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골로 만든 3D프린팅 인공 암초

© Resting Reef

사랑하는 이들의 유골이 바닷속에서 굴을 재생하는 인공 암초가 된다면 어떨까?

런던 왕립예술대학(RCA), 임페리얼칼리지출신의 루이스 L. 스카젬(Louise L. Skajem)과 아우라 E. 무릴로 페레즈(Aura E. Murillo Pérez)가 설립한 신생 스타트업 ‘휴면 암초 (Resting Reef)’는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 생태계를 재생·복원하기 위한 대안으로 ‘휴면 암초(Resting reef)’ 프로젝트를 제안한다.

이들은 해안가에 위치한 굴 암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지난 100년 동안 전 세계 85%의 굴 암초가 무분별한 남획과 오염으로 손실되었음을 지적한다. 동시에 사체의 매장과 관련한 토지 부족과 전통적인 화장문화가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이산화탄소의 문제를 언급하고 있다.

© Resting Reef

‘휴면 암초’는 화장 후에 남은 재를 소재로 하여 3D 프린팅한 인공 암초 콘셉트의 장례 서비스다. 다만 현재는 인간의 유골 대신 죽은 동물의 유골로 작업한다. 동물의 뼈와 분쇄된 굴 껍데기, 결합제(Binder)를 더해 암초 형태의 3D프린팅 합성물을 만든다. 실제 제작시에는 해양 환경에 적합한 저탄소 시멘트와 같은 결합제를 사용할 예정이다.

© Resting Reef

단지 형태의 디자인은 지구에서 최초로 발견된 암초인 석회암 암초의 모양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기존의 석회암 암초는 남조식물(blue-green algae)과 같은 미생물로 형성되어 있는데, 3D프린팅 된 암초 더미들은 이러한 자연적인 성장 계획을 모방하여 굴이 성장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하나의 캡슐에 굴을 최대 100개까지 담을 수 있고, 이는 3년 후 약 2268톤(500만 파운드)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을 것으로 디자이너들은 예측한다.

인공 암초가 있는 해안의 추모 공간 콘셉트 이미지. © Resting Reef

현재 ‘휴면 암초’의 개발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있지만, 디자이너들은 사람들이 장례식 이후 인공 암초가 있는 해안의 추모 공간을 방문하는 전체적인 경험을 함께 구상하고 있다.

yankodesign.com
fastcompany.com

© designflux.co.kr

홍정아

오늘의 디자인이 어제의 디자인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여전히 우리에게 유효한 디자인의 가치는 무엇일까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디자인은 가까워지려 할수록 더욱 많은 질문들을 던지고 있습니다. 이에 오늘도 디자인 역사, 전시 디자인에 관한 흥미와 다양한 관점을 바탕으로 나름의 답을 찾아가고자 두리번거리는 중입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3-24 | MoMA, @를 소장하다

탄생은 멀리 6~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오늘날 같은 기능으로 이처럼 널리 쓰이게 된 것은 1970년대 이후의 일입니다. 2010년 MoMA의 건축·디자인부가 부호 ‘@’를 영구 소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누구의 것도 아니며 실물로 존재하지도 않지만, “소장에 요구되는 다른 기준들을 만족”하며, 더불어 기존의 부호를 전유해 새로운 쓰임을 부여했다는 점에서 “디자인 행위”를 보여준다고, 수석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는 설명합니다.

2008-12-01 | 무지 어워드 03 수상작

무지가 주최하는 디자인 공모전, 그 세 번째 수상작들입니다. 오래도록 쓰여온 사물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이를 현대의 생활 속으로 옮기는 것, 그리하여 그 오랜 물건의 기원에 경의를 표하는 것이 무지 어워드 03의 주제였는데요. 그러한 취지를 거의 “언디자인”에 가깝게 밀어붙인, 소박한 밀짚 빨대가 최고상을 수상했습니다. 

15%를 위한 보라색: #WeThe15

2021년 8월 19일, 디자인 스튜디오 펜타그램(Pentagram)에서 새로 출범하는 인권 운동 ‘#위더15(#WeThe15)’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공개했다....

2010-12-07 | 생일 축하합니다, 고다르!

장-뤽 고다르 감독의 80번째 생일을 맞아, 스튜디오 카르발류 베르나우가 선보인 폰트의 이름은 ‘장-뤽’입니다. 고다르 영화 두 편의 타이틀 시퀀스에 등장하는 레터링을 참조하여 태어난 대문자 그로테스크 서체인데요. ‘장-뤽’ 서체와 함께 카르발류와 베르나우가 말하는 고다르 영화 속 레터링이 지닌 특징, 그 연원과 영향에 관한 생각 그리고 관련 자료들도 흥미롭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