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 루터 킹 추념 공예 프로젝트

로레타 페트웨이(Loretta Pettway), 메달리온(Medallion), 합성 직물과 면사를 누비질, 80 x 70 inches, 1960.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미국의 1월 셋째주 월요일은 흑인 해방운동 지도자인 마틴 루터 킹 (Martin Luther King, Jr. 1929~1968)의 업적을 기리는 ‘마틴 루터 킹의 날’이다. 올해에도 도시 곳곳에서 그를 추모하기 위한 특별 행사를 만날 수 있다. 뉴욕 브롱크스에 위치한 웨이브 힐 하우스에서는 1월 15일과 16일 양일에 걸쳐 퀼트 공예 프로그램을 개최한다.

킹 목사와 퀼트 공예라니. 그 접점이 의아할 수도 있겠다. 이 관계는 1965년 셀마-몽고메리 행진에서 유래한다. 1965년흑인 참정권을 위한 셀마-몽고메리 행진을 나선 킹 목사와 시위대는 앨라배마주의 소도시 보이킨(Boykin) 주민들에게투표권 운동을 독려했다. 이에 지역 사회 여성 공예가 단체인 ‘기스 벤드 퀼터스(Gee’s Bend quilters)’와 ‘프리덤 퀼팅비(Freedom Quilting Bee)’가 협력해 흑인 인권운동 및 셀마-몽고메리 행진을 지원했다.

제시 T. 페트웨이(Jessie T. Pettway), 수평, 수직 기둥 조각들(Bars and String-Pieced Columns), 합성 직물과 면사를 누비질, 95 x 76 inches, c. 1950.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60년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퀼트 공예품을 생산해 온 보이킨 지역과 인근 지역의 커뮤니티들은, 80년대 초 미국 민속학 분야에서 관심을 받기 시작해 90년 후반에 들어서는 민속 에술 분야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 이른다. 2002년 휴스턴 미술관에서 기획한 전시 ‘지스 벤드 퀼트 공예(The Quilts of Gee’s Bend)’에서는 여성 퀼트 공예가 42명의 작품을 선보였고, 2006년까지 미국 전역에서 순회 전시를 가졌다. 이를 계기로 보이킨의 퀼트 커뮤니티 및퀼트 공예가들은 자신과 이름과 활동을 알리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기반시설이 부족했던 보이킨 지역에 공예품 생산 및 판매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사회 경제에 공헌해 오고 있다.

2003년에는 50여 명의 퀼트 공예가가 모여 ‘기스 벤드 퀼트 공예가 콜렉티브(Gee’s Bend Quilters’ Collective)’를 창립했다. 공동체 공예의 맥을 이어가고 있는 이 단체는 퀼트 공예품 생산, 퀼트 제작자들을 위한 교육과 아울러 공예 작품의 지적 재산권 보호를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힐 하우스에서 개최하는 퀼트 공예 프로그램은, 킹 목사와 흑인 인권운동에 동참한 여성 퀼트 공예가들을 기억하는 추념의 기회이기도 하다.

메트로폴리탄미술관에서는 퀼트 공예가 로레타 페트웨이(Loretta Pettway)의 작품을 비롯한 다수의 퀼트 작품들을 소장하고 있다. 버밍험 주립 도서관 구술사 프로젝트 아카이브에서도 이들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1] 1949년 앨라배마주 코빙턴카운티에 있는 기스 벤드(Gee’s Bend)에 미 연방 정부가 우체국을 설립하면서 보이킨(Boykin)으로 지명을 변경하였다.

www.nytimes.com

www.wavehill.org

encyclopediaofalabama.org

© designflux2.0.co.kr

이지원

이지원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디자인사 자료 수집을 위한 구술 연구의 방향 모색》이라는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오늘날 비주류로 분류되는 담론 내 미시사에 관심을 두고 이를 실천적 방법으로 전달하는 작업을 실험한다. 디자인 스튜디오 겸 출판사인 아키타입(archetypes)을 운영하며 저술과 출판 활동 등을 통해 책과 기록물을 만들고 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09-19 | 앨 고어의 기후위기 관련 연설

2006년 전 미국 부통령 앨 고어는 뉴욕대에서 한 연설에서 ‘2030 챌린지’를 언급했습니다. 2030년까지 모든 신축 건물에서 탄소중립을 이룰 것을 목표로 하자는 기획이었죠. 그때만 해도 목표는 2030년이었습니다. 16년이 지나는 동안 기후는 위기 상황에 가까워졌지만, 민관이 말하는 목표의 시한은 오히려 2050년으로 더 미뤄지고 말았습니다. 

행복한 꿀벌을 위한 벌집 디자인

‘꿀벌의 멸종은 곧 인류의 멸망이다’라는 얘기를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지구에 존재하는 식물의 수분(受粉)은...

중산층의 잇템 #1 피아노 : 중산층의 소리

처음 내 방이 생긴 건 6살 때였다. 주택에서 아파트로 이사하고, 혼자서 어두운 공간에서 잠을...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를 위한 공항, ‘어반 에어 포트’

지난 4월 25일, 영국 코번트리에 열린 시사회에서 영국의 스타트업 ‘어반 에어 포트(Urban-Air Port)’는 세계에서...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