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호복을 입은 가구와 도자기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인 스튜디오 유이(YUUE)가 중국의 과도한 코로나 바이러스 억제 정책으로 불필요한 인도적 위기를 일으킨 것에 대한 디자인 논평, ‘향수병(Homesick)’를 선보였다.명나라 스타일의 의자와 중국 전통 도자기 화병을 문화의 상징으로 선택하고 이를 푸른 띠를 두른 새하얀 방호복으로 포장함으로써, 억압적 대응이 나은 부조리한 현실을 디자인의 형태로 비판한다.

4월 5일, 상하이 시내 거주 지역에서 방호복을 입고 소독제를 뿌리는 사람들. ⓒ YUUE
유이, 향수병, 2022. ⓒ YUUE

팬데믹이 발생한 이후, 일명 코로나바이러스 제로 정책이라는 바이러스 예방 조치가 중국 전역을 휩쓸고 모든 사람의 삶에 침투했다. 일상의 모든 영역에서 건강 코드사용, 철저한 접촉 추적, 국경 폐쇄, 강제 테스트 및 검역, 도시를 봉쇄하고 주민이 거주하는 건물에 울타리를 치는 등의 바이러스 예방 캠페인은 시민 개인의 자유를 박탈할 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격리와 고립으로 이어졌다. 또한 의료진, 경찰, 지역사회 자원봉사자들이 착용하는 방호복이 시내 도처에 흩어져 있는 광경은 중국 상황을 관찰하는 사람들에게 잊을 수 없는 시각적 경험이 되었다.

유이, 향수병, 2022. ⓒYUUE
제작 과정. ⓒYUUE

디자인 스튜디오 유이의 설립자인 웡 신우(Weng Xinyu)는 중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이 상황을 우려하고, 디자인 오브제를 통해 이야기를 표현하고자 했다. 윙 신우는 현재 중국 국내 정책에서 ‘보호’ 행위는 그 자체가 이미 또 다른 ‘위험’이 되었다고 본다. 근본적으로 바이러스를 이겨낼 수 없는 상황에서 방호복을 고집하는 것은 불필요한 행동이라고 보고, 보호해야 할 사람에 집중하기 보다 외부 환경의 본질을 변화시키는 데 집중해야 하는 점을 강조한다.

디자인 스튜디오 유이와 작업. ⓒYUUE

yuuedesign.com

ⓒ designflux.co.kr

박지민

손으로 느껴지는 감각이 좋아 만들기 시작했고, 만드는 것이 좋아 디자인을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시작했던 디자인은 만드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재미를 느끼게 합니다. 만드는 것을 넘어서 현재는 타자치는 제 손의 감각도 즐기고 있습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식사의 즐거움을 담은 비둘기 테이블

디자이너 듀오 뮬러 반 세베렌(Muller Van Severen)과 아티스트 겸 쉐프인 라일라 고하르(Laila Gohar)이 협업을...

2007-04-30 | 벌들의 도움으로

쾌속조형의 반대에 서 있는 완속조형의 사례. 혹은 동물의 힘을 빌린 디자인. 토마시 하브스딜의 ‘벌들의 도움으로’는 일주일 동안 4만 마리의 꿀벌이 빚어낸 꽃병입니다. 하이테크와 대비되는 로우테크, 인간의 공예가 아닌 동물의 공예. 또 꽃을 매개로 한다는 점에서 벌과 꽃병은 멋진 한 쌍이기도 하지요.

생물다양성: 싱가포르 ‘동물’원 브랜딩 디자인

싱가포르의 디자인 에이전시 아낙(Anak)은 다섯 개의 야생 공원을 운영하는 만다이 그룹을 위한 브랜딩 디자인을...

2008-07-11 | “빌바오 효과란 허튼 소리다.”

2008년 서펀타인 갤러리 파빌리온의 건축가는 프랭크 게리였습니다. 의외로 이 임시 건축물이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완성된 프랭크 게리의 건물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파빌리온 공개를 맞아 열린 기자회견에서 다시 한 번 ‘빌바오 효과’에 언급되었죠. “빌바오 효과란 허튼 소립니다.” 그렇게 이야기한 주인공은 다름 아닌 프랭크 게리였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