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골로 만든 3D프린팅 인공 암초

© Resting Reef

사랑하는 이들의 유골이 바닷속에서 굴을 재생하는 인공 암초가 된다면 어떨까?

런던 왕립예술대학(RCA), 임페리얼칼리지출신의 루이스 L. 스카젬(Louise L. Skajem)과 아우라 E. 무릴로 페레즈(Aura E. Murillo Pérez)가 설립한 신생 스타트업 ‘휴면 암초 (Resting Reef)’는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 생태계를 재생·복원하기 위한 대안으로 ‘휴면 암초(Resting reef)’ 프로젝트를 제안한다.

이들은 해안가에 위치한 굴 암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지난 100년 동안 전 세계 85%의 굴 암초가 무분별한 남획과 오염으로 손실되었음을 지적한다. 동시에 사체의 매장과 관련한 토지 부족과 전통적인 화장문화가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이산화탄소의 문제를 언급하고 있다.

© Resting Reef

‘휴면 암초’는 화장 후에 남은 재를 소재로 하여 3D 프린팅한 인공 암초 콘셉트의 장례 서비스다. 다만 현재는 인간의 유골 대신 죽은 동물의 유골로 작업한다. 동물의 뼈와 분쇄된 굴 껍데기, 결합제(Binder)를 더해 암초 형태의 3D프린팅 합성물을 만든다. 실제 제작시에는 해양 환경에 적합한 저탄소 시멘트와 같은 결합제를 사용할 예정이다.

© Resting Reef

단지 형태의 디자인은 지구에서 최초로 발견된 암초인 석회암 암초의 모양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기존의 석회암 암초는 남조식물(blue-green algae)과 같은 미생물로 형성되어 있는데, 3D프린팅 된 암초 더미들은 이러한 자연적인 성장 계획을 모방하여 굴이 성장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하나의 캡슐에 굴을 최대 100개까지 담을 수 있고, 이는 3년 후 약 2268톤(500만 파운드)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을 것으로 디자이너들은 예측한다.

인공 암초가 있는 해안의 추모 공간 콘셉트 이미지. © Resting Reef

현재 ‘휴면 암초’의 개발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있지만, 디자이너들은 사람들이 장례식 이후 인공 암초가 있는 해안의 추모 공간을 방문하는 전체적인 경험을 함께 구상하고 있다.

yankodesign.com
fastcompany.com

© designflux.co.kr

홍정아

오늘의 디자인이 어제의 디자인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여전히 우리에게 유효한 디자인의 가치는 무엇일까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디자인은 가까워지려 할수록 더욱 많은 질문들을 던지고 있습니다. 이에 오늘도 디자인 역사, 전시 디자인에 관한 흥미와 다양한 관점을 바탕으로 나름의 답을 찾아가고자 두리번거리는 중입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2-22 | 벨크로의 힘

특정 제품의 이름인 고유 명사가 그런 물건 일반을 통칭하는 보통 명사가 되기도 합니다. 벨크로도 그런 경우죠. 생활 속 익숙한 물건이 된 벨크로는 또 생체모방 디자인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되기도 합니다. 2007년 런던 디자인 뮤지엄의 아트리움은 벨크로에 습격된 듯한 모습이었습니다. 스페인의 신진 디자이너 루이스 에슬라바는 이 저렴하고 익숙한 물건으로 조명과 벽장식을 선보이며 여러 모로 큰 인상을 남겼습니다. 

2011-09-14 | 디자인 마이애미/ 선정 올해의 디자이너

2011년 디자인 마이애미/가 꼽은 올해의 디자이너는 데이비드 아디아예입니다. 첫 회 자하 하디드 수상에 이어 여섯 명의 제품 디자이너들을 지나, 오랜만에 다시 건축가가 명단에 이름을 올린 셈이죠. 아디아예에게 수상 소식은 10년에 걸쳐 진행한 “한 대륙에 바치는 장대한 오마주”로서의 작업인 ‘어번 아프리카’가 마무리된 때에 이뤄진 터라 더욱 뜻깊었다고 합니다. 

2009-10-13 | 스튜디오 욥 x 빅터 & 롤프

네덜란드의 디자이너 듀오 두 팀이 하나의 무대에서 만났습니다. 스튜디오 욥과 빅터 & 롤프가 그 주인공입니다. 2009년 파리패션위크에서 선보인 빅터 & 롤프의 2010 S/S 패션쇼 현장, 무대 양 옆으로 거대한 지구본과 대좌가 나란히 놓였습니다. 대좌를 또 하나의 무대 삼아 오른 로신 머피가 노래하고,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털로 장식한 지구본이 미러볼처럼 돌며 빛을 발하는 동안, 내년의 가벼운 옷을 입은 모델들이 무대를 걸었지요. “서로의 길이 교차할 때마다 함게 즐겁게 일한다”는 두 듀오의 협업은 이전부터 이어져 또 이후에도 계속되었습니다.

2011-07-26 | 위 메이크 카펫

“우리는 카펫을 만듭니다.” 하지만 아마도 그들의 카펫 위를 거닐거나 뒹굴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일회용 포크, 빨래집게, 파스타… 위 메이크 카펫은 실 대신에 소비 제품으로 카펫을 만들었습니다. 말하자면 소비 사회의 카펫이라고 할까요. 네덜란드의 이 3인조 그룹은 지금도 휴지심, 주름 종이, 연필 등의 일상적인 물건들을 가지고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