너들의 행보도 보여준다. 당시 유태인들의 디아스포라를 통해 근대 디자인 형식이 각지로 전파되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그 중, 조립주택 방식이 적극 적용되면서 도시 풍경 전체가 변화된 전 팔레스타인의 사례 연구는, 바우하우스의 근대 디자인이 삶의 환경 조성에서부터 근본적인 변화를 야기했다는 점을 시사한다. 

텔아비브 시 풍경, 바우하우스 건축의 영향, 1933

이 책은 근대 대량생산이 본격화되던 시기에 디자인과 디자이너에 관한 본질적인 이슈들을 돌아보게 한다. 조립주택이 일반 공산품과 같은 맥락에서 논의될 수 있는가? 모듈화 유닛 구조에서는 무엇보다 엔지니어의 역할이 강조되는데, 이 생산 체계에서 디자인은 어디에 위치하고 크레딧은 누구에게 주어지는가? 디자인과 제조업의 관계 설정을 어떻게 해야하는가?

구조에 대한 철학적인 논의도 빠지지 않는다. 표준화된 패널 구조를 바탕으로 한 유니버설 시스템에 대해, 구축적인 관점에서는 ‘닫힌 시스템’으로 여겼지만, 디자인 시스템 그 자체를 최종 제품으로 여기는 입장에서는 이것을 본질적으로 유연한 접근으로 해석했다. 이러한 논의는 대량생산 방식에서 구조의 표준화와 모듈화의 유연성 사이에 어떻게 균형을 맞추어야 하는지, 그 기준과 방식에 관한 고민으로 이어진다.  

알루미늄 벙갈로, 어셈블리 라인 생산, 미국, 1947년 경

아울러 그로피우스에 대해서는 바우하우스 이후 영국을 거쳐 하버드 디자인대학원 교수로 초청되기까지의 여정, 콘라드 바흐슈만과의 만남과 협업 과정, 교육기관과 기업에서의 활동이 전기적으로 묘사되어, 그의 개인적인 면모도 친근하게 엿볼 수 있다. 아인슈타인이 독일에 거주할 당시 바흐슈만이 그의 집을 이 조립주택 방식으로 지었다는 것도 흥미로운 일화다.

아이러니컬한 것은, 조립주택 개념이 이동식 주택(모바일 홈)과 직접적으로 연관되고 또 절대적인 영향을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두 건축디자이너는 이동식 주택에 전혀 관심이 없었다는 점이다. 삶의 조건 구축에 몰입한 진지한 고민에는, 자신이 의도나 의식과 관계 없이, 이렇게 어김없이 시대정신이 관통하고 있고 그 실천은 늘 미래를 향한다.

발터 그로피우스(좌)와 콘라드 바츠만(우), 제너럴 패널사(社)의 시험 주택 건설 현장, 뉴욕 퀸즈, 1946
콘라드 바흐슈만, 아인슈타인 저택, 포츠담, 독일, 크리스토프 앤 운막 기법 활용, 1929 (하)

 


The Dream of the Factory-Made House
Walter Gropius and Konrad WachsmannBy Gilbert Herbert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4-07 | 아이와 함께 가는 카페

어린이를 환영하지 않는다고, 그것이 이곳의 방침이라고 말하는 장소들이 있습니다. 어린이가 출입해서는 안될 장소는 물론 있고 또 있어야 하겠지만, 그곳이 식당이고 카페라면 그래도 괜찮을지요. 곳곳에 노키즈존이 자연스레 자리한 지금, 2010년의 ‘베이비 카페’ 소식을 되돌아봅니다. 물론 어린이와 보호자를 정확히 겨냥한 가게라는 점에서, 어린이도 환영한다는 예스키즈존과는 결이 다른, 그러니까 그냥 키즈존 개념에 가까운 카페입니다. 그리고 넨도는 이러한 기조를 아주 큰 것과 아주 작은 것으로 공간 디자인에 구현했지요.

2010-08-03 | V&A 키네틱 간판

디자인플럭스의 옛 로고를 기억하시는 분이 있을까요. 디자인플럭스라는 이름 아래 “디자인 테크놀로지 아트”라는 태그라인이 자리해 있었는데요. 오늘 뉴스의 주인공 트로이카(Troika)야말로 이 문구에 잘 어울릴 법한 그룹입니다. 2010년 런던 사우스켄싱턴 지하철역 안, V&A 뮤지엄으로 연결되는 통로 입구에 빅토리아 시대의 기계장치를 연상시키는 간판 하나가 설치되었습니다. 앨런 플레처의 V&A 모노그램이 세 부분으로 나뉘어 회전하며 번갈아가며 앞뒤로 V&A 로고를 만들어냅니다. 교통의 장소에서 만나는 트로이카. 2008년 히드로 공항 5터미널에 설치되었던 트로이카의 ‘구름’도 그랬지요. 

2011-11-02 | 영화 타이틀 스틸 모음

영화가 시작하고 영화의 제목이 스크린에 등장하는 바로 그 순간의 스틸 이미지를 한데 모은 디자이너가 있습니다. 크리스티안 아냐스는 멀리 1920년대부터 가깝게는 2014년까지, 영화의 타이틀 장면을 모아 웹사이트를 열었는데요. 어떤 영화들의 경우, 기본 정보 외에도 오프닝 타이틀 제작사는 어디인지 타이틀 장면에 쓰인 폰트는 무엇인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옛 영화들의 레터링 스타일을 되돌아보는 즐거움도 빼놓을 수 없지요.

잃어버린 졸업 전시회: 2021 밀라노 가구박람회

지난 9월 10일에 막을 내린 2021 밀라노 가구박람회의 ‘잃어버린 졸업 전시회(The Lost Graduation Show)’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