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골로 만든 3D프린팅 인공 암초

© Resting Reef

사랑하는 이들의 유골이 바닷속에서 굴을 재생하는 인공 암초가 된다면 어떨까?

런던 왕립예술대학(RCA), 임페리얼칼리지출신의 루이스 L. 스카젬(Louise L. Skajem)과 아우라 E. 무릴로 페레즈(Aura E. Murillo Pérez)가 설립한 신생 스타트업 ‘휴면 암초 (Resting Reef)’는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 생태계를 재생·복원하기 위한 대안으로 ‘휴면 암초(Resting reef)’ 프로젝트를 제안한다.

이들은 해안가에 위치한 굴 암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지난 100년 동안 전 세계 85%의 굴 암초가 무분별한 남획과 오염으로 손실되었음을 지적한다. 동시에 사체의 매장과 관련한 토지 부족과 전통적인 화장문화가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이산화탄소의 문제를 언급하고 있다.

© Resting Reef

‘휴면 암초’는 화장 후에 남은 재를 소재로 하여 3D 프린팅한 인공 암초 콘셉트의 장례 서비스다. 다만 현재는 인간의 유골 대신 죽은 동물의 유골로 작업한다. 동물의 뼈와 분쇄된 굴 껍데기, 결합제(Binder)를 더해 암초 형태의 3D프린팅 합성물을 만든다. 실제 제작시에는 해양 환경에 적합한 저탄소 시멘트와 같은 결합제를 사용할 예정이다.

© Resting Reef

단지 형태의 디자인은 지구에서 최초로 발견된 암초인 석회암 암초의 모양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기존의 석회암 암초는 남조식물(blue-green algae)과 같은 미생물로 형성되어 있는데, 3D프린팅 된 암초 더미들은 이러한 자연적인 성장 계획을 모방하여 굴이 성장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하나의 캡슐에 굴을 최대 100개까지 담을 수 있고, 이는 3년 후 약 2268톤(500만 파운드)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을 것으로 디자이너들은 예측한다.

인공 암초가 있는 해안의 추모 공간 콘셉트 이미지. © Resting Reef

현재 ‘휴면 암초’의 개발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있지만, 디자이너들은 사람들이 장례식 이후 인공 암초가 있는 해안의 추모 공간을 방문하는 전체적인 경험을 함께 구상하고 있다.

yankodesign.com
fastcompany.com

© designflux.co.kr

홍정아

오늘의 디자인이 어제의 디자인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여전히 우리에게 유효한 디자인의 가치는 무엇일까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디자인은 가까워지려 할수록 더욱 많은 질문들을 던지고 있습니다. 이에 오늘도 디자인 역사, 전시 디자인에 관한 흥미와 다양한 관점을 바탕으로 나름의 답을 찾아가고자 두리번거리는 중입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9-03 | 인타입스, 인테리어의 유형학

1997년 코넬 대학의 잰 제닝스 교수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유형 분류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시대, 양식, 문화권에 걸쳐 반복되어 등장하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패턴들을 연구하고 분류하여 그것에 일정한 이름을 부여하는 작업이었지요. 가령 라운지 의자들이 서로 마주한 익숙한 배치(때로 커피 테이블이나 러그가 사이에 놓여 있기도 한)에는 ‘대면(Face to Face)’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2013년에는 두 명의 학부생이 만들어낸 ‘언룸(Unroom)’이라는 신조어가 인타입스에 추가되기도 했지요.(...)

전시 ‘빌어먹을 우리 뒷마당 (It’s Our F***ing Backyard)’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스테델릭 뮤지엄(Stedelijk Museum Amsterdam)에서 전시 ‘빌어먹을 우리 뒷마당(It’s Our F***ing Backyard)’이 2022년...

2007-03-16 | 주버트 공원의 벤치

2007년 당시 요하네스버그에서는 3년 뒤 열릴 월드컵을 준비하며 개발과 정비가 한창이었습니다. 그 시기 도심에서 100년 넘게 쉼터 역할을 해온 오랜 공원 한 곳도 새단장을 하게 되었죠. 이름하여 ‘주버트 공원 프로젝트’를 위해 남아공 국내외의 예술가, 건축가, 디자이너들이 머리를 모았습니다. 15년 전 오늘 소개한 소박하면서도 영리한 벤치 디자인도 바로 이 공원을 위해 태어났죠. 

2008-06-03 | 디자인21 ‘파워 투 더 페달’ 공모전 수상작

2008년 디자인 21: 사회적 디자인 네트워크가 주최한 자전거 관련 공모전 ‘파워 투 더 메달’의 수상작이 발표되었습니다. 자전거라는 오래된 그러나 친환경적이고 대안적인 개인 이동 수단에 편의를 더할 수 있는 디자인을 공모했는데요. 지극히 실용적인 제안에서 순수한 즐거움을 주는 아이디어까지, 수상작들을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