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층권 비행선 ‘넵튠’ , 라운지 디자인 공개

넵튠 라운지 이미지, 2022. © Space Perspective

우주 관광 기업 스페이스 퍼스펙티브(space perspective)에서 성층권을 여행하는 비행선 ‘넵튠(Neptune)’의 캡슐 라운지 디자인을 공개했다.

‘넵튠’의 캡슐에는 1명의 조종사와 8명의 승객을 위한 9개의 좌석이 마련된다. 탑승객은 비행선의 벽을 360도로 둘러싼 가로 56cm, 세로 154cm의 대형 파노라마 창문을 통해 전례 없이 넓은 경관을 즐길 수 있다. 이 대형 창문은 화장실에도 설치되어 있어, 잠시라도 경관을 놓칠 일이 없다.

편안한 라운지 의자와 조명, 심지어 허브, 라벤더 등의 식물까지 실내에 배치하여 승객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차분한 공간이 조성된다. 인테리어의 메인 컬러로는 보편적으로 떠올리는 눈부신 흰색의 실용주의적 인테리어와 정반대되는 어두운 색을 택했다. 이 색은 진정되는 분위기를 연출하고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반사광과 그로 인한 승객의 눈부심을 감소시킨다.

넵튠 라운지 좌석, 2022. © Space Perspective

넵튠 라운지의 공간 레이아웃은 승객끼리 교류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라운지에 설치된 바에서는 간단한 음식과 음료를 즐길 수 있다. 네 쌍의 좌석을 둥글게 배치하여 전망을 넓히고, 승객이 다리를 펴거나, 좌석 앞에 일어나 서 있을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다.

넵튠이 가진 장점은 개인용 캐비닛이나 칵테일 및 기내식을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와이파이 연결이 가능하고 음악 감상 설비와 조명 조절 장치까지 갖추어 모두 승객 개인이 각자 취향에 맞게 기능을 활용하면서 고유의 비행 경험을 가질 수 있게 한 점이다.

계획대로라면 넵튠은 2024년부터 운영될 예정이며, 티켓 가격은 1인당 한화 약 1억 5천 5백만 원(보증금 약 120만원 포함)이다.

성층권 위 넵튠 캡슐 외부 이미지, 2022. © Space Perspective

spaceperspective.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7-20 | 토요타 iQ 폰트

전용 서체가 브랜딩의 주요한 수단이 된 지 오래이고, 그러니 무언가의 전용 서체라고 해서 새로운 이야기는 아닙니다. 다만 그 무언가가 자동차이고 서체가 자동차의 주행 궤적에서 탄생했다면 이야기가 조금 다르겠지요. 토요타의 시티카 ‘iQ’의 캠페인을 맡은 블리스는 이 작은 차의 민첩함을 강조하기 위해 주행 궤적으로 이뤄진 서체를 만들기로 하고, 인터랙티브 아티스트와 그래픽디자인 스튜디오와 힘을 합했죠. 블리스는 이 캠페인으로 2010년 칸느 국제광고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했습니다.

2010-09-06 | 그리기와 소리의 결합

그는 디자이너이자 전자음악가이며 사운드 아티스트입니다. 2010년 열린 전시 ‘소리 주입’은 예술과 디자인과 기술이 어우러진 그의 작업 세계를 엿볼 수 있었던 자리였습니다. 가령 선에 소리를 담는 펜과 선에 담긴 소리를 재생하는 펜이 짝을 이루었던 ‘녹음 & 재생’ 펜처럼요. 유리 스즈키는 2018년 디자인 회사 펜타그램에 파트너로 합류하였고, 그의 존재로 펜타그램의 영역에 ‘사운드’가 더해졌습니다.

2009-03-25 | 구글에서 보낸 3년

2006년 디자이너 더글러스 바우먼은 구글에 합류하며, 시각디자인리더로서 팀을 꾸리고 이끌었습니다. 그리고 3년 뒤 구글을 떠나기로 결심합니다. 그러면서 “엔지니어들의 회사에서 전통적인 디자이너가 부딪힌 한계”를 소회한 글을 남겼죠. 물론 그가 떠난 당시의 구글과 지금의 구글은 다른 모습일 테지만만, 여전히 디자이너 대 개발자, 디자이너 대 엔지니어 등 서로에 대한 몰이해의 일화가 심심치 않게 회자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2011-05-17 | ECAL/ 알레시 협동 워크숍

Editor's Comment로잔예술대학교(ECAL) 산업디자인학과 2학년 학생들이 알레시와의 협동 워크숍에 참여했습니다. “감성적 요소와 기능, 소통, 가격, 산업 기술의 화학 작용”이라는 알베르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