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층권 비행선 ‘넵튠’ , 라운지 디자인 공개

넵튠 라운지 이미지, 2022. © Space Perspective

우주 관광 기업 스페이스 퍼스펙티브(space perspective)에서 성층권을 여행하는 비행선 ‘넵튠(Neptune)’의 캡슐 라운지 디자인을 공개했다.

‘넵튠’의 캡슐에는 1명의 조종사와 8명의 승객을 위한 9개의 좌석이 마련된다. 탑승객은 비행선의 벽을 360도로 둘러싼 가로 56cm, 세로 154cm의 대형 파노라마 창문을 통해 전례 없이 넓은 경관을 즐길 수 있다. 이 대형 창문은 화장실에도 설치되어 있어, 잠시라도 경관을 놓칠 일이 없다.

편안한 라운지 의자와 조명, 심지어 허브, 라벤더 등의 식물까지 실내에 배치하여 승객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차분한 공간이 조성된다. 인테리어의 메인 컬러로는 보편적으로 떠올리는 눈부신 흰색의 실용주의적 인테리어와 정반대되는 어두운 색을 택했다. 이 색은 진정되는 분위기를 연출하고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반사광과 그로 인한 승객의 눈부심을 감소시킨다.

넵튠 라운지 좌석, 2022. © Space Perspective

넵튠 라운지의 공간 레이아웃은 승객끼리 교류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라운지에 설치된 바에서는 간단한 음식과 음료를 즐길 수 있다. 네 쌍의 좌석을 둥글게 배치하여 전망을 넓히고, 승객이 다리를 펴거나, 좌석 앞에 일어나 서 있을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다.

넵튠이 가진 장점은 개인용 캐비닛이나 칵테일 및 기내식을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와이파이 연결이 가능하고 음악 감상 설비와 조명 조절 장치까지 갖추어 모두 승객 개인이 각자 취향에 맞게 기능을 활용하면서 고유의 비행 경험을 가질 수 있게 한 점이다.

계획대로라면 넵튠은 2024년부터 운영될 예정이며, 티켓 가격은 1인당 한화 약 1억 5천 5백만 원(보증금 약 120만원 포함)이다.

성층권 위 넵튠 캡슐 외부 이미지, 2022. © Space Perspective

spaceperspective.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4-01 | 포켓 캠코더 ‘SAL’

이전의 것들이 자신의 운명을 모른 채 새로운 것과 경합을 한다고 믿었던 시기. 온갖 휴대용 기기가 스마트폰이라는 하나의 기기에 흡수되기 이전의 이야기입니다. 클라스카 호텔의 디자이너로 널리 알려진 디자이너 슈와 테이의 포켓 캠코더 디자인 소식입니다.

2010-09-28 | 집전화기입니다

풍크트는 2008년 뛰어난 디자인으로 오래 사랑받을 디자인의 일상적 전자제품을 선보이겠다는 포부로 설립된 스위스의 회사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들이 선보인 첫 번째 제품은 가정용 전화기였고, 회사의 아트 디렉터로 영입한 디자이너는 재스퍼 모리슨이었습니다. 풍크트는 이후로도 무척 단정한 모습의 USB 충전기, 멀티탭, 물리 키패드를 여전히 지닌 휴대폰, 알람 시계 등을 통해 단순함을 제품화하고 있습니다. 

2010-06-22 | 내셔널 디자인 어워즈 수상자

2010년도 쿠퍼휴잇 스미소니언 디자인 뮤지엄의 연례 시상식, ‘내셔널 디자인 어워즈’의 수상 결과를 되돌아봅니다. 총 10개 부문의 수상자 가운데, ‘평생공로상’과 ‘디자인 마인드’ 부문의 이름은 바로 6개월 전, 그러니까 2009년 12월에 날아든 〈I. D.〉매거진의 폐간 소식을 떠올리게 합니다. 더불어 작년 5월 10일 소개했던 뉴스의 주인공도 명단에서 찾아볼 수 있죠.

2011-04-25 | 접힌 잎

스웨덴의 디자인 스튜디오 클라에손 코이비스토 루네가 화웨이의 휴대폰을 디자인하며 생각한 이미지는 살짝 접힌 잎사귀였습니다. 오래된 전화기, 초창기 휴대폰의 형태를 가져온 것이죠. 스마트폰이 우세종으로 자리잡던 즈음, 이처럼 반작용 혹은 반동이라 할 계열의 휴대폰 디자인이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의도적인 시대착오라고 할까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